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보현 Oct 14. 2024

36. 회화나무 세 그루

<양재천 산책>



회화나무와 관련된 이야기는 전국적으로 찾아보면 많이 있을 것이다. 이는 회화나무가 오래 사는 데다가 거목으로 자라고, 귀한 대접을 받아서가 아닐까 하고 생각해 본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유명한 세 회화나무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산청 예담촌의 회화나무

산청 예담촌은 나의 시골집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어 예담촌이라고 하면 마치 이웃집인 듯 정답게 느껴지는 곳이다. 그런데 사실은 시골집에 내려갈 때마다 시간에 쫓겨 이곳에서 한가롭게 시간을 보내지는 못한다. 한 번씩 큰맘 먹고  들르면 잘 정비된 돌담과 오래된 고가들이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을 제1호로 지정된 장소임을 실감케 한다. 이곳에는 이 씨 고가, 최 씨고가, 이동서당, 사양정사, 망추정 등 귀한 문화유산도 많이 있지만 오래된 감나무, 매화나무, 회화나무 등 자연유산도 풍부히 보존되고 있다. 



예담촌 안내표시판: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을 1호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곳에 양반촌답게 회화나무들이 많이 있다. 특히 돌담 골목을 기웃거리다 마주치는 노거수 회화나무 두 그루는 예담촌을 대표하는 풍경이다. 이 회화나무의 나이는 310년 정도로 추정된다고 한다. 한 그루는 비스듬히 누워있고 쓰러질듯한 이 나무를 건너편 다른 나무가 받쳐주듯 안아주고 있다. 그래서 말 지어내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이들에게 부부 회화나무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다. 부부가 이 나무 아래를 지나가면 백년해로를 한다는 전설도 만들어졌다. 영화 <왕이 된 남자>의 주인공들이 이 나무 아래에서 백년가약을 약속한 로케 장소로도 유명하여 많은 청춘남녀가 이 나무 아래를 다정하게 지나간다. 말하자면 예담촌의 회화나무는 비록 비스듬히 드러누워 있지만 행복한 나무인 셈이다. 

이 씨 고가 입구에도 또 한그루의 회화나무가 장대하게 서서 예담촌을 지켜보고 있다. 이 회화나무는 450년의 수령으로 추정되어 예담촌에서 가장 오래된 회화나무로 여겨진다. 

8월에 이곳을 방문했을 때 회화나무가 미색의 꽃을 활짝 피우고 있었다. 


 

남사예담촌의 부부 회화나무(왼쪽)와 이씨고가 내 회화나무




안동 천전리 내앞마을의 의성 김 씨 종택의 회화나무

안동 천전리 내앞마을의 의성김 씨 종택은 청계 김진(1500~1580년)을 불천위로 모시는 종가이다. 김진은 자식 교육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 아들 오 형제를 모두 과거에 급제시킨 입지전적 인물이었다. 그 아들 중 한 명이 학봉 김성일이었다. 학봉 김성일은 퇴계 이황의 수제자의 한 사람이었다. 그가 선조 때 일본에 부사로 파견되었다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쥐새끼처럼 생겨 전쟁을 일으킬 인물이 못된다고 보고함으로써 임진왜란을 제대로 준비하지 못하게 했다고 지금까지 비난받고 있는 그 사람이다. 일본군이 쳐들어오자 그는 진주성으로 스스로 달려가 왜군과 싸우다가 진주성에서 전사하였다. 


현재의 이 김 씨 종택은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학봉 김성일이 북경의 대저택을 참조하여 중건하였다고 한다. 현재까지 잘 보존되어 있는 이 주택은 독특한 구조로 인해 지방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그런데 이 집안에 수령 300년 된 회화나무 한 그루가 서 있다. 불천위를 모신 유명한 양반 집안에 회화나무가 있는 것이야 당연한 일이겠지만 이 나무가 특별한 이유는 바른 소리를 하다 금부에서 이 집 주인을 소환하기 위해 보낸 말을 맨 곳으로 유명한 나무이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 선비의 목소리는 왕도 잠 못 들게 할 만큼 카랑카랑하였다. 이 나무에 몇 번이나 왕이 보낸 사자가 말을 매었다니 이 집안의 기개를 짐작게 한다. 양반이란 목숨을 내놓고 바른 소리를 할 수 있는 사람인 것을 이곳의 회화나무는 보여준다. 의성 김 씨 종택의 회화나무는 양반의 기개가 무엇인지 보여주는 의엿한 나무이다. 


천전리 의성김 씨 종택의 회화나무



해미읍성의 회화나무

충남 서산시 해미면에 있는 해미읍성 내에는 수령 약 300년 된 회화나무가 한 그루 서 있다. 이 회화나무가 유명한 이유는 천주교 신자들을 매달아 고문하고 죽이는데 이 나무가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해미는 조선 중기 1,400~1,500여 명의 군사가 주둔하는 진영으로 군사적 요충지였다. 군사를 거느린 무관 영장은 해미 현감을 겸하였고, 해미 현감은 충청좌도의 내포 지방 해안 수비 명목으로 국사범을 처형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었다. 내포지역은 당시 가장 많은 천주교인들이 거주하고 있었다. 

이 지역의 신자들은 천주교 박해가 있을 때마다 대규모로 체포되어 해미읍성으로 끌려갔다. 이들은 해미읍성에서 갖은 고문을 당하였고, 마지막으로 해미읍성 서문 밖과 해미천변(여숫골)에서 처형되었다. 1866년의 병인박해까지 이곳에서 약 1,000명이 넘는 교인들이 순교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곳 감옥에 수감된 천주교 신자들은 손발을 묶이고 머리채를 묶인 채 동쪽으로 뻗어있던 회화나무의 가지에 매달려 고문을 당했다고 한다. 호야나무라고도 불린 이 회화나무에는 지금도 천주교인들을 고문하는 데 사용된 못이 남아있다. 이후 동쪽 가지는 훼손되어 옹이만 남았고 가운데 가지는 폭풍에 부러져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 

해미읍성의 회화나무야 말로 가장 슬픈 회화나무일 것이다. 

 

해미읍성의 회화나무















작가의 이전글 44. 가을의 전령 억새, 갈대, 수크령 삼총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