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투덜쌤 Jun 24. 2024

사춘기를 이해하는 열쇠가 될 수 있을까

인사이드아웃2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어요.




인사이드아웃2 를 보았다.

개인적으로는 1편보다는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만큼 1편의 재기발랄함은 충격이었고, 그게 새로운 4가지 감정들이 확장된다고 해서 재미까지 증폭하지는 못했다고 본다. 그러나 옆자리에 앉은 딸은 영화를 보면서 꺼이꺼이 울더라. 역시나 베슷한 처지는 동병상련을 느끼는 듯.


1편에서는 기쁨과 슬픔의 대립구도(?)였다면, 2편은 기쁨과 불안의 대립구도. 슬픔도 삶에 필요하다는 교훈이었다면 2편은 사춘기에 오는 불안도 결국 감싸 안아야 한다는 교훈. 어찌보면 뻔한 결말이지만 시각적인 충격은 꽤 오래 인상에 남더라.


불안이 숨가쁘게 라일리를 몰아치고, 결국 그 안에서 어찌할 바를 못하고 있을 때의 표정. 그 순간만큼 강렬한 부분은 없었다. 아닌걸 알지만 불안함에 나를 다그치던 그 때가 생각났다. 그리고 내 옆자리의 딸도 그 때를 생각하며 눈물을 흘렸나보다.


불안함은 앞으로 더 잘해야 한다는 동기가 되기도 하지만 그래서 무리를 하게 되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그럴땐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기쁨이처럼 꼭 안아주는 것.


괜찮아. 넌 잘하고 있어. 부족하면 어때.


별거 아닌 말에서 위로를 찾고 할 일을 되새기고 여유를 가지고. 그런 친구가 우리 옆에 필요한가 보다. 그게 부모가 될 수도, 또래가 될 수도, 부부 혹은 동료 심지어는 자식이 될 수도 있겠지. 역시나 사람은 홀로 사는 존재가 아니라는 걸 생각해 본다.


사춘기가 지나도 불안은 늘 존재한다. 자아를 끊임없이 의심하고 부정하면서 자신의 존재를 다시 생각해 보는 과정은 정도가 덜할 뿐 평생 계속된다. 지금도 나는 교감을 더 해야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하고 있으니 말이지.


이 고민이 멈추는 순간이 내가 생을 다하는 날이 아닐까? 후회없는 삶을 살기는 어렵겠지만, 현재를 즐기며 사는 삶은 필요할 것 같다.


닥치면 고민하는 것도 필요할 듯.

전형적인 J라 그게 조금음 어렵긴 하다만.



매거진의 이전글 이런 뙤약볕에 무슨 운동장 체육을 하다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