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쉬타카 Nov 17. 2020

91. 근원적 질문

요즘 종종 다시 물어본다

월요일은 일주일에 단 하루 있는 (와, 내가 능동적 주 6일 근무자라니) 정기휴일이다. 정기휴일이라도 일주일에 딱 하루이다 보니 쉰다기보다는 이것저것 업무를 위한 준비를 하는 것으로 보내는 편인데, 요새는 그나마도 주말 동안 들어온 온라인 주문을 포장하는 일로 오히려 월요일이 더 바쁘다. 특히 최근엔 화요일 하루를 더 쉬어야 되지 않을까 정도로 월요일 정말(정말로) 바쁘다.


그 많은 온라인 주문의 대부분은 LP(vinyl)다. 우리는 다른 바이닐 샵들에 비해 사운드트랙을 위주로 판매하는 편이고 다른 인기 팝이나 가요는 아주 제한적으로 내가 좋아하는 앨범과 수급할 수 있는 제품에 한해서만 판매하고 있는 걸 감안한다면 제법 많은 주문량이다. 그렇게 업무의 많은 시간을 바이닐을 포장하는 데에 할애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그런 생각을 하게 되었다.


'OST 말고 인기 있는 팝이나 가요 앨범들도 주력으로 팔면 어떨까?'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이 팔 수 있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안 할 수가 없는 것이, 사운드트랙 위주(90%)에 내가 좋아하는 사운드트랙 외 음반을(10%) 판매하는 데에도 이 정도 수준이라면, 훨씬 더 다양한 고객들을 상대할 수 있고 사운드트랙에 비해 더 큰 시장인 다른 인기 장르들을 모두 커버한다면 매출이 늘 수밖에 없지 않을까 싶기 때문이다. 예전부터 음악을 장르로 구분하는 걸 별로 안 좋아하기는 했지만 굳이 나누자면 대 장르로만 따져봐도 현재 10분의 1 정도만 취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만약 나머지 10분의 9를 취급한다면 재고가 늘어나는 걸 감안하더라도 매출이 늘 수 밖에는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생각은 다시 근원적 질문으로 돌아온다.


'그렇게 모든 장르를 다 판매하면 마이페이보릿을 시네마 스토어라고 부를 수 있을까?'


이 작은 브랜드를 유지할 수 있는 건 그나마 영화와 관련된 것들만 판매한다는 일종의 캐릭터가 있기 때문인데, 이 캐릭터가 흐려지게 된다면 결국 브랜드 자체가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은 평소 가장 신중하게 생각하는 문제다. 우리 가게에는 영화 외적으로도 내가 좋아하는 영화 외 음반들과 뮤지션들의 굿즈들을 소량 취급하고 있는데, 그때마다 매번 브랜드의 성격이 흔들리지 않는 선을 지키려고 예민하게 관리 중이다. 그런데 앞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점점 더 바이닐의 판매가 늘어나면서 내 맘 속 이런 유혹이 점점 더 강력해진다. 좋은 게 좋은 거라고 잘 팔 수 있는 걸 굳이 팔지 않는 것처럼 바보 같은 일이 어디 있냐고 할 수도 있는데, 차라리 새로운 브랜드 (혹은 서브 브랜드)를 내는 한이 있어도 이 선은 끝까지 지켜내고 싶다. 


오늘도 동종의 다른 업체들을 모니터링하다가 어김없이 이런 유혹에 살짝 흔들렸다. 우린 취급하지 않는 (내가 좋아하지 않거나 잘 모르는) 앨범이지만 판매량이 많거나 없어서 못 팔 정도로 판매되는 앨범들을 보며, 우리도 그냥 팔아볼까 싶은 유혹. 

안돼. 안돼. 차라리 마이페이보릿 바이닐 샵을 따로 낼거야!


매거진의 이전글 90.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