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재석 Aug 25. 2022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선언" (3)

Ⅲ. 지배의 정보과학


Ⅲ. 지배의 정보과학           


1) 산업 자본주의가 만든 변화에 비견할 만큼 새롭고 광범위한 변화를 일으키는 세계질서가 출현하는 중이다. 나는 그 과정에서 계급, 인종, 젠더의 본질 자체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주장에 뿌리내린 정치를 옹호한다.     


① 헤러웨이는 과거의 산업자본주의 시대는 계급, 인종 , 계급의 정체성이 위계적이고 이원론적 분류를 지향하는 사회였다고 본다. 그러나 현재는 네트워크가 광범위하게 실행되고 있는 세계로 변화하고 있다. (해러웨이는 네트워크가 광범위하게 실행되는 사회를 지배의 정보과학 시대라고 말하고 있다.)      


② 위계적인 관계에서 네트워크적인 관계로 세계질서가 변하였으니, 이런 토대에 기반하는 계급, 인종, 젠더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필요하다.           



2) 현재 우리는 유기체적이고 산업화된 사회로부터 다형적인 정보체제로 이행하는 흐름 속에서 살고 있다. ---- 종래의 안락한 위계적 지배에서 내가 지배의 정보과학이라고 부르는 무섭고 새로운 네트워크로 이행(하고 있다)


지배의 유기 역학                  지배의 정보과학 (몇 개만 옮겼습니다)

열                                            소음

우생학                                       인구 통제

위생                                          스트레스 관리

번식                                          복제

가정/공장에서의 과학 경영             전 지구적 공장/전자 가내 공업  

자연/문화                                    차이의 장

협동                                           커뮤니케이션 개선

노동                                           로봇공학

정신                                           인공지능

2차 대전                                      스타워즈

백인 자본주의 가부장제                   지배의 정보과학     



① 이전 시대의 ‘지배의 유기 역학’이나 현대의 ‘지배의 정보과학’ 모두 시대의 상황 속에서 만들어져 코드화 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연적인 것이 아니고 비자연적인 것이고, 영원한 것이 아니고 역사적인 것이다.  

   

② 미세 전자 공학, 생명 과학기술로 충만한 세계에서 통제전략은 경계를 넘어서는 소통의 기호가 중요하다.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소통하는 기호를 찾아 그 흐름의 비율을 조정하면서 소통 능력을 키우는 것이 지배의 정보과학 시대의 요구이다.     


③ 지배의 정보과학 시대에는 남성, 여성이라는 각각의 성에 부여된 본질적 특성이나 역할이라는 개념은 힘을 상실했다. 가족 내에서 정해진 성의 역할이나 유성생식에 기반한 생물학적 성의 역할도 설득력을 잃었다. 왜냐하면 이 모든 것은 타고난 본질적 특성이나 역할이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3) 대상, 공간, 신체는 그 자체로 신성하지 않다. 공통 언어를 매개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적절한 기준과 코드만 있다면, 모든 구성요소가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접합될 수 있는 것이다.      


① 대상, 공간, 신체는 독자적인 완결성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이질적 대상, 이질적 신체가 상호 소통되는 신호를 만들어 서로 매개하고 소통하는 사회이다. 이제 세상은 상호 소통이 기본이 되는 인터페이스의 세계이다. 이런 세계에서는 상호 소통의 언어인 공통의 언어를 찾는 것이 중요하고, 그 소통의 언어가 오류를 일으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4) 커뮤니케이션 과학과 현대 생물학은 공통의 움직임에 의해 구성된다. 이는 세계를 코드화의 문제로 번역하기, 즉 도구적 통제에 맞서는 저항을 모두 소멸시키면서 모든 이질성을 분해, 재조립, 투자, 교환에 종속시키는 공통 언어에 대한 추구다.      


인공두뇌의 (피드백 – 통제) 체계 이론은 커뮤니케이션 과학에서 세계가 코드화 문제로 번역되는 양상을 잘 보여준다. 사이버네틱스 이론은 전화 통신 기술, 컴퓨터 설계, 무기 배치, 또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축과 유지에 적용되는 이론이다.      


① 세계는 기계문명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높아졌고(사물인터넷, 인터페이스 등등), 현대 생물학에서도 신경과학, 뇌의학 등에서 공통의 언어를 찾으려는 노력이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5) 이제까지 살펴본 커뮤니케이션 과학 및 생물학의 예는 일상과 동떨어진 현상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런 과학 기술의 변환은 우리가 사는 세계에 근본적인 구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며 나의 이러한 주장은 평범한 일상의 현실, 주로 경제적 현실로 뒷받침된다.      


---- 커뮤니케이션 과학과 생물학은 기계와 유기체의 차이가 완전히 모호한 자연 – 기술적 지식 대상의 구성물이다.           


6) 하이테크가 촉발한 사회관계에 뿌리내린 인종, 성, 계급의 재배치는 사회주의 페미니즘을 효과적인 진보 정치에 더 적절하게 만들 수 있다. 

작가의 이전글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선언" (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