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한 Jul 06. 2023

좋은 명상과 나쁜 명상

"좋은 명상, 나쁜 명상은 없다. 그저 명상을 한다와 안한다로 나뉠 뿐이다."


위의 말은 ‘진정한 나의 본성(=존재의 순수한 밑바탕=내면의 중심)’을 느꼈냐 못 느꼈냐를 가지고 명상을 한다와 안한다는 이분법으로 구분한 것 같습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견성(見性)’을 했냐 못했냐, ‘참나’를 만났냐 못 만났냐로 명상을 나눠본 것 같다는 말이죠.


혹은 명상의 효과를 이러쿵 저러쿵 논하기 전에 뭐가 되든 일단 명상을 해보라는 실천적인 측면을 강조한 말 같기도 하네요.


그럼에도 좋은 명상과 나쁜 명상을 굳이 구분해보자면, 가부좌를 틀고 눈을 감는 등 명상의 형식을 취하면서 머리로는 끊임없는 잡념에 매몰된다면, 정확히는 명상이라고도 말할 수 없겠지만, 나쁜 명상이라고 말할 수 있겠죠. 반대로 특정한 명상의 형식을 취하지 않는다 해도, 육체가 운동하고 감각이 변화하는 와중에도 언제 어디서나 고요하고 또랑또랑한 ‘순수 의식’을 각성해서 나와 상황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관찰할 수 있다면 좋은 명상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더불어 명상의 깊이 측면에서 말하면 불교에서는 ‘1선정’부터 ‘4선정’까지, 그리고 ‘멸진정’으로 명상의 깊이를 구분하기도 합니다(1선정<2선정<3선정<4선정<멸진정). 더 깊이 들어갈수록 무조건 더 좋은 명상이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만 명상의 깊이에 있어서 수준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참고하는 것도 좋겠죠.


가장 좋은 명상은 때와 장소에 맞게 필요한 만큼 적절한 깊이에서 ‘순수한 의식’을 만나고, 목적에 맞게 활용하는 게 아닐까 싶네요. 일이 없을 때는 명상에 깊게까지도 들어가며 충전하고 영감을 얻어오고, 일이 있을 때도 얕게나마 깨어있는 상태에서 공정하고 객관적인 시선으로 일을 지혜롭게 처리하는 것 말이죠.

keyword
매거진의 이전글 사주팔자 무관성(無官星)의 특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