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후의 책방 Jan 17. 2024

세상이 정해놓은 지식을 주입하는 것이 공부가 아닙니다

정재승 교수님 인터뷰

지난 10월, 과학자 100명이 전국 50개 도서관에서 무료로 강연기부를 하는 '10월의 하늘' 행사가 있었습니다. 그 준비를 위해 KAIST 정재승 교수님을 찾아뵈었어요. 인터뷰를 마치고, 아쉬운 마음에 한 가지 질문을 드렸습니다. "과학자가 되고 싶은 청소년에게 전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갑작스러운 질문에 잠시 곰곰이 생각하시던 교수님은 이렇게 답하셨습니다. 단지 과학자를 꿈꾸는 아이들뿐만 만아니라, 끊임없이 지식과 지혜를 찾아가는 모든 이들이 담아두어야 할 이야기였어요. 오늘 그 이야기를 여러분께 전합니다.


https://youtu.be/r2L32jEFPFo?feature=shared


정재승 : 요즘 아이들에게 '과학 공부가 재밌지?'라고 물어보면, 재밌다고 대답하는 어린이를 많이 못 본 것 같아요. 왜 그런가, 봤더니 원래 과학은 내가 진짜로 궁금한 것들에 답을 하는 과정 이 호기심을 해결하는 것이 공부인데, 실제로 아이들은 내가 궁금한 것을 공부하기보다는 세상이 정해 놓은 지식을 머릿속에 집어넣는 걸 공부라고 생각하는 거 같아요.

 그러다 보니 내가 이걸 왜 공부해야 되는지 잘 모르겠고 실제로 호기심을 해결하는 방식으로 공부를 접하지 않다 보니까 공부가 재미없다고 느끼는 거 같습니다. 근데 제가 과학자가 되고 보니까, 과학이라는 결국은 내가 너무너무 궁금해하는 나의 호기심을 해결하는 과정이고 이거는 꼭 과학자가 되지 않더라도 어렸을 때부터 "이건 왜 그러지?"라는, 이 질문을 그냥 참고, 잊고, 그러지 않고 나 스스로 이 호기심을 해결하기 위해 애쓰는 것, 이 자체가 저는 '어린 과학자'라고 생각이 들어요.     

 그런 맥락에서 어릴 때부터 그냥 교과서를 머릿속에 담는 것을 공부라 생각하지 않고 끊임없이 질문하고, 근데 그 질문을 그냥 '궁금하지만 참아요'가 아니라, 그 질문에 답을 얻기 위해서 책을 뒤지고 주변에 누군가에게 물어보고 자기가 직접 실험도 해보고 하는 그 마음, 그 태도 그런 방식의 사고가 이미 어린 과학자의 마음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저는 아이들이 그 마음을 잃지 않았으면 또 그 마음을 어렸을 때 시도해 봤으면, 그게 주는 큰 즐거움들을 만끽하면, 아마도 그들은 되지 말라 그래도 자연스럽게 과학자로 성장하지 않을까... 그런 생각이 듭니다.

이전 08화 나만의 길을 찾는 질문, 왜 좀 더 빨리 하지 못했을까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