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3 댓글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우리는 왜 그렇게 공정, 공평에
집착하는가?

by 박프로 Mar 20. 2025

고위 공직자 후보들을 대상으로 인사 검증을 하면 여지없이 본인이나 아들이 군대 가지 않았다고 

온 나라가 난리다. 누구는 군대를 다녀와야 힘든 일도 경험할 수 있다고 하지만, 

할 수만 있다면 피하고 싶을 것이다. 


대기업 총수 자식들 중에 군에 입대한 사람은 별로 없다고 들었다.

누구는 그 사람들이 군대 가는 것보다 미사일 하나 사서 나라에 기부하는 게 더 좋지 않냐고도 하더라.


우리나라는 국민 개병제다. 누구나 신분이나 재산에 상관없이 군대에 가야 된다는 것이다. 

누구나 공평해야 된다는 것이다. 그 누구도 예외 없이. 


한나라의 장관쯤 하려는 사람이 이 기본적인 룰에서 벗어 나는 걸 도저이 참을 수 없는 것이지. 

옛날에도 능참봉, 요즘으로 하면 9급 면서기라도 하려는 이유가 군역 면제 때문이었다고 한다.


자식이 대학 들어갈 때, 뭔가 특별한 수단을 이용한 것도 질타의 대상이다. 

가장 공정해야 할 시험에 예외가 있는 걸 용납할 수 없는 것이다. 시험 준비에 돈 있는 사람들이 

뭔 일을 하더라도 본시험은 공정해야 된다는 것이다. 


하기사 20살에 시험 봐서 결정된 대학이 평생 꼬리표가 되어 그 사람을 평가한다. 

그 이후 그 사람이 어떤 경험을 하고, 노력을 했는가 보다, 20살에 결정된 것이 가장 객관적으로 

그 사람을 평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니 대입 시험은 가장 공정하게 관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전 학력고사 점수로 결정하던 시절과 달리 요즘은 수시 입학 방법도 있어 대학 가는 방법이 

수백 가지라고 한다. 소위 있는 집 사람들은 그들만의 방법으로 좋은 대학 가는 방법이 있다고 한다. 

없으면 수능 점수 잘 받아야 한다.


우리는 왜 이렇게 공평, 공정에 집착하는가?  세상은 정말 그렇게 공평하고, 공정한가? 


세상은 실제 그렇지 못해 이것만이라도 그렇게 되어야 한다는 바람인지도 모르겠다. 


혹시, 본인에게는 그렇지 않은 게 길게 보면, 공평하고 공정한지도 모르겠다. 

인위적으로 가꾼 집 정원과 달리 산길에 무질서하게 놓인 돌하나도 지나고 보면 

가장 자연스럽게 있을 자리에 있는 듯하다.

작가의 이전글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고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