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르웬 Nov 23. 2022

나 몰래 둘이서 작당하는 거 다 알아

마마, 그것은 천부당만부당한 말씀이옵니다

데자뷔 현상이라고 해야 할지 대물림의 관점으로 봐야 할지 모를 일이다. 어머니께선 한평생 아버지 때문에 마음고생을 하셨다. 겉으로 보기엔 성실하고 가정적인 것으로 보이는 아버지께선 적어도 밖에서만큼은 그렇게 좋은 사람일 수 없었다. 생전 큰소리 한 번 치신 적도 없고 열심히 일만 하셨던 아버지였지만 집에 들어오면 전혀 다른 사람이 되셨고 그런 성향은 형님 두 분이 독립을 한 후 더 심해지셨다.


유독 어머니 앞에서만 왕 노릇을 하시던 아버지를 묵묵히 지켜보다가 도저히 아니다 싶은 생각이 들 때마다 중간중간 개입을 하고 그건 아버지가 잘못 생각하신 거라 말씀드리는 나를 향해 아버지께선 항상 어머니와 나 사이에 모종의 거래가 있을 거라 의심하셨다. 지금도 안부 전화를 드릴 때면 어머니께선 어김없이 "네가 딸이었으면 얼마나 좋았겠노. 이게 다 내 팔자지. 그래도 딸 같은 아들이라 네 덕분에 그나마 내가 지금까지 숨 쉬고 살고 있다."라는 말씀을 하신다.


아무도 내 말을 믿어주지 않는 괴로움, 한 가지 문제에 직면해 홀로 투쟁한다는 느낌이 드는 외로움은 어떤 말로도 표현할 수 없을 만큼 힘든 것이다. 세월이 많이 흘러 지금의 아내를 만나고서야 어렴풋이 느끼게 되었지만 나는 어머니의 마음고생이 얼마나 컸을지 그 당시에는 온전히 알지 못했다. 답답한 아버지를 직접 두 눈으로 보고도 말이다.


아내는 내 아버지처럼 나를 제외한 모든 사람들에게 친절한 사람이다. 가진 것 이상으로 베풀기도 잘하고 정작 해야 할 집안일을 미루는 한이 있어도 남의 일을 자기 일처럼 열심히 하는 사람이다. 그러다 보니 주변 사람들 대다수가 아내를 좋아하는 반면 까칠하기 짝이 없는 나를 두고는 어쩌다가 여자 잘 만나 호강하는 사람 취급을 하곤 했다.


사실, 처음 얼마 동안은 그저 운명이려니 생각하고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살았다. 나 하나만 입 다물고 살면 모든 게 평화로울 거라 생각했고 굳이 남에게 우리 사이의 문제에 관해 떠벌릴 마음도 없었다. 나로서는 그게 최선이라 판단했다. 하지만 사람들이 무슨 말을 해도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려들을 수 있으리란 기대는 보기 좋게 빗나갔고 상황은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심각하게 흘러갔다. 


오랜 시간 나를 향해 똑같이 반복되는 말들은 사라지지 않고 내 마음속에 고스란히 쌓였고 뒤늦게 그것을 깨달았을 때엔 이미 내 마음이 많이 병든 후였다. 그 와중에도 남의 말하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전혀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사모님이 너무 미인이세요." 

"안과에 가보셔야 할 것 같아요."(마음의 소리)


"사장님은 복도 많지. 어디서 그런 똑 부러지고 야무진 여자를 만났을꼬."

"뭘 보고 그런 판단을 하셨을까? 소설도 적당히 쓰셔야지."(마음의 소리)


"사모님이 집에서 잘 해주시죠? 내가 딱 보면 알지. 많이 행복하시겠어요."

"그게 그렇게 부러우면 데리고 가서 일주일만이라도 같이 살아보시든가." (마음의 소리)


때로는 미소와 함께 침묵으로, 또 때로는 겉으로 보는 것과는 다르다고 항변도 해봤지만 그때마다 마치 올가미에 걸린 한 마리 짐승이 살기 위해 발버둥 치다가 더 깊은 상처를 입는 것처럼 마음의 상처는 더더욱 깊어갔다. 그 누구에게도 속 시원하게 말하지 못해 마음의 병을 앓는 나와는 달리 아내는 그럴수록 나를 더 유별난 인간 취급을 했다.


일방적인 양상으로 흘러가던 우리 부부의 전쟁에 반전이 일어난 것은 딸아이가 중학교에 입학하고 어느 정도 사리분별이 가능해진 이후부터였다. 나를 능가하는 팩트 폭격 기질을 가진 딸아이가 아내의 얼토당토않은 언행에 사사건건 지적을 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전세는 급격히 내 쪽으로 기울기 시작했다. 천군만마를 얻은 기분이 이런 것인지 딸아이의 존재는 그동안 상처받은 내 마음에 최고의 치료제가 되어 주었다. 


내가 하는 말은 코웃음 치며 들은 척 만 척하며 우기기만 하던 아내가 수시로 가해지는 딸아이의 맹공격에 별다른 대꾸를 하지 못하며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했던 것도 그 무렵이었다. 가끔씩 예전 버릇을 고치지 못하고 내가 자신을 이상하게 몰고 가서 아이가 그대로 배운 거라며 화살을 내게로 돌리는 최후의 발악을 하지만 그때마다 어김없이 딸아이는 한마디 말로 논란을 잠재운다.


"아, 시끄러워. 내가 보기엔 아빠가 별난 구석이 있긴 하지만 엄마가 상식 밖의 말과 행동을 하는 것만큼은 확실해."


그 말을 들을 때면 오래전 부모님 댁에서 같이 살던 그 시절 내가 했던 말이 떠오른다.

"어머니가 유독 별나기도 하시지만 이번만큼은 아버지가 잘못하신 게 맞아요. 그러니 두 분 모두 조금씩만 양보하세요."


다시 말하지만 이런 걸 두고 데자뷔라고 해야 하는 것인지 대물림의 관점으로 봐야 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딸아이도 보는 눈이 있고 스스로 판단하는 능력도 있는데 아내는 왜 그걸 모르고 배후 조종설을 주장하는지, 어쩜 그리도 그 옛날 내 아버지가 했던 그 행동을 그대로 빼다 박아 하는 것인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한 가지 분명하게 밝히고 싶은 것은 내가 딸아이를 배후에서 조종했다든가 세뇌 교육을 시킨 적은 단 한 번도 없다는 사실이다. 아내 몰래 딸아이에게 용돈을 찔러 넣어 주긴 하지만.

















매거진의 이전글 어마마마, 정녕 아들을 버리시나이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