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앤펭귄 Oct 30. 2022

오만하지 않다는 착각: 살인마 잭의 집

특성화고 영상과 선생님과 학생의 방과 후 수업

소현: 음…. 사실 나도 자신 있게 대답을 못 하겠어.

현우: 왜요?

소현: 왜냐하면 내가 되게 별로인 사람이라는 생각을 한 지 얼마 안 됐기 때문이야.

현우: 네? 쌤 평소에 되게 자신감 넘치시는데 거짓말하지 마세요.

소현: 그 자신감이 진짜 별로라는 걸 알아버렸어. 그런 점에서는 이제 조금 나를 알게 됐다고 할 수도 있겠네.

현우: 왜 별로라고 생각하시는데요?

소현: 자기 객관화가 잘 안 됐던 것 같아. 내가 무한한 재능을 갖고 있다고 믿었던 거지. 그 자신감이 근거 없는 자신감이었던 거고.

현우: 그게 왜 근거 없는 자신감이에요? 재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자신감이 생길 충분한 근거가 되지 않나요?

소현: 그렇지. 근데 문제는 내가 나를 높이 평가했다는 거야. 심지어 우월감까지 느꼈던 것 같아.

현우: 그러면 쌤이 가진 재능으로 남들보다 우위에 있다고 생각했던 거네요?

소현: 맞아. 그걸 인정하게 되니까 내가 별로라는 걸 느낀 거지. 자기 오만을 눈치채면 부끄러워지거든. 넌 그런 적 없어?

현우: 전 그런 적 없죠.

소현: 너 저번에 나한테 찾아와서 반 애들이 피해를 준다면서 선도 보내달라고 했잖아.

현우: 네 맞죠. 근데 그게 왜요?

소현: 그때 네가 나한테 했던 말 기억해?

현우: 뭐, 애들이 많이 떠들어서 힘들다?

소현: 그렇게만 말했던가? 애들이 아직 어리고 조금 멍청한 구석이 있다고 하지 않았어?

현우: 그건 사실이잖아요.

소현: 애들이 멍청한 게?

현우: 아니요, 멍청하기보다 생각이 미성숙한 거죠.

소현: 그걸 판단한 건 누구야?

현우: 제가 판단하지 않았을까요…?

소현: 그래서 그때 내가 해줬던 말도 있는데, 그것도 기억해? 나도 고3 때 너랑 비슷한 생각을 했었다고 말했었잖아.

현우: 아, 애들이 다 멍청해 보였다고 하신 거요?

소현: 그래. 나도 고3 때 너랑 똑같이 생각했어. 애들은 멍청하다, 그리고 스스로 그걸 모른다, 그걸 보는 나는 답답하다, 이거였어. 그렇게 생각하게 된 계기가 있거든?

현우: 뭔데요?

소현: 내가 책을 하나 읽었는데, 중학생들이 읽을 수 있을 정도로 쉽게 쓰인 철학책이었어. 그때 가장 앞부분에 나온 게 바로 소크라테스였거든. 내가 수업 시간에도 잠깐 얘기했었는데, 아! 우리 얼마 전 방과 후 수업 때도 얘기했지?

현우: 아, ‘너 자신을 알라’요?

소현: 응. 그게 자신의 무지를 알라는 얘기잖아. 내가 고3 때 그 책을 읽고 처음으로 내가 뭘 알지? 라는 생각을 했는데, 정말 아는 게 없더라고. 내 무지를 알게 되니까, 저 애들은 자신의 무지를 과연 알고 있을까? 하면서 애들을 관찰하게 되고, 미성숙한 모습을 발견할 때마다 어떤 묘한 승리감을 느꼈던 것 같아.

현우: 그럼 쌤은 똑똑하고 성숙했다는 건가요?

소현: 과거에는 그렇게 생각했는데 결국 나도 여전히 무지한 거였더라고. 내가 똑똑하고 성숙하다고 착각했던 거야. 그게 바로 오만함인 거고. 지금의 너도 착각하고 있는 걸 수도 있어.

현우: 저는 좀 다르죠. 저는 피해를 주는 애들이 스스로 그걸 모르니까 멍청하다고 했던 거죠.

소현: 어떤 계기가 됐든 타인이 멍청하다고 생각하는 건 자신을 우위에 두는 거고, 그건 기본적으로 오만한 태도라고 할 수 있어.

현우: 그런데 타인조차도 저를 존중해주지 않는데 제가 멍청하다고 하면 안 되는 건가요? 저도 존중받지 못했고 그래서 그런 판단을 한 건데, 이거는 정당한 생각이죠.

소현: 음…. ‘살인마 잭의 집’이라는 영화가 있어. 거기서 잭이 자신의 오만방자함을 깨닫지 못하고 결국 지옥으로 떨어지게 되는 내용이야. 이 영화를 가지고 얘기해볼 수 있을 것 같아. 다음 주에 한 번 얘기해보자.          



