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앤펭귄 Oct 30. 2022

자신을 버려야 사랑할 수 있다는 딜레마: 더 랍스터

특성화고 영상과 선생님과 학생의 방과 후 수업

    

소현: 현우야, ‘더 랍스터’ 청불이던데?

현우: 아 청불이에요?

소현: 너무 당당하게 추천하길래 봤는데 청소년 관람 불가더라.

현우: 에이, 선생님 사랑에 청불이 어딨습니까?

소현: 어휴, 네가 뭘 알겠니.

현우: 알 건 다 알죠~!

소현: ….

현우: 넘어가시죠. 그래서 쌤, 영화 어땠어요?

소현: 상당히 유의미한 영화긴 했어.

현우: 오, 어느 부분에서요?

소현: 일단 네가 이 영화를 추천한 이유가 사랑을 하고 누군가와 하나가 되는 것보다 자기 자신이 먼저라는 걸 보여주고 있어서잖아. 넌 그게 사랑보다 더 근원적 욕망이라고 한 거고.

현우: 네.

소현: 그게 잘 드러난 영화였어.

현우: 특히나 자신을 버리고 원치 않는 사랑을 할 것인가, 아니면 목숨을 걸어서라도 자기 자신을 지킬 것인가 하는 딜레마는 최고였어요.

소현: 그치. 그걸 이 영화에서 어떻게 표현하고 있다고 생각해?

현우: 완전 직관적으로 표현하고 있죠. 일단 이 영화의 설정이, 커플이 되지 않으면 동물이 돼야 하는 거잖아요.

소현: 응. 인간의 욕망을 동물의 본능으로 비유한 거지.

현우: 네, 맞아요. 게다가 이 영화에서 나타내는 사랑은 아름다운 사랑이 아니었어요. 서로 공통점이 있어야지만 커플이 될 수 있는 사회라고 설정돼 있잖아요.

소현: 맞아. 그리고 그 공통점은 어딘가 결핍된 부분의 공통점이어야 되지. 근시인 사람은 근시인 사람과 커플이 될 수 있다는 식으로.

현우: 네, 쌤 그래서 저는 그 장면이 진짜 충격이었어요.

소현: 어떤?

현우: 남자 주인공이 동물로 변하기 싫어서 사이코패스인 여자와 커플이 되려고 감정이 없는 척 연기하잖아요. 강아지로 변한 형을 여자가 잔인하게 죽였는데도 무덤덤한 척 연기하던 장면이요.

소현: 연기 진짜 잘하더라.

현우: 네. 동물로 변하고 싶지 않아서 극단적인 선택까지 했던 주인공의 모습을 보고 결국 인간의 근원적 욕구는 자기 자신을 지키는 것에 있다고 느꼈어요. 생존 욕구라 할까요. 그래서 쌤한테 이 영화를 추천했던 거고요.

소현: 아, 그래서 지난주에 그렇게 얘기했던 거구나. 사랑을 하려면 자신을 버려야 된다고.

현우: 네.

소현: 결국 인간의 이기성이 사랑에 앞선다, 이걸 이 영화에서 발견했던 거네. 보는 눈이 많이 길러졌는데.

현우: 원래 눈썰미가 좋았죠.

소현: …누구한테 배워서지?

현우: 다 선.생.님 덕분이죠~!

소현: 그치?

현우: 네, 네, 그럼요. 쌤 그럼 마지막 장면에서 장님이 된 여자와 커플이 되기 위해서 데이비드가 자신의 눈을 찌를 거라고 생각하세요?

소현: 글쎄. 네가 말한 그 딜레마를 보여주기 위한 피날레였다고 생각하는데. 찌를 수도 없고, 그렇다고 안 찌를 수도 없는 딜레마를 보여준 거지.

현우: 그러면 쌤이 데이비드라면요? 찌르실 거예요?

소현: 음, 진짜의 나라고 생각하면 정말 쉽지 않은 선택인 것 같은데, 

현우: 그건 누구나 다 그래요.

소현: 말 좀 하자.

현우: 네엡.

