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Zero Aug 21. 2023

비가시

잡담

사회생활을 하다 보니 가끔 이런 말을 들을 때가 있어요. 나도 특전사 가려고 했었는데라는 말요. 회사나 아니면 지인의 아는 사람을 만났을 때 어쩌다가 군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면 이런 말들이 따라붙더라고요. 사실 막상 가서 생활해 보면 별 것 아니지만 그래도 특수부대에 지원한다는 건 많은 용기가 필요하죠. 더군다나 요즘같이 정보가 많이 없던 저희 세대 같은 경우에는 더욱더요. 최초 누군가 뿌린 작은 이야기 하나가 입에서 입으로 전 달 되어 전설 같은 공포의 눈덩이로 변해 우리 앞에 와있을 때는 말이죠. 그래서 그 두려움을 이기는 사람은 지원을 하게 되고 못 이기는 사람은 마음이 있어도 결국 지원을 포기하고 말죠. 다시 말해 육체적인 능력을 떠나 정신적으로 자신의 내면과 싸워 이긴 사람은 특수부대원이 되고 반대로 자신과의 정신적인 싸움에서 진 사람은 그냥 그 자리에 머무는 것이죠. 그럼 이 말은 무엇이냐. 나도 갈려고 했는데라는 말은 존재의 의미가 없다는 거예요. 갔거나 안 갔거나 둘 중 하나만 있을 뿐 갈려고 했는데라는 말은 설 자리가 없다는 거죠. 지원을 해서 탈락을 했다거나 아니면 지원을 했는데 신체적으로 또는 다른 이유로 불합격해 가지 못했다면 몰라도 지원조차 하지 않고 갈려고 했었는데라고 말하는 건 아무런 의미가 없는 말일 뿐이라는 거예요. 물론 이런 제 이야기가 그런 말을 한 사람들을 너무 가혹하게 매도하는 소리로 들릴 수도 있어요. 하지만 제가 이런 말을 할 수 있는 근거는, 제가 근무하면서 본 여러 가지 사례 때문이에요. 저희 부대는 지원을 해서 서류, 체력, 신체검사, 소양평가등의 선발 과정을 거쳐 합격이 돼야 입대할 수 있어요. 그런데 제가 아는 동료 중에는 무려 다섯 번이나 탈락한 후 여섯 번 끝에 결국 입대에 성공한 사람이 있어요. 또 기본 훈련 과정이 6개월인데 훈련 중 부득이한 사고로 중도 퇴교 조치를 당하고도 재 지원해 처음부터 다시 선발 과정을 거친 후 신병교육부터 다시 6개월의 훈련 거쳐 임용된 후 4년의 근무기간을 무사히 마치고 제대한 사람도 있고요. 이런 사례들은 생각보다 많아요. 오로지 특수부대원이 되기 위한 의지로요. 그렇기 때문에 앞에서도 이야기했듯 지원 후 시험의 탈락이나 기타 이유가 아닌 지원도 하지 않은 채 나도 갈려고 했는데라는 말은 그들의 사례를 비춰 보면 결국 겁을 먹고 자기 자신에게 진 구차한 변명일 뿐이라는 생각이 드는 거죠. 여담이지만 사실 저는 특전사를 제대하고 한 달 후 다시 병무청을 찾아갔어요. 다른 특수부대에 가보려고요. 하지만 지원해 놓고 막상 시험 치려니 용기가 나지 않았어요. 중사까지 달고 제대한 제가 다시 저보다 어린애들한테 특전사 하사 시절처럼 하루에 세네 시간 정도 매일 밤 구타당해야 한다는 게 너무 겁나더라고요. 훈련은 어떻게든 버텨 볼 수 있겠는데 구타는 도저히 각오가 안서더라고요. 특전사에 올 때처럼 아예 몰랐으면 용감했을 텐데 그 고통을 알기에 더 무서웠던 거죠. 그래서 포기했죠. 지금 생각하면 시험을 치고 입대해봤었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한 게 제일 후회돼요. 정신력에서 자신에게 진 거죠. 한심하게. 한 가지 웃어운건 처음입대해서 신병교육을 받기 전 교관들이 설문조사를 하면서 다른 부대 갔다 온 사람이 있느냐고 물었거든요. 그때 저는 그 교관이 미쳤다고 생각했어요. 제정신이 아닌 다음에야 누가 군대를 두 번 오겠어요. 그런데 훗날 제가 그러고 있더라고요. 그러니까 결론은 뭐냐. 인생에서는 했거나 안 했거나의 가치만 존재할 뿐 하려고 했는데라는 비 가시적인 말은 그 누구에게도 전혀 쓸모가 없다는 거. 바로 그거예요.

작가의 이전글 환생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