현우: 쌤, 살인마 잭이 저하고 같다고 생각하셔서 이걸 보자고 하신 건가요? 잭은 저하고 너무 다르잖아요. 너무해요. 저 상처받았어요.

소현: 아, 당연히 다르지~! 오만함이라는 기저가 같다고 했지, 네가 살인마 같다고 한 게 아니잖아.

현우: 오만함도 같지 않은 것 같은데요.

소현: 한 번 얘기해보자. 왜 다른 것 같은데?

현우: 잭은요, 자신의 더러운 살인 행위를 숭고한 예술로 포장하려고 한 거잖아요. 그건 진짜 궤변이죠. 그리고 저는요, 제 행위를 포장하려고 한 게 아니잖아요. 그러니까 다르죠.

소현: 어떤 것도 자신이 타인보다 우위에 있음을 정당화할 수는 없는 거야. 그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오만한 태도’라는 건 우리를 갉아 먹어. 결국 잭도 지옥에 빠지잖아.

현우: 오만함 때문에 잭이 불구덩이에 빠지는 걸 말씀하시는 건가요?

소현: 응. 잭은 처음부터 끝까지 자신을 과신했어.

현우: 과신한 건 맞죠. 지옥 인도자 버지가 말하길 수많은 죄인들이 지옥을 벗어나는 계단으로 올라가기 위해 절벽을 넘기를 택했지만, 그들 중 그 누구도 성공한 적이 없다고 하잖아요. 근데도 잭은 절벽을 택하죠. 그래서 지옥의 최하층으로 떨어지게 되는 거고요.

소현: 맞아. 끝까지 오만했던 거야.

현우: 근데 죽음을 숭고하다고 하면서 자신의 살인 행위를 예술로 포장한 잭이랑 저는 차원이 다르잖아요.

소현: 네 말대로 잭이 하는 말은 다 궤변이 맞아. 그렇지만 우리가 지난주에 ‘벌새’를 다루면서도 얘기했듯 타인 없이 누구도 존재할 수 없잖아. 오만함은 결국 타인과 나를 비교 선상에 두고 우위를 나눈 다음 취하는 태도이기 때문에 잭의 오만이나 너의 오만, 그리고 나의 오만은 다 같은 거야.

현우: 저는 애들의 행동을 보고 미성숙하다고 한 거지, 저를 우위에 둔 건 아니에요. 애초에 비교를 하지 않았고요.

소현: 미성숙하다는 수식 자체가 타인을 평가한 뒤에 나올 수 있는 거잖아. 그렇게 판단하는 게 바로 자신을 우위에 뒀기 때문에 가능한 거야. 같은 의미로, 미성숙하다는 비난뿐 아니라 성숙하다는 칭찬도 오만함에서 비롯되는 거지.

현우: 그러면 쌤이 저를 칭찬하시는 것도 다 오만함에서 나오는 건가요?

소현: 분명 그럴 때도 있어. 나는 인정해. 의도치 않았어도 그럴 수 있지. 그렇지만 최대한 잘했다, 못했다 같은 평가식 칭찬이 아니라 무언가를 해냈다는 행위에 초점을 둬서 칭찬하려고 애쓰지.

현우: 결국에는 제 평가가 오만이라는 거네요.

소현: 맞아.

현우: 그렇게 보면 평가는 오만이 맞는 것 같긴 한데, 그렇다고 오만이 꼭 나쁜 건 아니잖아요. 왜냐하면 오만은 쌤 말씀처럼 타인이 있기에 존재하는 거고, 타인이 있으면 비교는 너무 자연스러운 거잖아요. 그리고 그로 인해 자신감을 가질 수도 있죠.

소현: 이런 얘기가 있어. 말이 열심히 달리잖아. 그런데 달리고 있는 주체가 나 자신이기 때문에 자신이 원해서 달린다고 생각하는 거야. 그런데, 사실 그 말 위에는 마부가 있어. 말은 마부가 원하는 방향과 속도로 달리고 있는 거지. 만약에 말이 이 사실을 알게 됐다고 생각해 봐. 내가 달리고 있던 게 진짜 내가 아니었다는 걸 알게 되는 거잖아. 그러면 그 순간, 말은 여전히 말이기를 원할까? 아니면 마부가 되기를 원할까?

현우: 마부가 되길 원하겠죠.

소현: 맞아. 자신이 말이었다는 걸 깨달으면, 결코 다시 말로 돌아갈 수가 없대. 그러니까 나로 빗대면 내가 무지했다는 걸 깨닫고 난 뒤에는 다시 무지의 상태로 돌아갈 수 없다는 거지. 너도 네가 고1 때까지 인생의 갈피를 못 잡으면서 미성숙했다는 걸 깨달은 뒤부터는 너의 삶을 네가 이끌려고 노력했잖아. 그리고 다시는 1교시에 엎드려서 6교시에 일어나던 모습으로 돌아가고 싶지 않잖아.

현우: 그쵸.

