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동동이 Sep 23. 2024

교육소외계층을 위한 미래교육은 ?

학교 밖 청소년 미래교육에 대해(1탄)

# 디지털 시대의 교육: 변화와 도전


어젯밤, 스마트폰으로 하버드 대학의 온라인 강의를 들으며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가 학창 시절에 이런 기회가 있었다면 어땠을까?" 불과 10년 전만 해도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일이 이제는 일상이 되어버렸습니다. 교육의 풍경이 급격히 변하고 있는 지금, 우리는 어떤 미래를 그려나가야 할까요?


제가 처음 미네르바 스쿨에 대해 들었을 때, 솔직히 반신반의했습니다. 캠퍼스 없는 대학이라니, 말이 되나요? 하지만 이내 깨달았죠. 우리가 알던 '학교'의 개념이 완전히 바뀌고 있다는 것을요. 테네 대학 같은 혁신적인 교육 기관들이 등장하면서, 이제 교육은 더 이상 특정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게 되었습니다.


2008년, 인도의 한 소년이 온라인 수업만으로 미국 명문대에 합격했다는 뉴스를 접했을 때, 저는 그저 예외적인 사례라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어떤가요? Coursera, edX 같은 MOOC 플랫폼의 사용자가 1억 8천만 명을 넘어섰고, 유튜브에서는 매일 10억 시간 이상의 동영상이 시청되고 있습니다. 그중 상당수가 교육 콘텐츠라는 사실! 우리는 지식의 대양 한가운데 서 있는 셈입니다.


그러나 이런 풍요로움 속에서 새로운 도전도 생겨났습니다. "아무리 좋은 강의가 있다 하더라도, 그것을 듣고 활용하지 않는다면 무용지물이겠죠." 이 말에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이제는 단순히 정보를 습득하는 것을 넘어, 그 정보를 어떻게 활용할지 스스로 판단하고 적용하는 능력이 중요해졌습니다. 세계경제포럼이 2025년까지 전 세계 노동자의 50%가 재교육을 받아야 할 것이라고 전망한 이유도 여기에 있겠죠.


최근 카이스트의 '실패연구소' 소식을 들으며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실패학회: 망한 과제 자랑 대회'라니, 얼마나 신선한 발상인가요? 과거에는 실패를 부끄러워하고 숨기기 바빴는데, 이제는 그것을 공유하고 배움의 기회로 삼는다니 말입니다. 일본의 한 대학에서 '실패학'을 정규 과목으로 채택했다는 소식도 들었습니다. 우리 사회가 실패를 바라보는 시각이 얼마나 달라졌는지 실감하게 되는 순간이었죠.


이 모든 변화를 겪으며, 저는 교육의 본질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교육은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변화하는 세상에 적응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아닐까요? 그리고 그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배우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앞으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저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첫째, 평생학습의 자세를 가져야 합니다. 학습은 더 이상 학교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를 키워야 합니다. 온라인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능력이 중요해졌으니까요. 셋째,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아야 합니다. 실패는 성공으로 가는 징검다리입니다. 마지막으로,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력을 길러야 합니다. 이는 AI가 대체할 수 없는 인간만의 능력이니까요.


교육의 미래는 이미 우리 곁에 와 있습니다. 이 변화의 물결 속에서 우리 모두가 능동적인 학습자로 성장하고,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이신가요? 이 새로운 교육의 시대에, 우리는 어떤 모습으로 변화해 나가야 할까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