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알량한 Dec 31. 2020

퀸스 갬빗: ‘체스’로 대체된 ‘섹스’

여성서사 밑에 흐르는 남성의 욕망

 〈퀸스 갬빗〉은 한 천재 여성이 남자들을 상대로 체스 대회에서 호쾌하게 승리를 거두는 드라마다. 하지만 정작 내 호기심을 자극한 것은 이 시리즈의 표면 아래에 숨겨진 성적인 기류였다. 캐릭터의 성적 욕망이 제거됐기 때문에 오히려 그 기류는 도드라지며 표면 위로 드러난다.     


 주인공인 베스 하먼은 섹스를 통한 쾌감에 별 관심이 없는 인물이다. 대신에 그녀의 쾌락을 담당한 것은 안정제(또는 과도한 음주)와 체스. 하지만 여기서 안정제는 체스를 위한 것이거나 체스의 빈자리를 채워주는 것이므로 사실상 체스만이 그녀의 유일한 낙이다.     


 이야기 전체에 걸쳐 체스는 섹스를 대신하는 수준을 뛰어넘어 그것을 비유하는 것처럼 보인다.

- 베스는 체스 대회에서 남자와 일대일 대결을 펼친다.

- 처음으로 참가한 토너먼트에서 첫 생리를 한다.

- 승리의 표시로 남성 기사의 기물을 쓰러뜨린다.     


 이렇게 ‘체스=섹스’라는 공식으로 생각해 본다면 이 드라마는 한 여성이 남성들을 이기고 정상에 서는 이야기에 머무르지 않고, 남자들을 상대로 일종의 성적인 우위에 서는 또다른 의미의 전복적인 이야기가 된다.

     

 이런 논리를 더 밀어붙여, 만약 섹스를 대체한 체스의 자리에 다시 섹스를 돌려놓는다면 어떻게 될까. 아마 베스 하먼이라는 캐릭터가 경험할 수 있는 가장 끔찍하고 참혹한 이야기가 되지 않을까?



 그녀가 처음으로 체스를 배우는 장소는 고아원의 지하공간. 상대는 침울한 건물 관리인이다. 아동 성범죄를 연상시키는 익숙한 세팅이 아닐 수 없다. 베스는 뒤늦게 한 가정에 입양되는데, 그녀를 선택한 사람은 다름 아닌 그녀의 새아버지. 여기서도 입양된 여아와 새아버지라는 익숙한 성적 학대의 설정이 감지된다.

 좀 더 지나친 상상을 해본다면,─베스가 앞 선 끔찍한 성장 과정을 거쳤다고 가정했을 때─베스가 두 명의 남자와 차례로 동거하던 모습마저 편하게 볼 수 없게 된다. 두 번이나 부모를 잃은 한 젊은 여성이 알코올에 빠져 지내다가 보호자를 자처하는 남성과 한집에 머물게 된 것이다. 남성은 시도 때도 없이 체스를 요구하며 체스를 가르치려 든다. 심지어 베스는 베니 왓츠의 집에 머물 때 세 명의 남자를 상대로 체스를 두기도 한다. 그녀가 체스 경기를 앞둘 때마다 약물을 복용하는 것은 어떤가.     


 이쯤 되면 궁금해질 수밖에 없다. 이 작품의 작가와 연출자는 왜 굳이 이런 성적 뉘앙스를 체스와 겹쳐 놓아야만 했을까.


 나는 그 문제에 대한 고민을 하다 이 이야기의 결말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 모든 과정의 끝에 베스 하먼이라는 인물이 얻게 되는 보상과 치유라는 것은, 중년 남성으로 표상되는 아버지에 대한 콤플렉스 해소다.



 그녀에게 처음으로 체스를 가르쳐준 사람도 중년남성이고, 그녀가 마지막으로 상대해야 하는 인물 또한 중년남성이다. 최후의 승리 이후 그녀가 자신감 넘치는 모습으로 노인들 사이에서 경애의 대상이 되어, 자신 있게 첫 수를 두는 마지막 장면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겠다.


