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트테라피스트MUN Nov 25. 2024

복종의 그늘: 부당한 요구와 무조건적 순응의 함정

조건 없는 복종, 무조건 OK

나를 불편하게 하는 사람들;;

현대 사회에서 인간관계는 끊임없이 복잡해지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타인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는’ 상황을 경험합니다. 저의 실제 내담자들과의 상담 사례에서 비롯된 이야기를 토대로, 이러한 불편한 사람들의 행동에 숨겨진 심리적 이유를 분석하고, 감정 솔루션을 통해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1부 일상생활(#1~#20)에 이어 -직장생활에서-를 시작합니다:)

2부 직장생활(#21~)에서는 명화를 포함한 다양한 미술작품을 소개합니다.



#26. 복종의 그늘부당한 요구와 무조건적 순응의 함정 (조건 없는 복종, 무조건 OK)




F님의 고민



저는 그냥 평범한 직장인이에요. 사실 요즘 회사 동료만 아니면 스트레스받을 일이 거의 없어요. 요즘 전 제 옆자리에 앉은 동료 G 때문에 매일 답답함을 느낍니다


G는 상사의 요구라면 무조건 따르는데, 그 요구가 아무리 부당해도 절대 거절하지 않아요. 지난주에는 상사가 G에게 다른 팀원의 실수를 덮어달라고 했는데, G는 망설임 없이 그렇게 했어요. 또 얼마 전에는 상사가 업무 시간 외에 개인적인 심부름을 시켰는데도 G는 아무 말 없이 수행했죠.


상사: "G야, 지난주 A 팀의 보고서 자료 수정 좀 해줘. 보고서 수정에 내 이름 넣고."
G: "네, 알겠습니다."
상사: "아 맞다, 내가 지갑을 차에 놔두고 왔네 좀 가져다 줄래?."
G: "네, 차키 주시면 다녀오겠습니다."



G의 이런 태도 때문에 팀 전체의 분위기가 이상해지고 있어요. 다른 동료들도 G처럼 행동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느끼고 있고, 상사는 점점 더 무리한 요구를 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런 상황이 건강한 직장 문화를 해친다고 생각하지만, G에게 직접 말하기가 어렵네요. 


어떻게 하면 G에게 상사의 부당한 요구에 대해 의견을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달할 수 있을까요? 그리고 이런 상황에서 제가 할 수 있는 역할은 무엇일까요? 팀의 분위기를 개선하고 건강한 직장 문화를 만들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요?



행동의 심리학적 배경


이 행동은 권위주의적 성향(Authoritarian Personality)소극적 자기 방어(Passive Defense Mechanism)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위계질서에 대한 강한 수용성과, 충돌을 피하고 싶은 욕구가 이러한 행동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자신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한 무의식적인 전략이기도 합니다.


-권위에 대한 복종: Milgram의 복종 실험에서 보여지듯, 많은 사람들이 권위 있는 인물의 지시를 무비판적으로 따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동조 현상: Asch의 동조 실험에서 나타난 것처럼, 개인은 집단의 의견에 동조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G의 행동은 다른 팀원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학습된 무기력: Seligman의 이론에 따르면, 반복된 부정적 경험으로 인해 개인이 상황을 통제할 수 없다고 믿게 되는 현상입니다. G는 과거의 경험으로 인해 이러한 상태에 빠졌을 수 있습니다.


-인지부조화: Festinger의 이론에 따르면, 개인의 신념과 행동 사이에 불일치가 발생할 때 심리적 불편함을 느끼게 됩니다. G는 이를 피하기 위해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할 수 있습니다.


-사회적 교환 이론: Homans의 이론에 따르면, 인간관계는 보상과 비용의 교환으로 이루어집니다. G는 상사에 대한 복종을 통해 직장에서의 안정이나 승진과 같은 보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감정 관리 솔루션



동료의 행동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기보다는 이해하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동료에게 스스로의 목소리를 내는 것이 중요함을 상기시키며 점차 작은 것부터 의견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 상사와의 대화도 협력적 방식으로 풀어가야 합니다.


-공감과 이해: G의 입장을 이해하려 노력해 보세요. 그의 행동에는 이유가 있을 것입니다. G의 행동 이면에 있는 동기나 두려움을 이해하려고 노력해 보세요. 이는 G에 대한 분노나 좌절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개방적 대화: G와 1:1로 대화할 기회를 만들어 그의 생각을 들어보세요. 판단하지 않고 경청하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롤모델 되기: 건강한 의사소통과 적절한 경계 설정의 모범을 보이세요. 이는 G에게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팀 문화 개선: 팀 내에서 서로의 의견을 자유롭게 나눌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드는 데 앞장서보세요.


