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거진 초록농부
라이킷 16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수직농장에서 지속 가능한 농업이 가능한가?

수직농장에서 지속 가능한 농업이 가능한가?

by 주종문 Mar 07. 2025


2021년부터 지금까지 많은 수직농장 기업들이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어떤 업체들이 있을까?

1. Fifth Season
종자 파종에서 상품포장까지 전과정의 자동화를 목표로 했던 기업이다.
2022년 파산 신청 후 폐업했다.

2. AppHarvest
켄터키 기반 기업으로 2023년 파산보호(Chapter 11)를 신청했다. 초기에 많은 투자를 받았으나 수익성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3. Infarm
독일 베를린에 본사를 둔 글로벌 기업이다.
2022년 말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직원의 약 50%를 해고했다.

4. AeroFarms
대한민국에 가장 많이 알려진 수직농장 기업이다.
2021년 SPAC 합병 계획이 취소되었고, 자금 조달 문제를 겪었다.

5. Plenty
수직농장 기업중 가장 많은 투자를 받은 기업이다.
소프트뱅크 비전펀드, 아마존의 제프 베조스, 월마트 등 투자자의 면면도 압도적이다.
일부 시설 폐쇄와 사업 방향 전환을 진행했다.

6. Bowery Farming
확장 계획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내도 여러기업들이 시도를 하고 있으나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다.
지속 가능한 농업이라는 것은 수익성이 담보가 되어야 한다.
수직농장은 투자자들로부터 수익성에 대한 의심을 받고 있다.
과연 어떤 대책이 있을까?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측면에서 투자해야한다는 말은 공허하다.
공익적인 것은 정부나 시민단체의 일이고 기업, 투자를 받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돈이 되어야 지속가능하다.
수직농장은 과연 돈이 될 수 있을까?

매거진의 이전글 체험및교육프로그램 운영하실곳을 찾습니다.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