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관종별곡 Jul 02. 2019

관종들의 별별 곡 리뷰 (2019. 6.) 下

로시, 어반 자카파, 슈퍼밴드 외


로시 (Rothy) - 'BEE'



  최크롬 : 트렌드를 적극 반영하는 전략이 어떤 경우에는 좋은 처방이 아닐 수도 있다. 'Stars'에서는 매력적인 발라드, '버닝 (Burning)'에서는 시원시원한 뭄바톤으로 팔방미인 싱어송라이터의 모습을 꾀했던 로시가 이번에는 힙합이라는 파격적인 카드를 꺼내들었다. 하지만 준수한 음악에 비해 퍼포먼스가 어쩐지 만족스럽지 않다. 그녀는 특유의 음색과 아티스트적인 면모로 차세대 솔로 여가수로서의 자질을 충분히 갖고 있지만, 아쉽게도 독보적인 이미지 형성은 미흡한 듯 보인다. '버닝'에서도 애매했던 부분이 'BEE'에서도 재차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앳된 비주얼이 카리스마와 댄스 가수로서의 장악력을 받쳐주지 못한다. 음악 자체의 퀄리티뿐만 아니라 그것을 소화하는 이미지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제대로 보여주는 예시랄까. 로시는 이번 곡에서 수많은 벌들이 꼬이는 꽃을 연기하고 있는데, 차갑고 시크한 이미지의 그녀는 겨울에 피는 동백꽃에 가까운 것 같다. 아, 겨울에는 벌이 없다.




어반 자카파 (Urban Zakapa) - '서울 밤 (Feat. 빈지노)'



  호우 : 다행이다. 어반자카파의 굴레에서 벗어난 노래가 드디어 나왔다. ‘목요일 밤’에 이어 또 하나의 밤, ‘서울 밤’을 다시 한 번 그려냈다 이들의 R&B의 감성을 충족시켜줄 시티팝을 구현했으며, 빈지노가 피처링에 이름을 올리며, 이들의 음악에 힘을 보탰다. 풍족한 감성을 벗어나 한적함을 그리는 ‘서울’이라는 익숙함과 ‘시티팝’이라는 장르가 보태지면서, 이지리스닝을 가능하게 하지만, 그 이상을 기대하는 것 무리일 듯하다. 노랫말에 비치는 평면적인 서울이 아쉽지만, 한편으로 끊임없는 자가동력에 박수를 보낸다.




I’ll(아일), 홍진호, 김형우, 하현상 – 'Creep' 

(JTBC 슈퍼밴드 Episode 10)



  무민 : 누군가는 ‘감히 건드려서는 안 될 곡을 건드렸다’고 하지만, 이 세상에 ‘건드려서는 안 될 음악’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본다. 굳이 말하자면 ‘건드려서 좋은 결과를 내기 힘든’ 음악은 있을 수 있고, 라디오헤드의 'Creep'은 그 범주 안에 속할 것이다. 흔히 ‘클래식’으로 불리는 명곡들이 시간의 경계를 넘어 생명력을 가질 수 있는 원동력은 각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그것을 꾸준히 ‘건드리’는 데서 나온다. 이 커버는 원곡을 꽤 잘 건드렸고, 그래서인지 원곡의 위대함을 기준으로 커버곡의 가치를 한정 짓는 듯한 심사평이 매우 아쉬웠다. 원곡이 자신의 초라함을 인정하고 체념한 화자의 광기 어린 울부짖음을 표현했다면 이 커버는 그 초라함을 인정하고 싶지 않은 마음에 끝내 오열하고 마는 듯하다. 음악 경연에서 흔히 쓰이는 기승전결 구조에 지나치게 충실하여 곡 전개가 다소 예상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콘트라베이스와 첼로를 통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유약한 감정선은 익숙함 속 신선함으로 다가온다. 각자에게 최적인 음역대를 충실히 소화하는 두 보컬의 주고받기 역시 편안하게 들려온다.



