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동진 Nov 01. 2024

가상의 세계에서 실제로 살며 교류하는 일

영화 '이벨린의 비범한 인생'(2024) 리뷰

희귀 근육질환인 듀시엔형 근이영양증을 타고난 소년 마츠 스틴은 전용 휠체어에 의존해 모든 일상을 영위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그에게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가 있었다. '이벨린 레드무어'라는 이름으로 그는 와우의 세계에서 탐정이자 해결사 내지는 길드원들의 여러 고민을 들어주는 친근하고 선한 사람이었다. 점차 근육이 약해지고 퇴화하는 질환은 치료할 수 없었고 마츠는 쇠약해져 갔다. 그의 블로그를 통해 가족들이 부고를 알리자, 그는 좋은 사람이었고 알고 지낼 수 있어 행복했다며 조의를 표하는 길드원들의 이메일이 쏟아졌다.


약 42,000쪽, 약 20,000시간에 이르는 채팅 등 게임 로그를 바탕으로 <이벨린의 비범한 인생>(2024)의 제작진과 애니메이터들은 이벨린의 시점에서 인게임 속 이야기들을 생전 마츠의 목소리와 유사한 음성을 가진 배우의 더빙과 함께 실제 인게임 화면을 보는 듯한 애니메이션의 형태로 구현해 냈다. 게임 속에서 만난 '사람'들과 대화하고 상호작용하며 감정을 느끼고 생활하는 순간들은 오직 방에서만 시간을 보내던 마츠에게는 곧 일생이기도 했다.


넷플릭스 영화 '이벨린의 비범한 일생'


마츠의 부모는 그가 방 안에서 고립된 일상을 보낸다고 여겼지만 가상의 세계에서 이벨린은 사랑받는 친구이자 든든한 조언자였다. 게임 로그에 남은 그의 문자 언어로 된 대화는 이 넷플릭스 다큐멘터리를 통해 영상과 음성으로 되살려지며 삶이 지난 뒤에도 이야기가 계속해서 남는다는 진실을 들려준다. 한 사람의 이야기는 누군가의 삶에 흔적을 남긴다. 기억의 형태로 된 그것들은 현실 세계와 게임 속 가상 세계를 구분하지 않는다. 가령 소통에 어려움을 겪던 모자를 게임 속에서 대화하고 포옹하도록 이끌어내는 모습은 조금도 이질적이지 않다.


<이벨린의 비범한 인생>은 신체적 한계를 인식하지 않아도 될 만큼 게임 공간에서 온전히 타인들과 교류하며 일생을 살았던 이를 추모하는 동시에 가족은 물론 '스타라이트' 길드에서 함께 활동했던 이들의 회고와 증언까지 폭넓게 담고 있다. 게임 기록을 영상으로 구현하는 과정을 통해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또는 롤플레잉에 대한 특정한 이해도를 요하지 않고도 삶의 경험과 감각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돌아보게 만든다. '우리'가 '실제로는' 엘윈 숲과 스톰윈드에 가보지 않았다고 해도 마음과 시간이 담긴 그곳에서의 기록들은 곧 진실의 영역에 이를 수 있다.



*게임 내에는 실제로 그를 기리는 추모 비석이 만들어져 있다고 한다.


넷플릭스 영화 '이벨린의 비범한 일생'


https://www.netflix.com/kr/title/81759420


*이미지 출처: Netflix, Screen Rant, Polygon 등


*인스타그램: @cosmos__j

*모임/강의 등 공지사항: linktr.ee/cosmos__j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