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시를 제대로 따르지 않는 이유
현대 사회에서 인간관계는 끊임없이 복잡해지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타인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는’ 상황을 경험합니다. 저의 실제 내담자들과의 상담 사례에서 비롯된 이야기를 토대로, 이러한 불편한 사람들의 행동에 숨겨진 심리적 이유를 분석하고, 감정 솔루션을 통해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1부 일상생활(#1~#20)에 이어 -직장생활에서-를 시작합니다:)
2부 직장생활(#21~)에서는 명화를 포함한 다양한 미술작품을 소개합니다.
E님의 고민
저는 중소기업 마케팅팀 팀장 E입니다. 최근 새로 들어온 직원 F 때문에 골치가 아픕니다.
F는 능력은 뛰어나지만, 제 지시를 제대로 따르지 않고 항상 자기 방식대로만 일을 처리하려고 해요. 처음에는 그의 창의적인 접근이 신선하다고 생각했지만, 이제는 업무가 자꾸 지연되고 팀 전체의 흐름이 깨지는 것 같아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예를 들어, 지난주 프로젝트에서 F에게 특정 방식으로 데이터를 분석하라고 지시했는데, 그는 완전히 다른 방법으로 분석을 진행했어요. 결과적으로 그의 방식이 더 효과적이긴 했지만, 이로 인해 다른 팀원들의 작업이 뒤죽박죽 되었죠.
F의 능력은 인정하지만, 이런 식으로는 팀워크가 무너질 것 같아 걱정됩니다. 제가 비교적 젊은 나이에 팀장을 달아서 지시를 듣지 않는 걸까요?
F의 창의성을 존중하면서도 팀의 조화를 유지하고 싶고.. F를 통제하려고 하면 그의 능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할 것 같고.. 그대로 두자니 팀 전체가 혼란스러워질 것 같아 고민입니다. 어떻게 하면 F의 창의성을 존중하면서도 팀의 조화를 유지할 수 있을까요?
행동의 심리학적 배경
이 행동은 자율성 욕구(Need for Autonomy)와 반항적 성향(Rebelliousness)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지시를 따르지 않는 직원들은 자율성을 중시하며, 상사의 지시를 따르는 것보다는 자신만의 방식으로 일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이는 상사와의 신뢰 부족에서 기인할 수도 있습니다.
-자율성 욕구: Deci와 Ryan의 자기 결정성 이론에 따르면, F는 강한 자율성 욕구를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결정하고 싶어 하는 욕구를 의미합니다.
-창의성과 통제: Amabile의 창의성 연구에 따르면, 과도한 통제는 창의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F의 행동은 자신의 창의성을 발휘하고자 하는 욕구의 표현일 수 있습니다.
-성취동기: McClelland의 성취동기 이론에 의하면, F는 높은 성취 욕구를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이는 그가 자신만의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동기가 될 수 있습니다.
-인지적 유연성: Spiro의 인지적 유연성 이론에 따르면, F는 높은 인지적 유연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조직 문화와의 불일치: Schein의 조직문화 이론에 따르면, F의 행동은 기존 조직 문화와의 불일치로 인한 갈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감정 관리 솔루션
지시를 따르지 않는 직원과의 소통에서는 명확한 기대치 설정과 피드백이 중요합니다. 지시사항을 구체적으로 전달하고, 직원이 자신의 방식을 설명할 기회를 제공하는 대화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지시사항이 왜 중요한지 설명하여 직원의 동의를 얻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이번엔 E님의 감정 관리를 위한 행동 솔루션을 제시해 볼게요.
-열린 대화: F와 1:1 미팅을 통해 서로의 관점을 이해하고, 팀의 목표와 F의 창의성을 조화롭게 발휘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해 보세요.
-자율성과 책임의 균형: F에게 더 많은 자율성을 부여하되, 그에 따른 책임도 함께 부여하세요. 예를 들어, "이 프로젝트는 네가 주도적으로 진행해 보면 어떨까? 단, 결과에 대한 책임도 함께 져야 해."라고 말해보세요.
-명확한 기대치 설정: 프로젝트의 목표와 기대치를 명확히 설정하고, 그 안에서 F가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보세요.
-팀 워크숍 개최: 팀 전체가 참여하는 워크숍을 통해 서로의 업무 스타일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협업 방식을 함께 만들어 가보세요.
-멘토링 시스템: F의 창의성을 인정하면서도 조직의 방식을 이해시킬 수 있는 선배 직원과의 멘토링을 주선해 보세요.
