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화고 영상과 선생님과 학생의 방과 후 수업
소현: 넌 이 영화를 왜 좋아해?
현우: 재밌잖아요.
소현: 뭐가 재밌는데?
현우: 보통 다른 영화에서는 주인공이 전쟁영웅이 되거나 새우 회사 사장이 되는 내용을 중점으로 다루잖아요. 하지만 이 영화는 매우 가볍게 다뤄요. 마치 별것도 아닌 것처럼요.
소현: 가볍게 다뤄서 좋다는 거야?
현우: 네.
소현: 아~! 사람들이 목숨 걸고 만들려는 명예를 포레스트는 아무것도 아닌 양 가볍게 여기는 걸 말하는 건가 보네.
현우: 네. 무언가를 이루는 성취감보다 그걸 이루기 위한 노력을 중점으로 보여주잖아요.
소현: 엄밀히 말해서 포레스트가 무언가를 이루기 위한 노력을 한 거라고 할 수 있을까? 이루기 위해 노력한 적은 없잖아.
현우: 네. 없네요. 대신 목표는 없지만 노력은 있잖아요.
소현: 그 노력을 왜 했다고 생각하는데?
현우: 이유가 없죠.
소현: 나도 그렇게 생각해. 그냥 포레스트는 하고 싶은 걸 한 거지. 그래서 나는 포레스트라는 인물을 존재적인 인물이라고 말하고 싶어. 사실 포레스트가 보통 사람들이 한 번 이루기도 힘든 걸 혼자 몇 개씩 거뜬히 다 해내잖아. 그 말도 안 되는 걸 다 해내는 이유가 존재적 삶을 살기 때문인 거지.
현우: 존재적 삶이 뭔데요?
소현: 그 반대가 소유적 삶인데, 무언가를 이루기 위해서 또는 얻어내기 위해서 목표로 삼는 게 소유적인 삶이야. 존재적인 삶은 그냥 내가 좋아서, 내가 그렇게 하고 싶어서 하는 걸 말하는 거고. 예를 들어서 엄마가 백 점 맞으면 폰을 바꿔준대서 열심히 공부하면, 그건 소유적 학습이고 그냥 내가 공부가 좋아서 공부하면 그건 존재적 학습이야.
현우: 그러면 포레스트는 자신의 파란만장한 삶이 좋아서 살았던 걸까요?
소현: 그렇겠지? 포레스트 엄마가 한 말처럼 인생은 초콜릿 상자와 같은 거니까. 어떤 맛일지 상자를 열어 봐야 아니까 그 삶이 좋아서 했다기보다, 적어도 그 상자를 여는 걸 즐거워하는 삶을 살았다는 게 더 맞겠지.
현우: 그럼 상자를 여는 걸 즐거워하는 것보다 어떤 초콜릿을 먹을지 선택하는 걸 즐거워한 거 같아요.
소현: 어떤 사람들은 그 상자를 열 생각조차 못하니까 상자를 여는 것부터 즐거워했을 거 같아. 네 말대로 어떤 초콜릿을 먹을지 선택하는 것도 즐거워했을 거고.
현우: 그 상자를 연다는 게 뭐예요?
소현: 포레스트가 존재적인 삶을 산다고 얘기했으니까, 포레스트가 가진 초콜릿 상자는 존재적인 인생을 표현하는 거야. 그러니까 상자를 연다는 건 자신의 인생에서 선택할 기회가 생긴다는 거지.
현우: 인생에서 선택할 기회를 즐겼다는 게 좋은 거 같아요. 선택권이 없는 인생도 있잖아요.
소현: 선택권이 있다는 생각을 못하는 경우도 다분하고. 혹은 자신이 선택하고 있다고 착각하는 경우도 있으니까.
현우: 그게 바로 댄 중위죠. 댄 중위는 운명론에 빠져서 자신의 인생에서 선택할 기회를 만들지 않았잖아요.
소현: 오~ 그렇네. 댄 중위는 자기 미래를 정해놓은 거니까. 본인 목표가 전쟁에서 죽는 거라고 했는데 그게 자신의 선택이라고 착각한 거지.
현우: 왜 댄 중위는 전쟁에서 죽으려고 했던 걸까요? 전쟁영웅이 되더라도 죽으면 끝이잖아요. 직접 훈장을 받을 수 없고 누군가의 기억으로만 남겨질 텐데. 자신에게 있어서 죽음은 무의미한 거잖아요.
소현: 그 죽음이 가치 있다고 여겼던 거겠지.
현우: 무슨 가치가 있는 건데요? 그 가치는 어디서 오는 건데요?
소현: 그게 바로 사회가 말하고 정의하는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죽음이라서 그랬겠지. 그래서 댄 중위가 말한 목표 자체가 착각이라고 했던 거야. 자신의 선택이고 원하는 죽음이라 여겼지만 그게 아니었던 거야.
현우: 그럼 댄 중위는 불쌍한 인물이네요. 선생님 말씀대로 사회가 정한 의미에 매료돼서 자신이 정한 의미라고 착각했던 거잖아요. 결국에 죽음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어서 사회가 정한 의미는 모순적인 의미였던 거네요.
소현: 함부로 불쌍하다고 판단할 수는 없겠지만 모순적인 건 맞지. 불쌍하다고 판단할 수 없는 이유는 사회가 정한 의미였을지라도 열심히 산 사람이니까.
