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과 혁신의 시발점
[Rubber Soul]은 비틀스 앨범들 중 내가 가장 좋아하는 작품이다. 그다음은 [Abbey Road] 그다음은 [The Beatles], 그리고 [Revolver]와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순이다. 그러고 보니 저 걸작들에서 벌어진 모든 혁신은 결국 [Rubber Soul]에서 비롯된 거였다. 야심 찬 로큰롤러에서 예술을 하기 위해 조금은 다른 길을 택한 네 남자의 첫 발. 아메리칸 정통 소울을 동경하는 자신들의 소심한 질투를 앨범 제목으로 쓴 비틀스의 실험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보라. 첫 곡부터 압도적이다. 1965년 10월 12일 작업에 들어가 12월 3일 음반을 완성해낸 그들의 패기가 모타운 비트를 먹인 ‘Drive My Car’에 실려 뜨겁게 질주한다. 이 곡은 전작인 [Help!]까지 고수한 로큰롤 노선을 알앤비라는 옆길로 살짝 틀어 다시 척 베리와 리틀 리처드를 만나러 가는, 비틀스 입장에선 의미 있는 시도이자 중요한 도약이었다. 그리고 그 시도와 도약은 밴드를 넘어 팝 역사에까지 흔적을 남기게 되는데 무라카미 하루키가 반해 소설로까지 써버린 포크 블루스 트랙 ‘Norwegian Wood (This Bird Has Flown)’에서 조지 해리슨이 연주한 시타르(Sitar)가 팝 앨범에 최초로 등장한 것이다. 이는 ‘In My Life’의 피아노 연주가 테이프 회전수를 바꾼 것과 더불어 본작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된다.
조지 해리슨의 두각은 단순히 시타르 연주에서만 나타난 것이 아니었다. 그는 이 작품에서 두 곡(‘Think for Yourself’ ‘If I Needed Someone’)을 써냈고 아름다운 화음을 자랑하는 ‘Nowhere Man’과 박력 있는 ‘The Word’에선 존, 폴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작곡자로서 당당했다. 더 이상 비틀스의 그림자가 아닌 송라이터로서 실존을 맛본 조지 해리슨이 중요한 이유는 이후 장기하가 ‘내 사람’으로 오마주 한 ‘Taxman’과 시타르를 전면에 내세운 ‘Within You Without You’, 화이트 앨범의 가장 인상적인 낭만 ‘While My Guitar Gently Weeps’, 그리고 [Abbey Road]를 더욱 아름다운 앨범으로 만들어준 ‘Something’과 ‘Here Comes the Sun’을 우리가 듣게 되기 때문이다. 그의 곡들을 사랑하는 글쓴이 입장에서 이만큼 감격스러운 일은 일찍이 비틀스 역사에 없었다.
물론 이 앨범에서 가장 뜨거운 지점은 역시 폴과 존이 스쳐간 곳이긴 하다. 각각 ‘Michelle’과 ‘Girl’의 멜로디로 천재성을 발휘한 둘은 ‘What Goes On’에 겨우 이름을 올린 링고 스타를 더 작아 보이도록 했다. 줄리 테이머가 비틀스에게 바친 자신의 영화 <어크로스 더 유니버스> 첫 장면에서 괜히 ‘Girl’을 쓴 게 아닐 것이다. 도피하며 성찰하는 존 레넌의 쓸쓸함이 본격화되는 이 곡이 이 작품의 중추였던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Rubber Soul]은 [Beatles For Sale]과 마찬가지로 크리스마스 특수를 노린 앨범이었다. 하지만 그때와 다른 건 그들이 투어와 TV 출연보다 레코딩 작업, 더 정확히는 어레인지와 엔지니어링에 더 큰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실험과 혁명은 바로 이때부터 시작되었고 이후 일어난 일들은 당신과 내가 아는 그대로이다. 역사와 평단은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에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극찬을 쏟고 공을 돌리고 있지만 만약 [Rubber Soul]이 없었다면, 이라는 중요한 가정은 외면하는 듯 보인다. 그 가정을 하는 순간 사실상 팝 역사는 완전히 다시 쓰이는 것인데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