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랭 바디우의 비미학을 읽고
책에서 바디우에 의하면 현대 철학의 가장 중요한 발견은 진리의 무력함이다.
모든 진리는 어떤 역량임과 동시에 어떤 무력함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그 영향력이 미치는 범위는 전체일 수 없기 때문이다. 진리와 전체성의 양립 불가함은 현대의 결정적인—또는 헤겔 이후적인— 가르침일 것이다.
하나의 진리는 자신의 독특함이라는 바위에 부딪히며, 바로 여기에서만 하나의 진리가 무력함으로서 ‘실존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장애물을 명명할 수 없는 것이라고 부르기로 하자. 이는 어떤 진리가 그것에 대해서 이름 붙이기를 강요할 수 없는 것이다. 그것이 진리에 포함되는지 진리 자신도 미리 알 수 없는 것이다.
그는 철학은 진리를 생산할 수 없으며 진리를 만들어내는 것은 오로지 예술, 즉 '사유할 수 없는 사유'인 시라 말한다. 심지어 그 때문에 철학이 자신의 영역에서 직접적인 사유인 시를 추방했다고 주장한다. (비미학 2장, 시란 무엇이며, 철학은 그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 이 부분은 너무 재밌기 때문에 직접 읽어보길 추천한다.) 이에 따라 그가 생각하는 사유할 수 없는 사유, 진리로서의 시의 무력함은 아래와 같다.
언어의 역량을 드러내는 시는 그 역량을 명명하는 데는 무력하다.
수학소 고유의 명명할 수 없는 것은 언어의 무모순성이지만, 시 고유의 명명할 수 없는 것은 시의 역량이다.
⊹ 진리로서의 시가 아니라, '다른 진리와 차별되는' 시의 독특함은 뭘까?
나의 의문은 이것이다. 모든 진리가 존재 자체의 한계점 앞에서 무력해진다면, 모든 진리의 무력한 지점, 역량은 존재 자체인가? 각 진리 사이의 차이점은 없는가? 자기 자신을 호명하지 못하는 타인 없는 주체로만 존재한다는 점 이외에, 다른 차별점은 없을까?
바디우는 수학에서 무모순성이라는 존재적 특징이 수학의 독특함을 나타내는 반면 시는 언어적 무한함을 명명할 수 없음을 독특성으로 꼽았다. 그러나 이는 모든 분야가 마찬가지이다. 시각 예술 역시 시각 언어의 역량을 드러내는 동시에 그것을 명명할 수 없다. 시각 요소가 시각 예술의 특징이 아닌 그 존재 자체이기 때문이다.
‘언어’적 무한성이란 시의 특징이 아닌 실체다. 음 혹은 박자 없이 음악이 될 수 없듯이 언어 없이 시가 될 수 없다. 여기서 예외로 생각되는 존케이지의 <4분 33초> 역시 예외라고 볼 수 없다. 바디우의 방식으로 생각해보자면 이는 음악의 무력함을 직면함으로서 그 세계를 넓힌 것이다. 소음이라고 생각되어온, 주변의 소리들이 음악으로 흡수되어 음악의 영역이 넓어진 것일 수는 있다. 그러나 소음은 음악의, 무음 또한 음의 대립항으로 음악이라는 세계의 범위를 완전히 뛰어넘지는 못한다. 이제 무음은 음으로서 존재하고, 음은 음악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나는 모든 진리의 독특함에서 시의 자리가 아닌 다른 진리와 차별되는 시 고유의 독특함을 찾고 싶었다. 이를 바디우의 텍스트에서 찾자면 비시간성이라 할 수 있지 않을까.
시는 감각적인 것의 시간 속에서의 사라짐을 비시간적으로 존재하게 하는 것
어떤 사건을 명명하는 모든 일은, 사라지려는 것을 붙잡아 놓음을 통해 사건의 현전을 명명하는 모든 행위는 그 본질상 시적임을 철학은 인정할 것이다.
모든 시는 언어에 어떤 힘을 불러온다. 이 힘은 나타난 것의 사라짐을 영원히 고정시키는 힘, 또는 나타난 것의 사라짐을 시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이념으로서의 현전 자체를 생산하는 힘이다. 하지만 이 언어의 힘은 바로 시가 명명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시가 명명할 수 없으므로 독특한 지점은 유한성'이 아닐까?
시는 사라짐을 억제하기 때문에 스스로 사라질 수 없다. 그리고 명명함으로써 영원하기에 시간적일 수 없다. 시간성을 시화하면 필연적으로 비시간화된다. 이 영원히 사라질 수 없음, 현전할 수 밖에 없음이 시의 독특함(존재적 특징) 아닐지 생각해본다.
바디우의 '시 읽는 법'을 끝으로 글을 마친다. 이 문장을 볼 때마다 당장이라도 시집을 집어들고 싶다.
규칙은 간단하다. 시 안으로 뛰어들 것.
시가 무슨 말을 하는지를 알기 위해서가 아니라,
시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를 사유하기 위해서 시 안에 뛰어들 것.
시는 하나의 작용인 까닭에, 하나의 사건이기도 하다.
시는 [사건이 일어나듯] 일어난다.
그 표면의 수수께끼는 이 일어남을 가리키는 것이며,
언어 속에서의 어떤 일어남을 우리에게 제공한다.
위의 인용은 모두 한 책이다. 알랭 바디우, 비미학, 이학사, 장태순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