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어떤날엔 Dec 14. 2020

(5) 아들의 싸구려 패딩을 물빨래해버렸다

패딩 없는 겨울은, 많이 힘들까

흰색 패딩. 그것이 문제의 시작이었다. 1년 새에 아이는 자랐고 작년 옷들이 꽉 끼길래 따뜻한 점퍼를 하나 사줘야겠다 생각하고 있었다. 입혀봤자 1~2년, 비싼 옷은 필요 없었다. 아동복 매대를 '스캔'하던 중, 흰색 패딩 하나가 눈에 들어왔다. 할인 중이었다. '아동복인데, 거기다 패딩인데 흰색이라니, 금방 더러워질 거야. 다들 안 사가니 쟤만 할인하겠지.' 분명 꽤나 '현명하게' 생각했었다. 그럼에도 가격이 궁금해 가격표를 봤다. 3만 8000원. 오리털 패딩이 3만 원대? 그 순간 흰색 패딩을 입은 아이 모습이 머릿속에 떠올랐다. 겨울엔 늘 검정 외투였는데 흰색? 흰색 패딩을 입고 하얀 눈 위에 서 있는 8살 꼬마. 예쁠 것 같았다. “어머, 이건 사야 해” 하며 홀린 듯 결제를 해버렸다.


역시 흰색 패딩이었다. 3일쯤 입히자 곳곳이 거뭇거뭇해졌다. 특히 소매 쪽이 문제였다. 세탁소에 맡겨야겠다고 생각하다가, 이번 겨울을 보내는 동안 이 패딩을 몇 번이나 빨게 될 것인가 하는 의문이 들었다. 고작 3일 만에 빨아야 할 것 같은데 한 달이 30일이니 한 달에 10번? 매일 입히지 않는다 해도 한 달에 3~4번쯤은 빨아줘야 할 것 같았다. 옷값보다 세탁비를 더 쓰자니 왠지 아까웠다. 세탁망에 넣어 돌리면 되지 않을까 생각했고, 다른 빨래들과 함께 세탁기에 넣어 신나게 돌렸다. 검색조차 해보지 않았다. “왜 다들 패딩을 세탁소에 맡길까?” 같은 생각도 하지 못했다. 더럽다-빨아보지 뭐. 끝이었다.


세탁기 뚜껑을 열고 가장 먼저 살핀 건 패딩이었다. 돌돌 통돌이 안에서 돌아가면서 혹시 터지진 않았을까 염려됐다. 무사했다. 다행이었다.

하지만 널면서 깨달았다. 뭔지는 모르겠지만 뭔가 잘못됐음이 느껴졌다. 아들의 패딩이 말을 거는 것 같았다.

“안녕? 나는 오리야. 봄여름가을겨울 4계절을 수십 번 보내는 동안 단 한 번도 씻지 않은 노숙자 냄새를 풍기지.”

정말, 굉장한, 냄새가 났다. 빨래를 넌 지 몇 분 지나지 않아 패딩의 향기가 온 집으로 퍼져나갔다. 도무지 집 안에 둘 수가 없어서 일단 베란다로 옮겼다. 물에 빨면 있던 냄새도 사라지는 거 아니야? 뭐지? 어딘가 썩어서 싸게 판 거야? 아니, 오리털이 썩나?


그제야 검색을 했다. 의외로 물빨래를 해도 된다는 글이 많았다. 다만 중성세제를 사용하라고 했다. 그리고 오리털이 덜 마르면 냄새가 날 수 있으므로 햇볕에 수일을 말리거나 드라이기를 사용하거나 건조기를 사용하거나, 아무튼 각양각색의 방법으로 바~싹 말려야 한단다. 

오늘로 베란다 격리 3일째. 패딩 녀석은 아직 집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고 있다.




5~6년 전 겨울, 나는 작은 다짐을 하나 했었다.

“다른 건 못해도 동물 털로 만든 건 입지 말자.”

지인의 채식을 곁에서 지켜보며 자극을 받은 것이 계기였다. “내가 살면서 먹을 고기의 양은, 얼마나 엄청날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채식을 하는 저분에 비하면, 내 기름진 세 끼 식사를 위해 얼마나 많은 생명이 죽는 걸까 생각하니 섬뜩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기를 끊을 자신이 없었다. 그래서 나름은 고민 끝에 “적어도 동물 털로 만든 건 입지 말자”하는 다짐을 했었다. 다짐 후 몇 년간은 분명 실천도 했었다. 내복을 껴입고 솜이 누벼진 옷들을 샀었다. 산 채로 털이 뜯기는 생명들을 아예 모른 척하며 살고 싶지는 않았었다.


하지만 재작년 겨울, 결국 패딩을 “질러” 버렸다. 다짐도 어느새 잊혀 있었고, 급격한 다이어트 후 맞은 겨울이, 정말로 너무나도 추웠다. 뼈를 철갑옷처럼 감싸주던 지방이 줄어들고, 난생처음 ‘뼈 시리는’ 추위를 느꼈던 나는 패딩을 서둘러 사 입었다.

기름진 식사로 뒤룩뒤룩 살을 찌우고, 그걸 용을 쓰며 빼고, 그리고는 춥다며 동물 털이 든 옷을 사 입고.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인지 그 시작을 찾기는 어렵지만, 무언가 잘못된 것은 분명했다. 좀 더 편안한 내 삶을 위해서 무언가가 희생(혹은 살생)되고, 그것을 당연한 듯 받아들이는 나.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었다.


올해도 당연한 듯 패딩을 사버린 나는, 굉장한 냄새로 인해 녀석이 원래 ‘살아있는 오리’였다는 사실을 ‘새삼스레’ 깨달았다. 맞다. 생명이었지. 생명이 깃들었던 것을 막 다루다 보니 생명이었다는 사실 자체를 까마득하게 잊어버리게 된 것 같았다. '오리'가 아니라, 3만 8천 원짜리 옷. 그것으로만 녀석을 대했던 것이다. 

3일째 베란다에 방치된 패딩 녀석이 한심하다는 듯 말했다.

“안 사기로 결심했으면 안 사야지. 이 멍청한 인간아. 내 꼴 좀 봐.”


그래. 멍청한 인간은 원래 다짐한 걸 한 번만에 잘 지켜내지 못한다. 그러니 이번 일을 계기로 다시 한번 다짐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난 경험을 돌이켜 보건대, 절대 다시는 두 번 다시 동물 털 옷을 안 사겠다는 다짐까지는 못 지켜낼 수도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적어도 한 번 더 고민해보고, 한 번 더 생각해 보는 정도는 어떨까. 

“내 입에 들어가는 고기와 내가 걸치는 털들이, 원래는 생명이었다.”

이 문장을 잊지 않고 계속 계속 되뇌다 보면, 그 생명을 위한 조금 더 큰 다짐들을 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일단 올해의 다짐은 이 정도로 가볍게 시작해 보면 좋을 것 같다.

“내 입에 들어가는 고기와 내가 걸치는 털들이, 원래는 생명이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2) 다 쓴 샴푸병으로 부자가 될 가능성을 점쳐봅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