소현: 근데, 이상적인 사랑이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이 이론적으로 확고하게 있다 보니, 찌르는 게 맞다는 생각이 들지.

현우: 왜요? 그 이상적 사랑이 뭔데요?

소현: 에리히 프롬의‘사랑의 기술’이라는 책이 있어. 완전 명서지.

현우: 사랑의 기술이요? 그런 책도 있어요? 글로 배우는 연애 같은 거네요.

소현: 아니야, 전혀 제목에서 기대되는 기술을 가르쳐주는 책이 아니란다.

현우: 그럼요?

소현: 음, 요약하자면, 성숙한 사랑은 온전히 똑바로 선 두 사람이어야 할 수 있다는 거지. 그래서 성숙한 사람이 하는 사랑은 어떤 건지를 말한 책이라고 할 수 있어.

현우: 아, 거기에 이상적 사랑이 나오는 거예요?

소현: 네. 프롬이 책에서 이런 식으로 얘기해. ‘사랑은 능동적인 것이지 수동적인 감정이 아니다, 사랑은 참여하는 것이지 빠지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서 사랑은 주는 것이다’, 라고 말하거든. 능동적인 사랑이 성숙한 사랑이고 이상적 사랑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데이비드가 눈을 찌르는 게 맞는 거지. 이 영화가 ‘사랑의 기술’에서 말하는 사랑, 욕망 같은 걸 진짜 잘 표현했어. 넌 어떻게 생각해? 네가 데이비드라면 찌를 거야?

현우: 음…, 아니요.

소현: 왜?

현우: 전 그래도 제가 원치 않는 사랑보다는 본능만 있는 동물로 남는 게 차라리 나을 거 같아서요.

소현: 어? 사이코패스 여자랑은 억지로 사랑한 거지만, 장님이 된 여자랑은 진짜 서로 사랑했잖아. 장님이 되기 전까지.

현우: 선생님이 말씀하신 대로, 장님이 되기 전까지죠. 여자는 이미 장님이 됐고, 여자 또한 데이비드에게 장님이 되라고 권유하잖아요. 데이비드는 장님이 되는 걸 원하지 않을 거예요. 마지막 장면에서 고민하는 걸 보면 알 수 있듯, 결국 사랑도 자기 자신이 먼저 존재해야지만 할 수 있는 거라고 봤어요. 그러니까 저는 그걸 사랑이라 생각하지 않은 거예요. 만약 눈을 찌르고 커플이 되면, 오히려 그게 더 이성이 없는 동물 같아요.

소현: 왜?

현우: 그게 동물의 번식이나 마찬가지니까요.

소현: 아! 결핍된 공통점을 찾아 커플이 되려고 누군가를 만나고 또 만나고 하는 이런 과정들을 번식이라고 봤구나?

현우: 그쵸. 역시 하나를 알려주면 백을 아는 선생님이네요.

소현: 어쭈, 선 넘네?

현우: 농담이죠, 선생님~!

소현: 근데 여자가 장님이 됐는데도 불구하고 같이 도망가서 커플이 되자고 먼저 제안한 건 데이비드잖아.

현우: 저는 그 도망이 커플이 되기 위해서가 아니라 동물이 되기 싫어서였다고 생각해요. 커플이 되지 않으면 동물이 되니까, 동물이 되는 것보단 눈을 찌르고서라도 커플이 되길 선택한 거죠.

소현: 음, 그럼 진짜 사랑한 게 아니라고 본 거고, 그러니까 네가 데이비드라면 찌르지 않을 거라고 한 거구나.

현우: 네.

소현: 그래, 이 영화는 우리가 앞에서 말했듯이 자기 자신을 지키는 이기성이 사랑보다 더 근원적 욕망을 표현하고 있으니까, 어찌 보면 애초에 사랑이 성립될 수가 없는 거야.

현우: 그쵸. 결국 이 영화 속 세상은 인간이 존재하지 않는 동물만 있는 세상이었던 거죠.

소현: 본능만 있는 세상.

현우: 네.

