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앤펭귄 Oct 30. 2022

인간은 욕망과 권태사이를 오간다2: 욕망이라는이름의전차

특성화고 영상과 선생님과 학생의 방과 후 수업

소현: ‘소셜 네트워크’랑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에서의 욕망이 어떻게 다른 거 같아?

현우: ‘소셜 네트워크’는 미래에 대한 욕망인 것 같고,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는 과거를 욕망하는 것 같아요.

소현: 과거에 행복했던 자신을 욕망한다는 건가?

현우: 네. 블랑쉬가 헛된 욕망을 갈구한 거죠.

소현: 헛된 욕망이 정확히 뭐야?

현우: 누릴 수 없는 욕망을 갈구하는 거요. 블랑쉬는 쌤이 말씀하셨던 것처럼 과거의 행복을 누리려고 하고 과거의 자신으로 돌아가려고 하잖아요. 욕망이란 게 부족한 걸 느끼고 채우기 위해 갈구하는 거고, 그래서 욕망은 미래에 방향이 맞춰진 거죠. 근데 블랑쉬는 과거에 방향이 맞춰져 있으니까 누릴 수 없는 욕망이라고 한 거예요.

소현: 음, 그렇네. 네가 지난주에 욕망하는 건 행복이라고 했잖아. 그걸 좀 구체화하자면 결핍을 채워갈 때를 말하는 거 같아. 블랑쉬는 절대 채울 수 없는 결핍을 계속 갈망하니까 불행해진 거고.

현우: 블랑쉬도 행복하려고 욕망한 거긴 하죠. 다만 그 욕망을 잘못 선택한 거예요. 과거가 행복했기 때문에 과거의 모습으로 돌아간다면 행복할 수 있을 거라는 착각에 빠진 거죠. 그래서 블랑쉬가 망상을 하게 되는 거고요.

소현: 블랑쉬가 남편하고 누렸던 행복한 과거는 분명 존재했을 텐데 안쓰러워. 암시이긴 하지만 블랑쉬가 과거 행복을 회복하기 위해서 남자한테 기대고 끝내 고급 매춘까지 하잖아. 근데 여전히 자신이 고상한 사람이라고 말하는 게, 자신한테 벌어진 불행을 인정하고 싶지 않으니까 망상한 거라고 할 수 있지.

현우: 그쵸. 영화 후반으로 갈수록 블랑쉬가 연약한 척을 하잖아요. 스탠리가 화낼 때마다 과민 반응을 보이고, 자신은 공주라면서 연약한 사람이라고 하잖아요. 선생님은 그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세요?

소현: 연약한 모습으로 도피한 거지. 그래야 사람들이 연민을 느끼고 블랑쉬한테 관심을 줄 테니까. 자신이 여전히 연약하고 사랑받을 수 있다는 걸 확인받고 싶은 거야. 근데 블랑쉬도 알고 있었다고 생각해.

현우: 뭘요?

소현: 연약한 척하고 있다는 걸. 사랑받기 위해서 남자들한테 자신을 포장하는데, 그게 포장이라는 걸 스스로 아는 거지. 블랑쉬가 계속해서 남자들을 유혹하잖아. 그리고 유혹에 넘어오면 안심해. 그걸로 자기 자신이 여전히 사랑받을만한 사람이라는 걸 보여주고 싶은 거야. 욕망은 결핍에서 출발하지만 우리는 자기도 모르게 결핍을 채우고 성장하려는 욕구가 생겨. 블랑쉬는 성장을 좇은 게 아니라 결핍을 좇은 거지.

현우: 네. 그래서 제가 과거를 택한 블랑쉬는 누릴 수 없는 욕망을 갈구했다고 한 거죠. 

소현: 그래서 자기 욕망을 제대로 파악해야 되는 거야. 진짜 자기가 원하는 욕망이 뭔지. 고백하자면 나도 그걸 제대로 파악 못 했었어.

현우: 어떤 욕망인데요?

소현: 지난주에 내 꿈은 세상에 내 글을 남기는 거라고 했잖아. 그럼 내 욕망은 글을 쓰는 거야. 근데 나는 유명한 작가가 되기를 욕망했던 거지.

현우: 더 설명해주세요.

소현: 세상에 글을 남길 방법은 많잖아. 블로그에 글을 쓸 수도 있고, 공모전에 도전해서 지하철 스크린도어에 내 시를 남길 수도 있지. 근데 나는 유명한 작가를 상상하면서 정작 어디에도 내 글을 남기는 실천은 전혀 하고 있지 않았어. 블랑쉬처럼 망상에 빠져 있던 거나 마찬가지야.

현우: 블랑쉬가 자신은 고상한 인물이라고 말하면서 그렇게 행동하지 않았던 것처럼요?