-자기 성찰: 매일 저녁 10분간 일기를 쓰며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돌아보세요. 이를 통해 스트레스의 근원을 파악하고 자신의 관리 스타일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긍정적 자기 대화: 매일 아침 거울을 보며 "나는 좋은 리더야", "오늘도 최선을 다할 거야"와 같은 긍정적인 말을 스스로에게 해주세요.
그리고 명상과 호흡 운동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멘토링 또는 코칭을 통해서 새로운 관점과 해결책을 찾아보세요.
미술 작품 소개
구스타브 모로 '오르페우스' (Orpheus, 1865)
이 작품은 고대 그리스 신화의 오르페우스를 소재로 한 상징주의 그림으로, 그의 죽음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림에서는 한 여성이 오르페우스의 잘린 머리를 들고 있는데, 이는 예술적 열망과 고통의 대조를 나타냅니다. 모로는 이 작품을 통해 예술가가 겪는 창조적 고뇌와 희생을 상징적으로 묘사했습니다. 여성의 평온한 표정과 오르페우스의 고통스러운 모습은 창의성과 통제 사이의 긴장을 시각적으로 나타냅니다.
F는 팀장의 지시를 따르지 않고 자신의 방식으로 일을 처리하려고 합니다. 이는 마치 예술가 오르페우스가 자신의 음악적 영혼을 탐구하며 위험을 감수하는 모습과도 비슷합니다. 그러나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과 고통은 F의 창의성을 관리하려는 E의 딜레마를 반영합니다.
모로의 작품에서 오르페우스의 머리를 든 여성이 그의 희생을 차분히 받아들이는 모습은, E가 F의 창의성을 억압하기보다는 이를 받아들이고 조화를 이루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E는 F의 자율성을 무조건적으로 제한하기보다는, 이를 팀의 목표와 일치시키는 방식을 찾아야 합니다. 팀장이 지닌 리더십과 팀의 조화는 오르페우스가 남긴 음악처럼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입니다.
구스타브 쿠르베 '화가의 아틀리에' (The Artist's Studio, 1855)
구스타브 쿠르베의 '화가의 아틀리에'는 부제 '실제적 알레고리'로 알려져 있으며, 작가 자신의 예술적 삶과 창조 과정을 묘사합니다. 작품의 중앙에는 캔버스 앞에서 작업하는 쿠르베 자신이 있고, 그의 주변은 다양한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왼쪽에는 사회적 현실을 상징하는 농민, 노동자, 가난한 사람들과 같은 "민중"이 있으며, 오른쪽에는 쿠르베의 후원자, 예술적 동료, 그리고 그의 작품을 감상하는 상류층 인물들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대조적인 구도는 예술적 창작이 개인적인 작업과 사회적 맥락 사이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쿠르베는 이 그림을 통해 자신의 독립성과 현실주의 철학을 강조하면서도, 예술이 사회와 맺는 관계를 탐구합니다. 작품은 예술가의 자율성, 창의성, 그리고 사회적 책임 사이의 균형을 상징적으로 표현합니다.
이 작품은 E와 F가 직면한 딜레마, 즉 창의성과 통제 사이에서 균형을 찾는 문제와 깊은 연관성을 가집니다.
F는 자신의 창의성을 발휘하고자 하는 "화가"의 역할을 맡고 있으며, 팀이라는 "아틀리에" 안에서 자신의 독창성을 보호하려 합니다. 반면, E는 팀 전체의 조화를 유지해야 하는 "큐레이터"나 "감독"과 같은 역할에 있습니다.
쿠르베의 작품에서 왼쪽(사회적 현실)과 오른쪽(예술적 이상)의 대조는 E와 F 간의 갈등 구조를 시사합니다. E는 팀워크와 프로젝트 일정이라는 현실적 요구를 충족해야 하며, F는 자신의 창의적 이상을 실현하려는 욕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두 가치가 충돌하지 않고 서로를 보완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특히 작품의 중심에 위치한 쿠르베처럼, F는 자신의 위치와 역할이 팀 전체에서 얼마나 중요한지 인식해야 합니다. E는 쿠르베가 자신의 주변 인물들과 관계를 맺는 방식에서 영감을 받아, F의 창의적 자유를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팀의 목표와 조화를 이루도록 돕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화가의 아틀리에'는 개인의 창의성과 집단의 조화가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에 대한 상징적 메시지를 전달하며, 팀 리더와 창의적인 직원 사이의 균형 잡힌 협력 모델을 제시합니다.
그럼 다음 챕터에서 또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