Ed Sheeran, Justin Bieber – 'I Don’t Care'



  호우 : 사랑에 대한 찬가만큼 흔하지만, 질리지 않는 게 또 있을까. 귓가를 씻는 두 남자의 목소리는 그들의 최근의 일들과 맞물려 행복한 시너지를 만든다. 비록, 아메리카노처럼 보편적이고, 흔한 가사는 꽤나 밋밋하다. 이들의 이름을 더한 값과 비교했을 때 꽤 많은 잔돈이 남는다. 하지만 이 훈훈한 사랑과 비교하면 이름값이 어떻고, 잔돈은 어떠한가. 두 남성의 산뜻한 보컬 위에 잔뜩 얹힌 트로피칼 사운드는 자주 들어도 기분 좋을 사운드를 만들어낸다. 훗날 살펴보아도, 그땐 그랬었지 하는 이야기가 될 듯하다.



Shawn Mendes, Camila Cabello - 'Señorita'



  최크롬 : 숀 멘데스와 카밀라의 두 번째 인연이다. ‘카밀라가 또 라틴팝’인가 싶겠지만 이는 드문드문 싱글 협업만 하던 그녀가 곧 컴백할 것이라는 징조에 더 가깝다. 곡은 정직하게 이슈메이킹에 충실하다. 매력적인 팝스타 둘, 그리고 끈적한 가사와 뮤직비디오에 눈이 가지 않을 수 없으니까 말이다. 그럼에도 곡 자체가 가진 흡인력은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다. 둘이 합을 주고받는 훅은 그 자체로도 충분히 킬링파트이며, 이벤트성 싱글 이상의 몫을 톡톡히 하고 있다. 그리고 이미 팬들은 둘의 실제 관계를 점쳐보기에 여념이 없으니, 애초에 상기 목적을 달성한 셈이다.



Taylor Swift – 'You Need To Calm Down'



  무민 : 음악적인 신선함 없이도 여전히 굳건한 ‘팝’ 아티스트이며 이미지메이킹의 ‘귀재’임을 증명해냈다. 직관적인 메타포를 포함하는 특유의 작법, 전작 <Reputation>에 수록되었어도 전혀 어색하지 않았을 곡 구성과 사운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녀의 신곡은 화제의 중심에 서있다 못해 불타오르고 있다. 이는 비단 오랜 시간 앙숙이었던 ‘케이티 페리’의 뮤직비디오 출연을 비롯한 ‘가십성’ 화젯거리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공개적으로 LGBTQ+(Lesbian, Gay, Bisexual, Transgender. Queer and etc)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듯한 가사와 비디오는 ‘Pride Month’로도 불리는 발매 시기(6월)와도 완벽히 맞아떨어지며, 본인의 커리어에 있어 또 하나의 아이덴티티를 정립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모두의 권리’를 위해 목소리를 내고, ‘우리 모두 왕관을 가지고 있다’(We all got crowns)며 끊임없이 여가수들에 서열을 매기며 ‘팝 퀸’자리를 두고 논쟁을 벌이는(Comparing all the girls) 누리꾼들의 행태를 비판하는 테일러는 어딘가 낯설다. 끊임없이 타 아티스트들과 소모전을 벌이고 이를 음악으로 승화시킨 ‘디스곡’들로 차트를 거머쥐었던 지난날의 모습들을 뒤로하고 한 층 여유로워진 Queen의 자태를 지향하고 있다. 이는 폭발적인 북미 인기에 비해 다소 부진했던 ‘월드와이드 성적을 고려한 움직임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전 세계적 ‘팝 퀸’으로 불리는 여가수들이 흔히 내세우는 ‘인도주의적 메시지’를 그대로 따라가며 팬층을 더 견고하게 만드는 방식을 택했다는 주장이다. 이렇게 목적성이 분명한(혹은 분명한 것처럼 보이는) 노선 변화가 대중들의 거부감을 일으킬지, 성공적으로 또 한 명의 ‘Old Taylor’를 기억 저편으로 보낼 것인지, 아직은 알 수 없지만 확실한 것 하나는 이러한 이슈가 곧 발매될 풀 앨범 <Lovers>에 대한 집중도를 극대화했다는 점이다. 그녀가 Pop Music 안에 계속 존재하는 한, 그 행보를 지켜보는 이들이 ‘Calm Down’하는 것은 매우 어려워 보인다.



관종별곡 유튜브


최크롬 블로그

호우 블로그

무민 블로그


매거진의 이전글 관종들의 별별 곡 리뷰 (2019. 6.) 上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