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예나빠 Dec 23. 2024

'겸손하면 손해'라는 말의 오해

차라리 겸손함이 나을 때


"S를 내보낸 것에 대해 전혀 미안한 마음은 없어"


매니저는 S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단호하게 정리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S는 우리 팀과 맞지 않는 사람이었다. 매사 부정적이었고, 늘 불평불만을 쏟아냈다고 했다. 참다못한 매니저는 테크 리드와 상의한 끝에 S에게 최하위 고과를 주었고, 몇 달 뒤 S는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퇴사 수순을 밟았다. 그의 퇴사는 권고 사직으로 처리되었으며, S는 회사로부터 퇴직 위로금(severance package)을 받았다. 매니저가 S에 대해 일말의 심적 부채감도 느끼지 않는 이유였다.


매니저와의 1:1 미팅 도중 우연히 들은 S의 퇴사 뒷이야기는 내게 적잖은 충격으로 다가왔다. 업무적으로 S와 자주 협력했지만, 그가 팀과 맞지 않는다고 느낀 적은 단 한 번도 없었기 때문이다. 오히려 그는 동료들 사이에서 평판이 나쁘지 않았고, 업무 능력도 뛰어났다. 동료들의 코드를 꼼꼼히 리뷰해주고, 격려와 칭찬을 아끼지 않던 꽤 괜찮은 엔지니어였다. S와 일하며 그의 인성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 적도 없었다. 물론 가끔 전체 팀 미팅에서 매니저의 의견에 이의를 제기하는 경우가 있긴 했지만, 그것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느껴지진 않았다.


S와 매니저 사이의 균열은 그가 전문성과 다른 복잡한 업무를 맡게 된 후 시작되었다. 익숙하지 않은 영역의 일을 맡은 S는 고전을 면치 못했다. 프로젝트는 당초 스케줄보다 계속 지연되었고, 상황이 악화되자 매니저는 나와 K를 프로젝트에 투입했다.


'내일도 바쁜데...' 갑작스럽게 추가된 업무에 내 마음에도 불만이 피어올랐다. '왜 S의 일정 지연 때문에 내가 피해를 입어야 하지?' 맡은 블록의 설계를 기한 내에 끝내기 위해 밤낮없이 미친 듯이 일했던 기억이 떠올랐다. 그러면서 '내 노력은 헛된 것이었나?'라는 생각마저 들었다.


"S가 석달동안 이 일을 하면서 완전히 번아웃(burnout)이 됐어. 아무래도 전공자가 아니라서 그런가봐. K와 함께 S를 도와서 이일을 잘 마무리해주길 바래."


매니저의 말을 듣고 심리적 저항감을 억누르며 S와 K, 그리고 나는 매일 함께 미팅하며 업무 속도를 높였다. 결국 두 달 뒤 가까스로 프로젝트를 완료했다. 이후 몇 달이 지나, S가 회사를 떠난다는 메일이 팀 전체에 발송되었다. 당시 나는 그저 'S가 이 프로젝트 때문에 심적으로 고생이 심했구나’라고만 생각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이런 복잡한 사정이 숨겨져 있었다.


S는 자신의 전문성과 맞지 않는, 하고 싶지 않은 업무를 맡게 된 것에 대해 매니저와 테크 리드에게 자주 불만을 토로했다고 한다. 아마도 그 일이 자신의 커리어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지 모른다. 그러나 이런 태도는 책임 회피로 비춰질 수 있었다. 결국 매니저는 S가 팀워크를 해친다고 판단해 그를 팀에서 방출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흔히들 미국 회사에서는 자신의 생각이나 하고 싶은 말을 가감 없이 표현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렇지 않으면 본인만 손해를 본다고 여기며, 심지어 "겸손하면 손해"라는 말도 심심찮게 들린다. 하지만 이러한 당당함도 상황에 맞게 '잘' 발휘해야 한다. 자신의 업적을 내세우는 데는 겸손할 필요가 없을지 모르지만, 불만을 있는 그대로 쏟아내는 것은 결국 부메랑이 되어 돌아올 수 있다.


