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스타링크와 경쟁사들

위성 인터넷 서비스 총정리

by 시소수 Mar 22. 2025

이전에 스타링크에 대해서 작성해 보았는데요.

요즘 위성 인터넷이 대세라는 거 알고 계신가요?

스타링크만 있는 줄 알았더니 비슷한 서비스가 꽤 있더라고요.

그래서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비교해 보려고 찾아봤습니다.

각 서비스마다 특징이 확실히 달라서 정리해 보았으니 같이 볼까요?


스타링크 외에도 비슷한 서비스로는 크게 세 가지가 있더라고요.


1.OneWeb

특징 : 글로벌 통신 회사로, 저궤도 위성으로 인터넷 제공. 630개 이상의 위성을 운영 중

타겟 : 개인보다는 통신사나 기업에 초점. 하지만 향후 주거용 사용자도 고려.

현황 : 2025년 3월 현재 630개 이상의 위성을 발사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2. 아마존의 Project Kuiper

특징 : 아마존이 추진하는 저궤도 위성 프로젝트

계획 : 총 3,236개 위성으로 네트워크 구축 예정. 첫 상용 위성 발사는 2025년 1분기로 예정

타겟 : 일반 소비자와 기업 모두


3. Telesat Lightspeed

특징 : 캐나다 기반 Telesat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

규모 : 약 198개 위성으로 구성될 예정

타겟 지역 : 주로 북미와 유럽 시장에 강점을 가지며, 기업 및 정부 고객을 대상. 상용 서비스는 2026년부터 시작될 것으로 예상


그렇다면 각 서비스 별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서비스마다 접근 방식이 다른데, 이걸 알아야 각자에게 맞는 서비스를 고를 수 있겠죠?


OneWeb vs 스타링크

OneWeb은 개인보다는 기업과 통신사 파트너십에 중점

한국에서도 SKT나 KT 같은 통신사와 협력할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장점은 로컬 지원이 강화되고 기존 네트워크와 통합이 쉽다는 점!

특히 항공이나 해양 네트워크에서 강점을 보인다고 합니다.


Project Kuiper vs 스타링크

아마존의 든든한 지원으로 빠른 확장이 가능해 보여요.

AWS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동될 가능성이 높아요.

아직 초기 단계라 한국 시장 진출은 제한적일 수 있어요. 첫 상용 위성 발사가 2025년 1분기로 예정되어 있지만, 국내 서비스 개시 시점은 아직 불확실합니다.

장점은 아마존 생태계와의 연동과 경쟁력 있는 가격이 될 거라 보고 있어요.


Telesat Lightspeed vs 스타링크

북미와 유럽에 중점을 두고 있어 지역적 초점이 좀 다르네요.

기업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향이 있어요.

한국 시장 진출은 아직 제한적입니다. 주로 기업 및 정부 기관을 대상으로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장점은 특정 지역에 최적화된 고품질 서비스.


앞으로 OneWeb, Project Kuiper, Telesat Lightspeed의 한국 진출은 어떻게 될까요?


OneWeb

통신사들과 협력 모델로 진출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B2B시장을 중심으로 서비스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네요.


Project Kuiper 

아직 초기 단계라 한국 진출은 좀 더 시간이 걸릴 것 같습니다.


Telesat Lightspeed

한국에서는 주로 기업용 서비스로 제한적 진출이 예상돼요.


결론 : 어떤 위성 인터넷 서비스가 좋을까?

원격지에서 개인 사용이 필요하다면? -> 스타링크가 현재로선 최고의 선택!

기업이나 단체에서 사용한다면? -> OneWeb이나 Telesat LightSpeed를 검토해 볼 수도 있습니다.

아마존 서비스와 연동하고 싶다면? -> Project Kuiper의 출시를 기다려볼 수 있습니다.


 스타링크는 초기 비용과 월 이용료가 기존 인터넷 서비스보다 비싸지만, 기존 인프라로 접근이 어려운 지역이나 이동 중 사용에는 상당한 가치가 있습니다. 앞으로 가격 인하와 성능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더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게 될 것 같네요.


여러분이라면 어떤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시겠습니까?

혹은 스타링크 써보신 분 있나요?


작가의 이전글 구글 노트북 LM 완벽 가이드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