소현: 네가 말하는 자신감은 바로 그 지점이라는 건 잘 알아. 네가 미성숙했다는 걸 인정하고 열심히 사는 거에 자부심을 가지는 건 정말 건강한 거야. 하지만 나와 비교해서 타인을 평가하는 건 다른 얘기야. 마부가 된 자가 우월감을 느끼게 되면 착각에 빠지게 돼. 그리고 잘못하면 자기만의 신념에 빠져서 오만함에 갇히게 돼. 그게 오만함의 정말 무서운 점이야. 우린 그걸 경계해야 돼.

현우: 그러면 저도 저만의 신념에 빠지고 있다는 말인가요?

소현: 그럴 가능성이 있지. 오만한 적이 없다고 말하고 있으니까. 근데 이해해. 그게 쉽지 않아. 그걸 인정하면 자기 기만을 했다고 인정해야 하는 거고, 지금까지의 자신을 부정하는 꼴이 되는 거거든. 그래서 인정하고 나면 부끄러워진다고 말했던 거야.

현우: 그러면 저도 지금 오만한 건가요?

소현: 그건 내가 정해주는 게 아니야. 너 스스로 알게 되는 거지. 백날 넌 무지해, 라고 말한들 그걸 듣는 사람이 이해할까?

현우: 머리로는 이해가 되는데, 인정하는 게 쉽지는 않을 것 같긴 하네요.

소현: 맞아. 그래도 넌 나보다 나으니까 금방 더 좋은 사람이 될 수 있을 거야. 그러니까 잭은 오만으로 만든 재료들을 쌓아서 자신만의 집을 만들었고 거기에 갇힌 거지. 결국 오만에 갇힌 거야. 그 결말은 네가 말했듯이 지옥 최하층이 됐고.

현우: 거기까진 다 맞는 말 같아요. 하지만 경쟁사회에서 어떻게 우위를 거머쥐지 않고 살아갈 수 있나요? 우위를 느끼는 게 오만함이라면 그건 필연적인 거잖아요. 그리고 우위를 차지해야만 타인으로부터 존중을 받잖아요. 아무리 생각해도 모순적인데요. 경쟁사회에서 남보다 우위에 있다고 느끼지 않는 게 오히려 도태되는 거 아니에요? 결국에 모든 사람은 다 오만할 수밖에 없는 거죠.

소현: 그럴 수도 있지. 근데 그건 결국 합리화일 뿐이야. 만약 타인이 너보다 자신이 우위에 있다고 느낀다면? 그렇게 느낀다고 해도 그건 오만이 아닌 건가?

현우: 노력 없이 태초부터 자신이 우위에 있다고 생각하는 건 오만이죠. 하지만 저보다 더 많은 노력을 했다면 그건 인정해야 된다고 생각해요.

소현: 우선 그 노력의 정도를 가늠할 기준은 무엇인지 알 수 없어. 그리고 자기 오만은 깨닫게 되면 부끄러워진다고 했잖아. 그걸 알면 오히려 그 경쟁을 떠나 더 성장할 수 있는 건데, 넌 아직 부끄러움을 모르는 거일 뿐이야.

현우: 경쟁을 떠나는 방법이 있나요?

소현: 경쟁하지 않으면 되지. 부끄러움을 아는 순간 레이스를 하던 자신을 발견하게 되는 거고, 그 레이스에 참여할 필요가 없다는 걸 알게 돼. 네가 지금 한 얘기는 그 경쟁에서 열심히 달리는 너를 합리화하기 위한 궤변에 불과해. 잭이 그랬던 것처럼.

현우: 그러면 경쟁하지 않고도 존중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어요?

소현: 있지.

현우: 어떻게 해야 되는데요?

소현: 끊임없이 자신을 객관화하는 거야. 자신을 한 발짝 뒤에서 관찰할 수 있으면 돼. 결국 오만함은 자신을 파국으로 몰고 가기 때문에 자신을 존중하지 않는 것과 같아. 그래서 잭도 지옥에 스스로 들어간 거야. 내가 나 자신을 존중하면 타인에게 존중받으려고 애쓸 필요가 없어.

현우: 사람에게는 다 인정욕구가 있잖아요. 자기 자신만을 존중한다고 그 인정욕구가 해결이 될까요? 결국 오만도 인정욕구에서 시작되는 거잖아요.

소현: 인정욕구를 버리라는 뜻이 아니야. 자신에 대한 존중이 선행하지 않고서 얻는 타인의 인정은 결국 허상에 불과해. 언젠가 무너지게 돼 있어. 남에게 존중받기 위해 오만을 선택할 필요는 없지.

현우: 그러면 오만해지지 않고 자신을 존중하면서 남에게 인정까지 받을 수 있나요?

소현: 글쎄, 그런 영화를 한 번 찾아볼까? 현우가 찾아봐봐.

현우: 네. 제가 한 번 찾아볼게요….

소현: 좋아. 다음 주에 얘기해보자.

이전 13화 성장통: 벌새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