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음슥슥 Apr 14. 2024

튼튼이 효과

남편이자 아빠

주말을 보내고 서울로 올라가는 시간은 저녁 7시쯤이다. 주말 마지막 식사는 옆지기와 둘만의 시간일 경우가 많다. 이야기를 도란도란 나누고, 한 주의 이별(?)을 앞두고 아쉬움을 표현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이번주는 그렇게 흘러가지 않았다. 난 부엌 케비넷 속에 있던 라면을 하나 골라 끓였다. 하나면 충분했다. 나만의 식사였다. 옆지기는 TV가 있는 방에 누워 있었다.


입덧이 부쩍 심해진 옆지기였다. 어떤 것이든 먹으면 다 게워냈다. 물 한 모금까지도 게워냈으며, 지난 이틀간 새벽에도 화장실에서 홀로 꽤나 고군분투하는 소리를 들었다. 이 정도로 힘들어한 적은 없었기에… 걱정이 커졌다.


라면을 먹으며 옆지기가 있는 방을 쳐다봤다. 내부가 보이지 않아 옆지기의 상태는 모르지만, TV 화면이 바뀌는 빛 반사만이 보였다. TV 작은 소리는 뭔가 더 힘없이 느껴졌다.


서울로 올라갈 준비를 대충 마치고, 병원에서 받아온 임산부 일기장을 펼쳤다. 처음으로 튼튼이에게 글을 남겼다.


‘엄마 조금만 덜 힘들게 해줬음 좋겠어 튼튼아. 엄마 힘들어 보여. 조금만 봐주라.’ 훗날 이 글이 남아 추억이 될 거라고 생각하니 기분이 이상했다.


출발 전 옆지기의 얼굴을 바라보자 눈물이 흘렀다. 보이지 않으려 했는데 참을 수 없이 흘렀다.


미안했다. 뭔가 해결해 줄 수 없는 남편이라는 존재가 너무 무기력했다. 그리고 힘들어하는 옆지기를 두고 집을 나와야 하는 자체가  참을 수 없을 정도로 아쉬웠다.


옆지기는 흐르는 내 눈물을 본인의 소매자락으로 훔쳤다. 찰나의 순간에 연신 괜찮다고 내 맘을 달래주는 이 사람은 분명 나보다 성숙한 사람이라 느꼈다. 더 흘리는 눈물은 옆지기를 더 힘들게 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갑자기 들었다. 입술을 앙 다물고, 옆지기의 머리칼을 쓸어 넘겨주었다.


“도와줄 수 없어서 미안해. 그리고 고마워요.”

“괜찮아. 내일 병원 가서 입덧 약도 다시 받고, 링거도 맞으려고.”


아직 덜 울었나 보다. 글을 쓰는 지금도 눈물이 흐른다. 기차를 기다리는 사람이 꽤나 많은데 말이다. 훌쩍인다. 튼튼이 효과가 꽤나 강력한 주말이다.

이전 18화 별게 아닌 일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