소현: 그치. 영화를 보면서 그 지점에서 블랑쉬한테 이입이 많이 됐던 것 같아. 자신이 되고 싶은 모습을 자신이라고 믿는 거지. 그래서 지난주에 너랑 야망에 대해 얘기한 뒤부터 다시 생각해봤는데, 너무 혼란스러웠어. 과연 내가 진짜 원하는 게 뭘까 싶어서. ‘소셜 네트워크’에서 주커버그도 진짜 원했던 건 사회적인 유대였는데 그게 거대 자본으로 변질됐다는 얘길 했잖아. 욕망을 바로 본다는 게 어려운 일이야.

현우: 그러면 이제 진짜 욕망이 뭐예요? 글을 쓰는 거예요, 유명 작가가 되는 거예요?

소현: 이제는 그냥 어디든 내 이름이 남겨졌으면 좋겠어. 유명 작가가 되면 좋겠지만, 그게 아니어도 돼. 글을 써서 뭔가를 창조해낸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행복하거든. 넌? 너의 욕망을 똑바로 보고 있어?

현우: 네. 저는 그냥 제가 만족할만한 영화를 만들어내는 거예요. 근데 선생님이 하신 고민에 저도 공감되죠. 저도 가끔 유명한 감독이 돼서 칸에 가는 상상을 하니까요.

소현: 할 수 있지. 자기가 되고 싶은 모습을 자기라고 믿는 건 망상이지만, 되고 싶은 모습을 위해서 꾸준히 실천해나가면 그건 성장이잖아. 그리고 언젠가 원하던 그 모습에 닿아 있을 거야.

현우: 쌤도 할 수 있어요. 이제 전처럼 야망을 잃어버리시지만 않으면 돼요.

소현: 그래. 고맙다. 잃어버렸던 건 아니고 잠깐 잊어버렸던 거야. 사람은 주어진 환경에 어느 정도 적응하면 거기에 안주하고 싶어져. 그래서 나도 안주했던 거 같아. 이만하면 괜찮다고 자기 합리화를 했던 거겠지? 그래도 현우 덕분에 다시 떠올렸으니 그걸로 됐지, 뭐.

현우: 그걸로 됐다뇨. 야망을 이루셔야죠. 선생님, 제가 인간은 욕망과 권태 사이를 오간다고 했잖아요. 쇼펜하우어가 말한 거랑 제가 말한 거랑 차이점이 뭔지 아세요?

소현: 쇼펜하우어는 인생은 결핍과 권태 사이를 오가는 시계추라고 했고 넌 인간은 욕망과 권태 사이를 오간다고 했지.

현우: 제가 말한 게 무슨 뜻인지 아세요?

소현: 네가 말했잖아. 욕망을 좇는 게 행복이라고. 욕망을 좇지 않으면 권태로운 거고.

현우: 그것도 있지만요, 쇼펜하우어는 인생이라고 하잖아요. 저는 인생이 아니라 인간에 초점을 둔 거예요. 인생이 어떻다고 말하는 건 지극히 운명론적이잖아요. 하지만 인간은 어떻다고 말하는 건 주체적인 말이에요. 우리는 욕망과 권태 사이를 오가는 삶을 살지만, 하나의 주체이기 때문에 그중 하나를 택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소현: 그래서 욕망과 권태 중 욕망하기를 택하겠다는 거고.

현우: 네. 그 욕망을 택하는 것 또한 헛된 욕망을 택하는 게 아니라 성장할 수 있는 욕망을 택해야 되는 거죠. 그리고 그걸 실천하는 게 곧 행복인 거죠.

소현: 네 말대로라면 블랑쉬는 성장할 수 있는 욕망이 아니었기 때문에 불행했던 거네.

현우: 그쵸. 그리고 실천도 제대로 하지 않잖아요.

소현: 맞아. 욕망은 타인이 이루어주는 게 아닌데 블랑쉬는 타인에 기대고 의지했지. 그래서 더 결핍됐던 거 같아. 

현우: 그래도 선생님이 타인 없이 우리가 존재할 수 없다면서요. 그러니까 대신 욕망을 이루어주길 바라는 건 잘못된 거여도 가끔 의지하고 기댈 순 있죠. 선생님이 저한테 의지하시는 것처럼요.

소현: 아, 내가 너한테 의지했어?

현우: 아니요. 서로 했죠. 저희 공생관계잖아요~!

소현: 아, 그랬지. 그러면 다음 주에는 ‘트루먼쇼’로 얘기를 나눠 보자. 욕망을 이루는 데 가장 중요한 게 용기인 것 같거든. 트루먼이 그걸 잘 보여주는 인물이니까.

현우: 네.

이전 20화 인간은 욕망과 권태 사이를 오간다1: 소셜네트워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