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피스토 Aug 18. 2021

보고 싶은 사람이 있나요?

비밀번호-문현식


 

Photo by Paul Hutton on Unsplash



비밀번호

-문현식

 

우리 집 비밀번호

□□□□□□□

 

누르는 소리로 알아요

□□□ □□□□는 엄마

□□ □□□ □□는 아빠

□□□□ □□□는 누나

할머니는

□ □  □   □

□  □   □

 

제일 천천히 눌러도

제일 빨리 나를 부르던

이제 기억으로만 남은 소리

 

보 고  싶   은

할  머   니

 

 

그리움이라는 단어는 때로는 따뜻하고, 때로는 외롭습니다. 문현식 시인의 동시 <비밀번호>는 보고 싶은 할머니를 그리워하며 쓴 작품입니다. 문현식 시인은 1974년생으로, 시집 《팝콘 교실》(2014)에 이 시를 수록했지요. 여러분에게 보고 싶다는 감정은 어떤 것인가요? 그리고 아이들에게 그리움이란 어떤 것일까요? 시 속에서 이야기하는 사람(시적화자)은 엄마, 아빠, 누나와 살고 있는 남자아이입니다. 아이는 할머니와도 함께 살았지만, 지금은 계시지 않습니다. 


시 속의 아이는 이제 할머니를 현관문 ‘비밀번호’ 누르는 소리로만 추억하고 있습니다. 다르게 말하면, 현관문 비밀번호를 누르는 소리가 들릴 때마다 아이는 할머니가 보고싶습니다. 


시의 처음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우리 집 비밀번호/□□□□□□□” 아이의 집 비밀번호는 일곱 자리이군요. 비밀번호를 누르는 소리만 들어도 아이는 누가 들어오는지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가족마다 누르는 소리가 다르다고 이야기합니다.  


누르는 소리로 알아요/□□□ □□□□는 엄마/□□ □□□ □□는 아빠/□□□□ □□□는 누나”

가족들마다 리듬을 가지고 있습니다. 엄마와 아빠, 누나는 모두 각자의 리듬으로 비밀번호를 누릅니다. 아이는 그 리듬만으로도 누구인지 아는 것이죠. 할머니의 리듬도 기억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할머니의 리듬은 가족들과는 사뭇 다릅니다. 숫자판을 의미하는 ‘□’가 다른 가족과 달리 많이 떨어져 있네요. 할머니가 숫자를 누르는 시간이 더디다는 뜻일 겁니다. 그리고 아이는 말하죠. “제일 천천히 눌러도/제일 빨리 나를 부르던/이제 기억으로만 남은 소리”라고요. 할머니가 비밀번호를 누르는 시간은 가족 중에서 가장 느립니다. 그러나 아이는 그 소리를 듣고 가장 먼저 현관문으로 달려갔습니다. 아이에겐 “제일 빨리 나를 부르던” 소리였기 때문입니다. 누구보다도 가장 할머니를 반긴 것을 보니 아이는 할머니와 함께한 시간이 소중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 할머니가 이제는 가족 곁에 없습니다. 그리고 아이는 할머니가 누른 비밀번호의 리듬에 맞추어 그리움을 노래합니다. 

 

보 고  싶   은

할  머   니

 

마지막 연은 우리에게 큰 울림을 줍니다. 어떤 말보다 그리움의 감정을 잘 표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시인은 시에서 감정을 직접 드러내기보다 감정을 표현해줄 대상을 찾습니다. 이것을 우리는 은유라고 말합니다. 이 시가 울림을 주는 이유도 은유에 있습니다. “할머니 보고싶어요”라고 말하지 않고, 할머니가 눌렀던 비밀번호의 리듬에 맞춰 “보 고  싶   은/할  머   니”라고 이야기합니다. 비밀번호는 할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가장 잘 표현해줄 대상이었던 것이지요. 시라는 세계 안에서 표현되는 감정은 일상과는 많이 다르지요? 누구나 느끼는 그리움의 감정도 시라는 형식을 통해서 보면 새롭고 놀랍기만 합니다. 이것이 시가 우리에게 주는 선물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그림이 그려지는 시 이야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