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토미융합소 Sep 17. 2021

다른 사람에게 기억되는 방법

"나는 사과를 좋아합니다. 물론 싫어할 때도 있습니다만, 좋아하는 경우도 종종 있기에 좋아한다고 말할 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간혹 말을 하다 보면 주저할 때가 있습니다.

‘이 말을 해도 될까?’, ‘틀리면 어쩌지?’


이런 두려움은 우리를 방어적으로 만듭니다. 방어적으로 변한 사람은 생각을 명확히 말하지 못합니다. 언제든 문제사항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핑곗거리를 만들며 생각을 에둘러 말합니다.


핑곗거리를 담아서 에둘러 말하면 욕을 안 먹을 수 있습니다. 상대가 뭐라던지 간에 '나는 그런 말 한 적 없다', '나는 그럴 수 있다고 한 것뿐이다'로 일관할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런 식의 말하면 욕은 먹지 않을지 언정, 자신을 잃습니다.


우리는 경계가 뚜렷한 것만 기억합니다. 우리의 기억을 채우고 있는 건 내가 보아 왔던 형상뿐입니다. 물, 공기처럼 형체가 뚜렷하지 않은 것은 느끼기만 할 뿐 떠올리지 못합니다. 시각에 크게 의존하는 인간은 어쩔 수 없이 경계가 뚜렷한 것만 기억합니다.


명확히 말하지 않는 사람은 상대의 기억 속에 남지 않습니다. 분명히 말하지 않는 사람은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어떤 가치관을 가졌는지 알 수 없습니다. 두리뭉실한 이야기를 하면 공기처럼 형체가 없는 잔상으로만 기억 됩니다. 


자신의 생각을 명확히 말해야 합니다. '나는 ㅇㅇ하는 것 같습니다'가 아닌 '나는 ㅇㅇ합니다'. '저는 ㅁㅁ같다는 생각이 듭니다'가 아닌 '저는 ㅁㅁ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해야 합니다.

물론, 명확히 말하는 건 두렵습니다. 명확히 말한다는 건 경계를 만든다는 것이고, 경계가 생긴다는 건 반대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형체를 가지기 위해선 반드시 반대를 가져야 합니다. 우리 몸의 겉과 속이 나뉘듯 생각에도 겉과 속이 나뉘어야 합니다. 이것은 편 가르기와 선긋기가 아닌, 자신을 구체화하는 것입니다.


매번 글을 쓸 때면 저는 언제나 두렵습니다. '다른 사람들이 이렇게 생각하지 않으면 어쩌지?', '뭣도 모르고 잘난 척한다 하면 어쩌지?'라는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이런 두려움에도 제가 명확히(때로는 강하게) 글을 쓰는 건 제 자신을 드러내기 위해서입니다. 명확한 글을 써야만 자신을 드러낼 수 있고, 사람이 기억해주며, 구체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명확히 말하는 건 어렵습니다. 하지만 그렇기에 그들만이 기억됩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