-지지 그룹 형성: 비슷한 고민을 가진 동료들과 지지 그룹을 만들어 서로를 격려하고 조언을 나눠보세요.


-자기주장 훈련: G에게 자기주장 훈련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함께 참여할 것을 제안해 보세요.


-긍정적 강화: G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때마다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지지해 주세요.


-긍정적 자기 대화: G의 행동을 보면서 스트레스받는 F님의 감정의 관리를 위해 긍정적 자기 대화를 해보세요. "나는 G의 행동과 무관하게 가치 있는 사람이야", "나는 건강한 직장 문화를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어"와 같은 긍정적인 말을 스스로에게 해주세요.


-자기 인식 강화: 매일 저녁 5-10분 동안 G의 행동이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한 감정을 일기로 작성해 보세요. 이를 통해 자신의 감정 패턴을 파악하고 객관화할 수 있습니다.


-마음 챙김 명상: 하루 10분씩 호흡에 집중하는 명상을 실천해 보세요. 이는 G의 행동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이고 현재에 집중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미술 작품 소개



앙리 루소의 '꿈'(The Dream, 1910)

앙리 루소의 '꿈'은 울창한 정글 속에서 나체의 여인이 소파에 누워있는 모습을 그린 작품입니다. 이 그림은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며, 관객에게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제공합니다.


정글은 복잡하고 위협적인 직장 환경을 상징합니다. 울창한 나무와 식물들은 직장에서의 다양한 압박과 요구를 나타냅니다. 그리고 소파에 누운 여인은 G와 같이 현실에 안주하는 직원을 상징할 수 있습니다. 그녀는 주변의 위험을 인식하지 못한 채 편안해 보입니다.

그림 속 동물들은 직장에서의 다양한 인물들을 나타냅니다. 일부는 위협적이고, 일부는 중립적입니다.

달빛 아래 모든 것이 고요해 보이지만, 언제든 상황이 변할 수 있다는 긴장감이 느껴집니다.


이 작품은 G의 상황과 여러 면에서 연결됩니다. G는 마치 그림 속 여인처럼 현재의 상황에 안주하고 있지만, 주변의 위험(부당한 요구, 건강하지 못한 직장 문화)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F의 입장에서는 이 그림을 통해 G에게 현재 상황의 위험성을 인식시키고, 변화의 필요성을 깨닫게 할 수 있습니다.


'꿈'은 또한 현실과 이상의 괴리를 보여줍니다. 이는 G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직장생활(상사에게 순응하여 얻는 안정감)과 실제 현실(건강하지 못한 직장 문화) 사이의 차이를 반영합니다. 이 작품을 통해 우리는 현실을 직시하고 변화를 모색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폴 세잔 '사과와 오렌지 바구니' (Basket of Apples, c. 1895)

세잔의 '사과와 오렌지 바구니'는 정물화이지만 독특하게도 모든 요소가 정확하게 균형을 이루지 않습니다. 테이블은 약간 기울어져 있고, 사과와 오렌지가 자유롭게 흩어져 있어 완벽히 정돈된 모습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러한 불완전함이 작품의 조화와 생동감을 만들어냅니다.

세잔은 고정된 관점에서 사물을 바라보는 대신, 다양한 시각적 관점을 통합해 새로운 방식으로 대상을 구성했습니다. 그의 정물화는 다양한 요소가 서로 상호작용하며 만들어내는 균형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이 작품은 팀워크와 조화의 중요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F가 직면한 문제에서, 팀의 모든 구성원이 '사과와 오렌지'처럼 개별적으로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전체적인 맥락에서는 하나의 팀으로 조화를 이루어야 합니다.


G는 '완벽한 순응'을 통해 조화를 이루려 하지만, 실제로는 팀의 균형을 깨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반면, F는 이 작품에서처럼 균형과 조화를 새로운 방식으로 재구성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이는 G와 상사의 관계를 직접 바꾸기보다는, 팀원 간의 대화와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팀워크 모델을 만들어가는 과정일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세잔의 작품은 '다양성과 조화를 통한 균형'을 강조하며, F가 팀의 건강한 문화를 형성하기 위해 어떤 관점을 가져야 할지 시사합니다. G와의 대화에서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핵심일 수 있습니다.


그럼 다음 챕터에서 또 만나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