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주종문 Apr 15. 2019

Indoor Farm(식물공장)에서의 공기조화

Indoor Farm(식물공장)에서의 공기조화

공기조화(空氣調和 : air conditioning )는 실내의 온도·습도·세균·냄새·기류 등의 조건을 그 장소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일이라고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다.

Indoor Farm(식물공장)에서의 공기조화는 지상부와 지하부 환경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지상부는 잎줄기의 생장과 광합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공기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농도, 풍속 등을 적절히 조절합니다.

지하부는 뿌리의 생장 및 영양액의 흡수를 최적화하기 위해 배지와 영양액의 온도 및 습도 등을 적절히 조절합니다.

Indoor Farm(식물공장)에서의 공기조화(air conditioning)는 광조사와 더불어 환경 및 생육 모니터링을 통해 환경제어와 생장조절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식물의 주년 계획생산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Indoor Farm(식물공장)의 환경요인은 온도/습도/Co2농도/기류 속도/잡균 제어/해충 침입방지 등이 있지만 모든 요인을 동시에 제어하기 어렵기 때문에 식물의 재배환경조건을 충분히 고려하여 경제성을 기준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Indoor Farm(식물공장)의 공기조화(air conditioning)  제어 항목과 제어방법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온도는 난방, 냉방, 환기, 차광, 안개분무, 스프링클러 등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습도는 가습, 제습 등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Co2농도는 Co2 탱크, 탄산 등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기류 속도는 팬, 냉방과 연계한 배관 등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잡균 제어는 필터(헤파필터 등), 공기청정기, 자외선 살균기, 광촉매 살균기, 살균 수분 무  등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해충 침입은 방충망, 필터(헤파필터 등), 곤충 퇴치기 등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Indoor Farm(식물공장)은 단열이 된 실내에서 재배되기 때문에 공기조화(air conditioning)에 있어 난방부하보다 냉방부하가 더 큽니다.

특히 LED 등 인공광을 활용하는 경우는 광원의 발열량 때문에 겨울에도 냉방이 필요합니다.

야간(암기, 조명 off)은 통상 식물의 호흡으로 말미암은 에너지 소모를 억제하기 위해서 낮(명기, 조명 On)보다 공기조화(air conditioning)를 통해 온도와 습도를 낮게 설정해야 합니다.

이전 07화 Indoor Farm(식물공장) 내의 환경관리 : 바람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