라이킷 10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봉사자와 직원

by 감성현 Oct 24. 2024
아래로

센터에 봉사자가 오면, 

마음 같아서는 직원 같은 마인드로 직원 같이 일해주길 바라지만,


그게 참 쉽지 않다. 


사실 우리가 

365일 뼈를 갈아 넣으면서도,

온갖 욱하는 상황을 참아가면서, 

일을 하는(직원) 건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결국) 돈 때문이다. 


그러나, 봉사자는 돈에서 자유롭다. 

직원의 시각에서 볼 때, 참 얄밉기도 하지만 어쩔 수 없다. 사실이니까.


즉, 일하는 사람에게 협박(?)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무기가 봉사자에게는 무용지물이라는 뜻이다.  


아무튼 다수의 봉사자들이 봉사를 하는 이유는,


그냥 봉사가 좋아서.

봉사하면 왠지 뿌듯해져서.

봉사를 통해 자기계발을 할 수 있어서. 


등의 각자만의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누구도 '돈' 때문에 봉사를 하지는 않는다. 


물론, 

몇 푼의 봉사비(거마비, 수고비)를 목표로 하는

봉사자들도 있긴 하지만.


아무튼 그렇기 때문에, 


애초부터 봉사자에게 직원과 같은 퍼포먼스를 기대할 순 없다. 

봉사자가 자발적으로 직원처럼 일해준다면 

눈물겹게 너무 감사한 일이겠지만, 

그렇게 일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뭐라고 할 수가 없다.  


만약, 


지금 60% 일을 하고 있다고 치자면, 

직원에게는 나머지 40%를 왜 채우지 않냐고 뭐라고 할 수 있겠지만, 

봉사자라면 이미 60%나 일을 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봉사자는 애초부터 제로(0)에서 일을 하는 것이다. 


방해만 되지 않는다면,

프로젝트를 망치지만 않는다면,


단 1%라도,

봉사는 봉사다.


실제로, 

일주일 내내 아무것도 하지 않다가, 

휴일에 한인 교회에 가서, 

인사하다가, 한번 센터에 놀러오세요.

말 한마디하고, 


주간 보고에서, 

새로운 사람에게 센터 홍보 했다고 적고, 

실제로 '한주동안 너무 고생하셨어요, 선터에 참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라는 소리를 듣는 경우도 봤다.  


직원의 잣대로 본다면, 일주일 내내 아무것도 하지 않은 사람이겠지만, 

봉사자의 잣대로 본다면, 0에서 1이라도 도움을 준 사람이 되는 거다. 


다만.

이렇게 생각할 수는 있다. 


1%만 일하는 봉사자가 그 TO를 차지하고 있어서, 

다른 성실한 봉사자, 80~100%의 퍼포먼스를 내려고 작정하고 있는 봉사자들에게

그 기회가 돌아가지 않는 것에 대해서는.


충분히 다른 관점에서 생각해 볼 문제다. 

매거진의 이전글 어차피 공짜잖아요.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