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inZhu Oct 29. 2020

작가가 시청자에게 너무해

드라마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리뷰

나쁘지 않은 결말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다’가 아닌 추측의 어미를 택한 건 좀체 아쉬움이 가시지 않아서다. 드라마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얘기다. 두 주인공 채송아(박은빈)와 박준영(김민재)이 단단한 사랑을 이뤘고, 상처 받더라도 계속 꿈을 꾼다는 다짐과 함께 무대 앞으로 씩씩하게 걸어 나가는 송아의 성장을 보여줬으니 꽉 닫힌 해피 엔딩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영 속이 개운하지가 않다.


[브람스를 좋아하세요?]는 예고편부터 착했다. 복잡하게 얽힌 요즘 드라마에 피로도가 높아지던 차, 흐뭇한 미소로 편안하게 볼 수 있을 듯해서 반가웠다. 그리고 정말 풋풋한 청춘을 착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이 가을과 어울리는 따뜻한 색감, 귀 호강시키는 클래식 음악도 좋았지만 현실과 맞닿아 있어 공감이 됐다.


송아와 준영이는 속전속결로 이어지지 않는다. 동갑이라며 주변에서 친구 하라고 분위기를 몰아줘도 두 사람은 조심스럽다. 어느 한쪽이 까불거리다 예상치 못한 스킨십이 일어나는 흔한 에피소드도 없다. 대신 둘 사이 감정이 생기는 순간들은 상대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말과 행동에서 온다. 꼴찌 또는 연주자를 돕는 사람 정도로만 취급받던 중에서 자신을 바이올린 연주자로 대하는 준영에게 송아의 마음은 움직이고, 늘 외부의 평가가 중요했던 준영에게 연주에 대한 준영 스스로의 마음을 물어봐 준 송아는 특별해진다. 이렇듯 아주 가볍지도 아주 절절하지도 않지만 나는 주인공들과 함께 심장이 찌릿했다. 억지스러운 우연이 만든 몇 번의 심쿵 포인트로 불꽃이 튀는 것보다 훨씬 자연스럽지 않나.


갈등이 일어나는 지점도 납득이 갔다. 브람스, 슈만, 클라라의 관계가 작품의 모티프였으니 클라라 역할이었던 정경(박지현)이 준영에게 사랑과 음악, 모두에서 지독한 걸림이 될 줄은 진즉 예측이 되었었다. 재능은 있으나 피아노가 행복하지 않은 준영과 바이올린을 너무 사랑하나 재능이 없는 송아 사이가 순탄하면 그게 오히려 억지였을 테니 이 또한 안타깝지만 이해가 되었다.


그놈의 정경, 그놈의 재능


다시 말하지만 현실을 잘 반영해서 더 공감이 됐었다. 중반까지는 말이다. 그런데 작품이 끝까지 놓지 않았던 이 현실성이 후반으로 넘어가면서부터는 나를 괴롭게 했다. 12회쯤인가, 티브이를 보다 무심코 혼잣말이 튀어나왔었다. “작가가 주인공들에게 너무하네.” 박 과장(최대훈)을 비롯한 주변인들의 막말은 그렇다 치고서도, 이교수(백지원)가 무려 대전까지 중고 브로치 직거래 심부름을 시킬 때 갑질 최고치를 찍었다고 생각했는데, 헉, 송아는 체임버 연주단원이 아니라니, 뒷목을 잡을 뻔했다. 준영에게도 가혹했다. 피아니스트 집에 피아노가 없는 것은 극적인 설정이라 해도 그 집, 피아노만 없는 게 아니라 답이 없다. 그 애비 낯짝 한 번 궁금하다 싶었는데 결국 어느 날엔가는 정경이가 그 애비한테 돈을 보냈다며 준영이를 잡는 장면까지 나와서 장르가 막장이었나 했다. 주인공들의 사정이 이러하니 어느 회차의 제목처럼 두 사람은 ‘다 카포 : 처음으로 되돌아가서’를 반복했다. 지극히 현실적이었다. 청춘의 시기에 일과 사랑이 어디 쉬이 풀리던가, 제자리를 돌며 한없이 지지부진한 게 사실이다. 맞다, 맞고 또 맞는데, 그런데, 답답했다. 언제나 속 시원한 사이다를 안길지 애가 타기 시작했다.


저 빌런들 그냥 두나요?


그러니 아쉬움이 남는 게다. 주요 인물들 중 한둘은 치고 나가는 한 방을 보여줄 수도 있지 않았을까. 경후 재단 인턴을 야무지게 해냈던 송아가 공연 기획자로, 가르치는 데 재능을 보인 정경이는 실기 강사로, 반면 수석 졸업에 빛나는 현호(김성철)는 교수가 아닌 연주자를 택한다. 각자의 길을 아주 잘 찾아 간 셈인데, 거기서 한 발만 더, 기획자 송아의 똑 부러지는 장면 하나쯤, 이왕이면 이교수를 멕이는 에피소드였으면 좋았겠다, 강사가 아닌 교수 이정경으로 송교수(길해연)를 맞닥뜨리는 건 오버였을까. 그러니까 이 드라마는 빌런들 응징조차 없다. 사실 가장 바란 건 준영이의 1등이었다. 그가 유교수(주석태)를 떠나 자기 마음대로 연주하여 오히려 그 자리에 오르기를 기대했다. 그래서 자신의 연주에 확신을 갖기를, 진심으로 재능을 축복으로 여길 수 있기를 바랐다. 그러나 음대 출신이라는 작가님은 차마 거짓을 쓸 수는 없으셨나 보다. 어떤 판타지도 없었다. 가장 현실적인 청춘들의 사랑과 성장을 그린 작품에서 왜 판타지 운운하냐고 한다면, 드라마의 역할이란 자고로 대리 만족, 그러니까 나는 말이지, 현실 다큐 말고 ‘드라마’가 보고 싶었단 말이다. 아무리 생각해도 이렇게 정직한 결말은, 작가가 시청자에게 너무했다.


매거진의 이전글 역사를 판타지로, 이렇게나 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