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arry An Aug 08. 2018

[심리학] 무의식은 변화가 가능하다!


NLP의 기본 가정 가운데 “모든 행동에는 긍정적인 의도가 있다!‘”라는 전제가 있습니다. NLP에서는 한 사람의 행동 이면에는 반드시 긍정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 심지어 원치 않거나 변화를 원하는 행동과 습관조차도 그 이면에는 긍정적인 의도가 존재한다고 보았지요.


긍정적인 의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무의식의 작용에 관한 기본 메커니즘을 알아야 합니다. 영국의 최면가인 존 체이스는 무의식을 ‘영리한 9살짜리 꼬마 아이’라고 표현했습니다. 무의식이 정보를 저장하고 결정할 때, 영리하기는 하지만 어른이 아닌 9살짜리 아이와 같은 논리를 사용한다는 사실을 함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무의식에는 논리가 아닌 감정이 해당됩니다.


영리한 9살짜리 꼬마 아이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번식과 생존’입니다. 번식과 생존에 도움이 되는 것은 받아들이는 것이 최선이라 믿고 행동합니다. 발표를 하다가 실수한 적이 있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보도록 하지요. 심각한 실수를 하여 창피함을 당한 적 있다면, 무의식은 발표를 생존에 위험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즉, 영리한 9살짜리 꼬마 아이의 논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발표를 하다가 큰 실수를 하여 창피를 당했으니 이제 발표를 하면 안 되겠다.’ 그 결과 다음에 발표할 때, 심박 수의 증가, 신체의 떨림 등의 신체적 증상을 발현하거나, 불안 등의 감정을 유발하거나, 발표를 다시 하지 않는 행동을 하도록 만듭니다.


행동에 숨겨진 긍정적인 의도란 이 영리한 꼬마 아이가 생존을 위해 도움이 된다고 믿고 받아들이는 믿음을 의미합니다. 비록 비합리적일지라도 궁극적으로는 생존을 위한 것이므로 긍정적인 의도를 가진 것이지요. 하지만 보다시피 긍정적인 의도일지라도 결과까지 긍정적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발표를 할 때마다 신체적 증상, 감정 등을 발현한다면 일상에서 발표를 하는데 문제가 될 것입니다. 그러므로 무의식 수준에서 발표가 위험하지 않으며, 발표를 잘할 수 있다는 믿음을 받아들이도록 만드는 것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무의식은 쉽사리 변하지 않습니다. 무의식이 중요시하는 것은 ‘생존’입니다. 생존을 바탕으로 학습된 정보는 그대로 반응하지 않으면 기존의 경험을 재 경험하여 위험을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변화하지 않도록 만듭니다. 그러므로 학습한 정보에 대해 일관성을 유지하며, 익숙한 것에는 기존에 반응하던 대로 반응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감정, 장기 기억, 습관 등을 담당하는 무의식이 쉽게 변화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감정 기복이 지나치게 심하거나, 위험한 상황을 전혀 위험하지 않은 것으로 인지하거나, 수년간 근무하고 있던 직장 상사의 이름을 잊어버리거나, 익숙한 곳을 찾아갈 때 다른 방향으로 가는 등을 경험한다면 아마 혼란을 겪게 될 것입니다. 따라서 무의식은 쉽게 변하지 않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특히, 의식은 무의식에 정보가 도달하기 전에 필터링하는 역할을 합니다. 비판적·논리적 사고를 함으로 무의식을 보호함과 동시에 받아들인 정보에 대해서는 합리화하도록 만듭니다. 만약 무의식이 받아들인 정보와 반대되는 정보들이 나타난다면, 비판적으로 사고하여 정보를 받아들이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지요. 자주 방문하여 익숙한 곳을 찾아간다고 가정해보면, 무의식은 어디로 가야 할지 알고 있습니다. 만약 다른 방향으로 간다면, 의식의 비판적 사고가 작용하여 “이 길이 아닌데? 이쪽으로 가야 해!”하며 기존에 갔던 길을 찾아가도록 만듭니다.


무의식의 변화가 어렵기는 하지만, 불가능하지는 않습니다. 무의식에 접근하여 생존 수준에서 새로운 정보를 학습하도록 만들거나, 반복적으로 학습하도록 만들면 변화는 가능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어떻게 하면 무의식을 보호하는 의식의 비판적인 사고를 우회하거나 해체하는가’입니다. 의식의 비판적 사고가 무의식에 정보가 도달하는 것을 차단하고 있으니까요.


그러므로 최면에서는 비판적인 사고를 우회하여 받아들일만한 선택적 사고를 확립하는 것이지요. 의식의 비판적 사고를 우회하여, 무의식에 접근한 후 새로운 관념을 입력하는 것입니다. 결국 이 과정을 거쳐 무의식을 변화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

매거진의 이전글 [심리학] 마음과 학습의 4단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