소현: ‘사랑의 기술’에도 그런 세상을 설명할 수 있는 얘기가 나와. 욕망은 사랑하는 것을 두려워하게 만든다, 라고 하거든. 아까 이상적인 사랑은 능동적인 거고, 주는 것이라고 했잖아. 이 영화의 세계관에 따르면 욕망은 자기 자신을 지키는 거고, 따라서 자기 자신을 주는 것을 두려워하게 되는 거지. 왜냐, 나 자신을 버리고 싶지 않으니까. 결국 영화는 성숙한 사랑의 모습이 없는 비극적 사회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현우: 저도 그 책 읽어보고 싶네요.

소현: 좋은 책이야. 아! 나 대학 선배가 직접 겪었던 게 현실에서의 적절한 예시가 될 거 같다.

현우: 뭔데요?

소현: 그 선배가 고등학교 때 연기 입시 학원을 다녔대. 거기서 첫사랑을 만났고. 같은 꿈을 꾸면서 얼마나 풋풋하고 행복했겠어. 얼마나 사랑했냐면, 학원 끝나고 여자 친구 집까지 업고 데려다줬대.

현우: 낭만 있네요.

소현: 근데 대학 입시 결과가, 선배는 합격인데 여자 친구는 다 떨어진 거야. 그랬더니 여자 친구가 대놓고 네가 붙어서 짜증 난다고 했대. 그래서 정이 떨어졌었대. 어떻게 사랑하는 사람이 합격했는데 짜증 난다고 할 수 있나 싶어서.

현우: 저 같아도 정떨어졌을 거 같아요.

소현: 씁쓸하지만 결국 사람들은 사랑보다 자기 자신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걸 보여주는 사례지.

현우: 참 딜레마네요. 결국 영화든 현실이든 사랑보다 자기 자신을 챙기는 게 먼저라는 게. 인간은 어쩔 수 없이 근원적 욕구가 이기심인가 봐요.

소현: 성숙한 사랑이 그만큼 힘든 거지. 그러면 하나 질문할게.

현우: 뭔데요?

소현: 라라랜드 얘기했을 때 네가 영원한 사랑을 하고 싶다고 했잖아. 근데 이 영화의 가치관으로 보면, 영원한 사랑은 애초에 불가능하잖아? 모두 동물에 불과하니까.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세상에서 영원하고 이상적인 사랑이 가능할 거라고 생각해?

현우: 어…… 저는 가능하다고 봅니다.

소현: 어떻게?

현우: 세상을 낙천적으로 바라보면 돼요.

소현: 무슨 말이야?

현우: 지금 저희가 말한 건 사랑에 대한 딜레마잖아요. 그 딜레마 때문에 인생이 부정적으로 보인다면 딜레마를 없애면 되죠.

소현: 어떻게 없애?

현우: 영화에서는 자신을 챙기거나 혹은 서로 공통점을 찾고 하나가 되는 것이 딜레마였잖아요. 그러면, 자신을 챙기고 동시에 서로 사랑을 하는 거죠.

소현: 그렇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

현우: 사랑하는 사람과의 공통점을 찾는 게 아니라, 서로의 접점을 찾는 거예요.

소현:‘사랑의 기술’ 안 읽어도 되겠는데?

현우: 엥…?

소현: 사랑은 똑바로 선 두 사람이 해야 하는 거라는 말을 이해해?

현우: 네. 한 명이라도 무너지면 성숙한 사랑이 안 된다는 거잖아요.

소현: 그치. 그래서 네가 말한 대로, 딜레마를 극복하는 방법은 서로의 결핍에 맞춰 나를 바꾸거나 버리는 게 아니라 온전한 나를 먼저 찾고 접점을 찾는 거지. 그걸 보여줄 수 있는 영화가 있어.

현우: 무슨 영화에요?

소현: ‘펀치 드렁크 러브.’

현우: 어? 펀치 드렁크는 복싱 용어인데. 제목은 좀 무섭네요. 보고 올게요.

이전 05화 당신의 꿈마저 사랑합니다: 라라랜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