 이러한 인물의 동기는 작품 초기에 어렴풋이 암시만 된다. 오히려 처음에는 아버지에게 버림받은 상처보다는 어머니에게 버림받은 상처를 드러내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 이야기에서 어머니들은 주인공에게 이렇다 할 영향력을 끼치지 못한다. 친어머니는 (베스와는 다르게) 아버지(=중년 남성)에게서 받은 상처를 치유하지 못한 실패한 젊은 여성으로 그려질 뿐이고, 새어머니와 베스의 관계는 지극히 비즈니스적인 파트너쉽에 머문다. 새어머니의 죽음은 난데없이 이뤄지고, 그녀의 부재로 베스가 겪는 고통은 가족을 잃었다는 슬픔 보다는, 다시 혼자가 됐다는 고독감에 가깝다.     


 정리해 보면, 베스 하먼은 아버지로부터 받은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 남성들의 도움을 받아, 체스로 대체된 섹스를 벌여 남자들(특히 아버지를)을 극복하는 인물이 된다. 그 과정에서 여성들이 친절한 도움의 손길을 내밀긴 하지만, 베스라는 인물의 본질적인 문제를 치유해주는 데는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못한다. 어린 소녀에서 성인이 되는 한 여성의 성장기가 남성에 의해 좌우되고 있는 것이다.     


 나는 이것이 결과적으로 지나치게 남성적인 시선으로 바라본 여성의 성장 서사가 아닌가 생각했다.(이 드라마의 연출자와 각본가 모두 중년 남성이다) 표면적으로는 여성이 주인공이며, 여성이 남성을 이기고 승리하는 이야기지만, 그 인물의 이면에는 여성 스스로의 주체적 욕망도 없고, 여성끼리의 연대도 그다지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

 그저 남성이 여성에게 부여한 결핍이 있고, 그 결핍을 매우기 위해 남성과 상대하는 남성적인 게임이 등장할 뿐이다. 그 끝에 주인공이 얻는 보상은 아버지에 대한 결핍을 극복하는 것. 그나마 아버지에 대한 결핍은(체스로 대체되긴 했지만) 성적인 것으로만 표출된다. 보통 이야기 속에서 남성의 결핍이 그렇게 그려지듯이 말이다.



 우리는 종종 대중적인 이야기 안에서 이렇듯 남성의 욕망을 숨기고 있는 여성 서사와 마주치게 된다. 개인적으로는 아쉽기만 하다. 무조건 남성을 이기는 여성 캐릭터가 나와야 하는 건 아니다. 절대로 남성 캐릭터가 여성 캐릭터에게 영향력을 미치지 말아야 하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여성 캐릭터가 언제나 그렇게 남성에게 종속될 필요는 없다. 여성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가 남성일 거라는 상상은 그야말로 남자들의 판타지일 뿐이니까.

 여성들에게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싶은 남자들의 마음은 잘 알겠다. (이 작품 속에는 베스 하먼을 가르치려는 여러 남자들이 등장한다. 심지어 베스 하먼보다 체스를 못 두는데도 그렇다.) 게다가 이 작품은 소녀와 어린 여성의 성장을 다루고 있지 않은가. 그 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싶어 하는 남성 창작자의 욕망이 민망할 정도로 선명하다. 하지만 여성의 성장을 진정으로 응원한다면, 남성에게 종속될 필요가 없도록 애초부터 자유롭게 해주는 게 맞지 않을까.


 마지막 화까지 모두 보고나자, 아버지에 대한 콤플렉스의 해소라는 것이 세계 챔피언이 받게 된 보상치고 너무 초라한 것같아 허망했다. 아마도 마지막에 가서야 베스의 동기가 분명히 밝혀졌기 때문에 그렇게 느낀 것 같다. 냉전 시대에 소련까지 가서 세계에서 체스를 가장 잘 두는 사람이 된 여성이라면, 아버지를 극복하는 것보다 더 높은 것을 보고 달려오지 않았을까.


알량한 블로그 (http://blog.naver.com/alryanghan​)

작가의 이전글 『유토피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