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장웅진 Oct 01. 2024

'로봇(Robot)'의 아버지 카렐 차페크 (3)

카렐  차페크의  사상적  성장

 


 많은 작가들 그리고 여타 다른 분야의 지식인들은 인간성에 대해 새로운 방향의 정립을 해야 한다는 점과 제1차 세계대전 내내 경험할 수 있었던 그 무시무시한 일들이 이 세상에서 다시는 재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통감했다.

물론 예술가들이  전쟁경험에서 끌어낸 결론들은 종종 모순된 것들이기도 했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러시아에서 있었던 혁명에서 마르크시즘의 영향을 받은 유럽 지식인들 중 상당수는 국제적 자본주의의 탐욕성과 오만함 때문에 제1차 세계대전이 일어났다고 확신했다.

그렇기에 그들은 자본주의 체제의 잔혹함을 끝낼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사회주의적인 혹은 심지어 공산주의적인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좀 더 인간적인 사회를 건설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제1차 세계대전경험에서 얻은 카렐의 결론은 지극히 양면적인 것이었다.

일단 무시무시한 상황들이 벌어졌음은 논외로 하고  말하자면, 제1차 세계대전은 체코인들에게 독립된 공화국을 가져다 준 사건이었다.  이 공화국은 역사적으로 체코인들이 자신들의 땅이라 주장했었던 것보다 훨씬 넓었다.


현재의 슬로바키아와  합쳐진  상태로  독립했던  체코  https://en.m.wikipedia.org/wiki/First_Czechoslovak_Republic


카렐은 사회의 발전을 위한 기초적인 필수조건이라 할 수 있는 민주주의 체제 하에서 자기  민족이 독립하는 것을 봤다.

이는 역사가 그의 세대에게 제공한 ‘기회’라고도 할 수 있었고, 또한 넓은 의미에서 보자면 이다음 세대의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 사용될 ‘혜택’이라고도 할 수 있었다.


  카렐의 놀라우리만치 창조적인 산출물 때문에 카렐은 이 당시의 민주화된 체코 문화계를 이끌어갈 대표자가 되었다.

카렐의 문학적 기여도 때문에  그는 눈에 띌 정도로 정치적인 사설들, 수천에 이르는 신문기사들, 돋보이는 신문연재 문학작품들과 칼럼들을 통해서 그 당시 가장 현대적인 시민들 사이의 이슈에 대한 그의 관점들을 제공했다.

카렐은 정치적인 글들과 수필들을 발표함으로서 20세기의 가장 위험한 2가지 이데올로기들, 즉 소련 공산주의와 독일의 국가사회주의(나치즘)에 대항하여 논쟁했다.

이러한 이데올로기들은 유럽 문화에서의 인본주의의 전통이기도 한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있었다.


  카렐은 실용주의에서 철학적인 영향을 받았는데, 이러한 ‘실용주의’는 이 당시 특히 미국 내에서 적잖은 주목을 받았다.

윌리엄 제임스,  존 듀이 같은 실용주의자들은 인간의 지식과 마음가짐의 관계에 대해서 강력히 주장했으며, 이른바 거대한 진실들과 종교들과 이데올로기들의 관계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이렇듯 기초적인 가설은 당시 세계를 구하기 위한 모든 세대의 그리고 모든 기념비적인 비전들에 대해 저항하도록 사람들을 이끌었다. 즉, 세계가 필요로 하는 것은 거대한 진실들이 아니라 ‘관용’이며, 또한 여기서 의미하는 ‘관용’이란 자기 자신의 것과 다른 생각이나 행동 등에 대해 방어하는 입장을 취하는 사람들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용한 진실을 발견해내는 훌륭한 사람이 되는 것임을 의미한다.


  카렐은   제1차 세계대전 동안 에드바르드 베네스 박사(체코슬로바키아의 제2대 대통령이 된 인물)의 강의를 들으면서 이미 실용주의를 받아들였던 상황이었다.

작가로서  카렐은 이 철학이 자신의 생각과 일치하는 내용임을 발견했다.  즉, 이 이데올로기는 인간의 심리 상태, 예컨대 편협함이라든가 혹은 모든 것들을 너무나도 단순하게 일반화시키려고만 하는 점 등을 비롯하여 사회 내부의 여러 가지 다양하고 중요한 모순점들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므로 카렐은 여러 실용주의자들의 이론들을 자신의 것으로 소화했으며, 또한  그러한 이론들을 총체적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이 사회적 모순의 원인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과 이러한 모순들을 해결하기 위한 난폭한 시도들 또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 믿었다.

카렐은  수많은 수필들에서 그의 이러한 생각들을 발전시켰다. 사실 그의 산문들과 드라마들의 일부도 그의 이러한 실용주의적 사고를 설명하려고 시도하려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로봇(Robot)'의 아버지 카렐 차페크 (4)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