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COMMA MAGAZINE Feb 24. 2024

[Editor's Pick] 이런 사투리 들어보셨어요?

미디어 속 '사투리 콘텐츠' 열풍

"잠이 깔끼하네” "바쿠쌉꿀빠" 


사투리가 다시 전성기를 맞았습니다. 아니, 제대로 말하면 '엉터리 사투리'가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요즘이죠. 얼마 전까지만 해도 1990년대 문화를 재현하는 레트로 열풍에 힘 입어 '서울 사투리'가 유행하더니, 최근에는 실제로 존재하지도 않는 개그용 ‘엉터리 사투리’에 대한 반응이 뜨겁습니다. 


이미지 출처: 유튜브 채널 ‘피식대학’ 캡처


그 중심에는 29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브 코미디 채널 ‘피식 대학’에서 활약 중인 개그맨 이용주가 있는데요. 그는 자신이 부산 출신이라고 우기지만 어색하고 엉뚱한 사투리를 구사하는, 이른바 ‘경상도 호소인’ 입니다. 이용주 님은 실제로 부산에서 태어났으나 어린 시절 다른 지역에서 생활한 탓에 사실상 정확한 부산 사투리를 구사하지 못합니다. 


그러다 피식 대학의 토크쇼 ‘피식쇼’에 부산 출신 배우 강동원 님이 출연하면서, 아주 흥미로운 에피소드가 발생합니다. 강동원 님이 ‘경상도 호소인’ 이용주 님에게 부산에서 바퀴벌레를 무엇이라 부르냐고 물었는데, ‘강구’ 라는 사투리를 몰랐던 이용주 님이 ‘바쿠쌉꿀빠’라는 괴이한 답변을 내뱉은 것이죠. 난생 처음 들어보는 괴상한 사투리에 촬영장은 온통 웃음 바다가 됐고, 해당 영상의 숏츠는 조회수 523만 회라는 폭발적인 수치를 기록하며 엉터리 사투리는 하나의 ‘밈(meme)’으로 자리 잡게 됩니다. 


한편, 대중들은 잘못된 사투리 표현을 넘어 ‘실제’ 사투리에도 꾸준한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유튜브 채널 ‘하말넘많’에서 지역별 사투리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업로드한 ‘경상도 사투리 특강’ 영상은 조회수 177만 회를 기록했고, 개그맨 김두영이 상황별 충청도 사투리 표현을 소개하는 영상 또한 수십만에서 수백만회에 이르는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죠.


이미지 출처: 픽사베이


그렇다면 우리는 왜 사투리에 이토록 열광하는 것일까요? 전문가들은 다양성이 중요한 가치가 된 사회 풍조가 그 원인이라고 말합니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각 지역이 가진 정서적 특성이 사투리로 묻어나면서 공감대와 웃음을 주는 측면이 있다”며 “예전에는 사투리를 개그 소재로 쓰면 지역 비하로 받아들이는 시선도 있었지만, 최근에는 오히려 지역에 대한 색깔을 강조해서 다양한 방언을 호의적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더해졌다”고 평가했습니다. 


사투리와 같은 지방 문화에 대한 관용도가 높아진 데에는, 이를 다루는 미디어의 접근 방식의 변화가 가장 크게 작용합니다. 사실 초창기 방송 분야에서는 사투리를 코미디 프로그램의 개그 소재로 자주 활용하다 보니, 사투리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도 많았는데요. 그러다 신원호 감독의 드라마 <응답하라 1997>에서 주인공들의 담백한 경상도 사투리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며, 사투리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이 상당 부분 뒤집어지게 됩니다. 이제 사투리는 더 이상 웃음을 유발하는 소재가 아니라, 멋있고 매력 있는 어투라는 새로운 인식이 형성된 것이죠. 현재까지도 그 기세를 이어 사투리를 사용한 영화 및 드라마가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최근 국내 OTT 플랫폼에서 방영된 ‘소년시대’에서는 배우 임시완 님의 맛깔나는 충청도 사투리 연기가 호평을 얻었고, 경상도 배경의 ENA 드라마 ‘모래에도 꽃이 핀다’ 역시 주인공들의 찰진 사투리가 작품의 매력을 배가했죠. 이렇듯 대중들이 미디어를 통해 사투리를 접하고 자연히 그에 대한 관용과 이해의 태도를 갖추게 된 것입니다.


이미지 출처: Unsplash


하지만 갑자기 떠오른 ‘엉터리 사투리 붐’에 거북함을 느끼며 반감을 표하는 이들도 존재합니다. 말 그대로 ‘엉터리’일 뿐 해당 지방에서는 실제로 사용하지 않는 사투리 표현인데, 오직 웃음을 목적으로 사투리를 쓰는 콘텐츠들이 여럿 존재하기 때문인데요. 사투리라는 명칭을 남발하며 옳지 못한 표현을 거듭하는 이들의 모습은, 실제 해당 지방 출신인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기에 충분합니다. 사투리를 소재로 삼는 미디어는 이 지점을 깊이 숙고하여, 재미를 위해 제작된 콘텐츠가 자칫 지역 비하로 이어지지 않도록 주의하는 태도를 갖추어야 할 필요성이 있어 보입니다. 이를 받아들이는 우리 또한, 유행을 방패 삼아 한 지역의 고유한 언어를 너무 가벼운 마음으로만 소비하지는 않았는지 점검해 보아야 하고요.


 에디터 역시 사투리의 매력에 흠뻑 빠져 헤어나오지 못하는 중입니다. 경기도에서 나고 자라 평소 사투리와는 거리가 멀었음에도, 알 수 없는 유튜브 알고리즘에 이끌려 이제는 사투리에 관심이 많은 ‘명예 지방인’이 되었는데요. 야심한 새벽 시간이 되면, 종종 친한 대구 출신 동기들을 향해 졸리다는 말 대신 ‘잠 온다’(‘졸리다’의 경상도 사투리)는 문자를 보내곤 합니다. 저의 이러한 모습에는 아무래도 미디어 속 사투리 콘텐츠가 큰 영향을 미쳤던 것 같은데요. 이러한 사투리 콘텐츠를 향한 관심은 해당 지역의 특색이 담긴 언어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 자양분이 될 수 있지만, 이는 지역에 대한 존중과 다양성에 관한 관용의 자세가 뒷받침되었을 때 가능한 이야기라는 것을 늘 명심해야 합니다. 사투리는 낯선 억양이나 어휘 정도의 개념이 아닌, 그 지역의 정서나 문화를 모두 포괄하는 소중한 ‘문화’니까요.

작가의 이전글 [Editor’s Pick] 시선의 방향, 그 끝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