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독거작가 Nov 30. 2023

실행은 잔소리를 먹고 산다

사람들은 '기획'업무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기획이라는 글자만 들어가면 뭔가 그럴싸한 업무라고 착각을 하는 경우를 종종 봅니다.

대기업처럼 큰 조직은 기획부서와 실행부서가 나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기획과 실행, 관리를 같은 부서와 담당자가 맡게 됩니다.


어느 조직에 업무를 기획만 하고 흐지부지 방치하는 조직이 있습니다.

즉, 만들어놓고 실행은 별로 신경 안 쓰는 겁니다.

이렇게 기획과 실행이 따로 놀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요?


첫째, 당연히 기획의 목적과 기대효과가 발휘되질 않습니다.

그 파급은 기획의 목적달성을 전제로 준비했던 관련 의사결정과 다른 제도와 결정 등도 같이 작동하지 않게 됩니다.

둘째, 조직문화차원에서 조직의 영(零)이 서질 않고 조직의 스피드가 떨어집니다.

대부분의 기획안은 조직의 경영진의 승인을 득한 후 실행하는데, 그 승인의 약발이 서질 않으면 리더십의 약화와 조직 전반의 업무 속도를 떨어트리기 되며, 더 나아가 복지부동의 문화로 귀결되기도 합니다.

셋째, 실행이 담보되지 않은 기획안은 탁상공론, 용두사미가 되기 쉽습니다.

그런 기획안은 옥상옥이 되어서 이 역시 경영의 속도를 더디게 하고, 부서 간 뒷다리 잡기로 변질되기 마련입니다.


그럼 기획이 실제 실행으로 이어져서 조직 성과에 기여하기 위해선 어찌해야 할까요?

결국 잔소리를 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것도 주기적인 잔소리입니다.


시간이 흐르고 실행이 반복되면서 내재화되면, 점점 그 횟수와 강도는 약해지겠지만, 환갑이 넘은 자식도 부모에겐 물가에 내놓은 어린애 같아서 여전히 차조심, 사람조심하라고 하는 마음으로, 끊임없이 기획안이 기획안대로 그 목적과 취지대로 잘 실행되는지 잔소리해야 합니다.

잔소리도 그 목적과 취지에 맞아야 하고, 역시나 실행을 통한 성과창출에 기여하는 잔소리여야 합니다.


그런 잔소리로 대표되는 관심 어린 관리를 통해서 최초 기획안은 끊임없이 버전업이 되며 또 다른 개선안이자 새로운 기획안의 단초가 됩니다.


제도는 잔소리를 먹고 삽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