현우: 왜 열심히 살았다고 불쌍하다고 판단하면 안 되는 거죠? 오히려 자신의 의미가 아닌 의미를 추구하고 열심히 살았기 때문에 불쌍하다고 한 건데요.
소현: 그건 네 생각이니까 그렇게 말할 수는 있지. 열심히 살았다고 불쌍하다고 판단하지 말라는 게 아니라, 어찌 됐든 사회가 정한 의미였어도 거기에 가치를 뒀기 때문에 포레스트한테 구조받지 않고 죽었다면 스스로 명예로운 죽음이었다고 여겼을 거 아니야. 그게 착각이었을지라도.
현우: 저는 그 착각이 불쌍했다는 거예요.
소현: 그래. 그래서 네 생각을 말할 수 있다고 했잖아. 다만 나는 그렇게 판단하지 않는 거지. 그럼 포레스트가 갑자기 이유 없이 3년간의 달리기를 할 때, 뭔가 대단한 의미가 있는 줄 알고 그 뒤를 따라서 달린 수많은 사람들이 있었잖아. 그 사람들도 불쌍해?
현우: 네. 그 사람들도 불쌍하죠. 정처 없이 사막 한가운데 놓여진 거잖아요.
소현: 포레스트는 불쌍하지 않고?
현우: 네.
소현: 왜?
현우: 자신이 생각하는 가치를 추구해온 거잖아요. 자신이 선택한 길을 달렸기 때문에요.
소현: 이유 없이 달렸는데도?
현우: 이유가 가치가 되진 않잖아요.
소현: 애초에 가치를 추구한다는 것 자체가 무언가 가치 있는 자신만의 목표를 두고 그것을 좇는다는 의미기 때문에 물어본 거야. 포레스트는 그저 자신이 하고 싶은 걸 했을 뿐이고, 그때 당시에 포레스트가 하고 싶었던 건 그저 달리는 거였어. 달리기를 통해 무언가 얻으려고 한 게 아니라.
현우: 음, 정처 없이 쉬지 않고 달리는 게 포레스트한테는 값어치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우리는 항상 목표를 잡고 움직이잖아요. 그 목표가 의미 있고 가치를 부여해준다고 생각하니까요. 그러니까 무언가를 추구한다는 게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거고요. 하지만 포레스트는 달라요. 이유가 없고 목표 또한 없는 인물이에요. 그저 자신이 하는 일을 값어치 있게 생각하고 그걸 추구하는 인물이죠. 어찌 보면 포레스트에게 목표는 자신이 하고 싶은 걸 하는 거예요.
소현: 그럼 포레스트 뒤를 따라 달렸던 사람들의 목표는 뭐였을까?
현우: 포레스트를 따라서 그럴싸한 가치를 추구하려 했던 거죠. 남들이 보기에 있어 보이고 명예로워 보이는 가치요. 자신에게 있어서 값어치 있는 일이면 상관없는 건데, 타인의 가치를 따라갔기 때문에 좌절하게 된 거죠.
소현: 포레스트가 달리기를 멈추고 집에 가야겠다고 마음먹은 순간 그 사람들은 길을 잃었지. 그래서 ‘우린 이제 어떡하냐’고 포레스트한테 묻잖아. 그 사람들은 달리는 자체가 목표가 아니라 각자마다 목표가 있었어. 그리고 그 목표를 달리기라는 행위에 의미를 붙였던 거야. 포레스트는 그냥 달리고 싶어서 달렸을 뿐이고. 카뮈가 사람들은 타인의 욕망을 욕망한다고 말했잖아. 포레스트 뒤를 따랐던 사람들이 딱 거기에 해당하는 인물들이라고 할 수 있는 거지.
현우: 왜 사람들은 타인의 욕망을 욕망할까요?
소현: 포레스트처럼 그저 하고 싶은 걸 했을 때의 결과가 두려운 거겠지. 진짜 자신의 욕망을 따르는 게 두려운 거야.
현우: 왜 두려워할까요? 자신의 욕망을 따르는 게 더 좋은 거 아닌가요?
소현: 자신이 틀렸다는 걸 알게 될까 봐 그런 거겠지. 욕망하고 따른 결과가 좋지 않을 때 온전히 자기 탓이 되잖아. 그러느니 사람들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욕망을 따르는 거야.
현우: 그러면 타인의 욕망을 따르든 자신의 욕망을 따르든 결국 안전하다고 보장된 건 없네요.
소현: 그치. 그러니까 자신의 진짜 욕망을 따르는 걸 두려워할 필요가 없겠지. 넌 너만의 욕망을 따르고 있어? 아니면 타인의 욕망을 욕망하는 거 같아?
현우: 저도 모르겠어요. 이미 저와 같은 욕망을 하는 사람도 많고 저도 누군가로부터 영향을 받아서 현재의 제가 만들어진 건데, 저만의 욕망을 따르고 있다고는 확신할 수 없죠. 하지만 그게 어떻든 두려워하지 않고 나아가면 되는 거 같아요.
소현: 그래. 사회에 살아가는 이상 포레스트처럼 순수하게 하고 싶은 걸 하는 삶은 힘들겠지. 심지어 욕망하는 것조차 멈춰버리는 사람도 엄청 많잖아. 나도 그랬고. 그래서 나도 너한테 배워. 그럼 다음 수업 때는 ‘굿 윌 헌팅’처럼 얘기를 나눠볼까?
현우: 무슨 얘기를 나눠요?
소현: 네가 나한테 가르쳐주고 싶은 얘길 나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