때로는 개선을 요구하거나 자신의 바람을 매니저에게 직접적으로 표현해야 할 때도 있다. 업무량이 과도하거나, 자신의 경력과 성과에 비해 처우가 부당하다고 느낄 때, 혹은 인간관계에서 스트레스를 받을 때, 아무 말 없이 속으로 끙끙대기만 하면 스트레스가 극에 달할 수 있다.


그러나 건설적인 의견 표출과 단순한 부정적 불만은 종이 한 장 차이다. 그리고 우리처럼 언어적, 문화적 장벽을 가진 사람들에게 이 "한 끗"은 쉽게 넘기기 어려운 간극으로 다가온다. 쉽게 말해, 같은 내용을 원어민이 표현할 때는 "의견 표출"로 받아들여지는 반면, 우리가 표현하면 "불만"으로 비춰질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이는 같은 언어와 문화적 맥락을 공유하지 않는 데서 오는 차이 때문이다.


원어민들은 자신의 생각을 솔직히 이야기하면서도 타인의 감정을 배려하는 커뮤니케이션에 익숙하다. 이들은 어릴 때부터 '토론 수업'을 통해 논리적이되 공격적이지 않은 화법을 배우고, '갈등 해결' 수업을 통해 상대방의 입장을 이해하는 훈련을 받는다. 자연스럽게 칭찬과 긍정적인 피드백을 습관화하며, 배려 깊은 언어 사용이 몸에 배게 된다.


미국에서는 과도하게 돌려 말하면 진정성이 없거나 자신감이 부족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어 명확하고 논리적으로 말하는 것을 선호한다. 그러나 동시에 무례하지 않도록 표현을 다듬는 것이 중요하다고 가르친다. 이러한 교육과 환경 덕분에 미국인들은 어린 시절부터 갈등 상황에서도 건설적으로 대화하는 법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된다.


따라서 요구 사항을 당당히 이야기하는 것이 "미국 스타일"이라고 오해해 말을 가다듬지 않고 표현한다면, 후에 낭패를 볼 수도 있다. 특히 치열한 입시와 취업 경쟁을 경험한 우리에게는 말에서 의도치 않게 공격성이 묻어나기 쉽다. 유교적 문화의 영향으로 인해 적극적인 의사 표현이 억눌렸던 반작용으로, 의견을 개진할 기회가 오면 날카로운 비판도 서슴지 않는다. 이러한 적극성이 곧 공격성으로 비춰질 위험이 있는 것이다.


미국과의 문화적 차이와 화법에 익숙하지 않다면, 말을 아끼고 '겸손'을 유지하는 것이 오히려 나을 수도 있다. 그로 인해 입게 되는 작은 손해는 스스로의 평판을 깎는 것에 비할 바가 아니다. 물론 이러한 인내가 스스로의 평화를 깨뜨린다면, 조용히 '이직'을 고려하는 편이 낫다. 이런 경우야말로 진정으로 팀과 자신이 맞지 않는다는 의미다. 미국 회사에서는 자신의 커리어를 위해 이기적으로 업무에 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그 '이기심'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 것이다. 이타심과 겸손을 가장(假裝)할 지라도 말이다.



- 예나빠



표지이미지 출처: unsplash



엔지니어 커리어에 관한 질문은 언제든 아래 글에 댓글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예나빠 브런치 북/매거진 소개


자기계발/정보전달/칼럼

글로벌 엔지니어 성장 로드맵 - 한국의 공학도/경력자들을 위한 자기 계발서 (출간예정)

미국 오기 전에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 미국 진출을 원하는 한국 경력자들을 위한 자기 계발서

미국 연구원과 엔지니어의 길 - 미국 기업 연구원/엔지니어에 대한 정보 전달

실리콘 밸리 북마크 - 실리콘 밸리와 한국의 IT업계를 이야기하는 칼럼


에세이

내일은 실리콘 밸리 - 어느 중년 엔지니어의 곤궁한 실리콘 밸리 이직담 (완).

미국에서 일하니 여전히 행복한가요 - 미국 테크 회사 직장 에세이

미술관에 또 가고 싶은 아빠 - 미술 + 육아 에세이

미술관으로 간 아빠 - 미술 + 육아 에세이 (완)


교양

미술관에 간 엔지니어 - 그래픽스 전공자 시선으로 바라본 미술사. 교양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