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영웅 Sep 16. 2023

영웅의 탄생

아버지의 영면 10주기에 떠오른 기억

기일이다. 그러고보니 아버지가 돌아가신 지 벌써 10년이 지났다. 아침부터 기분이 쳐지는 것은 그냥 새벽부터 내린 비 탓일 게다. 그가 남긴 것은 그렇게 많지 않기에, 그 흔한 추억조차 별로 없기에. 그러나 가장 부정할 수 없는 하나를 남겼다. 바로 이름, 평생을 시달리게 만든 나의 부담스러운 그 이름이다.

나는 원래 ‘효석’으로 태어날 예정이었다. 아버지는 아들의 이름이 탐탁치 않았다. 서른 일곱, 당시로선 얼추 늦은 나이에 본 처음이자 마지막이 될 지도 모르는(그리고 그리 되었다) 자식의 이름을 현석, 원석, 영석, 민석, 동석, 유석, 훈석, 기석이라는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 털털거리며 흘러가는 듯 짓고 싶지는 않았나보다. 그렇다고 그렇게 오래 고민한 것도 아니랜다. 출생신고를 하러 가는 도중에 조수석에 놓인 영웅문*을 보고 즉흥적으로 지었단다.


게다가 엎친 데 덮친 격, 설상가상, 거익태산, 전호후랑, 병상첨병이라고 성씨는 신. 성도 이름도 하나같이 과하다. 갓(god)과 히어로(hero)를 한데 부어 놓으니 콜라 위에 뿌린 초코 시럽 마냥 혀를 오그라들게 만든다. 그나마 뉴히어로(new hero)로 불리는 게 덜 힘들게 느껴졌다. 그.나.마.


좋은 뜻을 가진 이름인데 뭐가 괴롭냐고? 만약 그대가 비아냥과 기대가 뒤섞인 채 무엇이든 잘 해야 하고, 바르게 살아야 한다는 압박감에 평생 시달렸다면? “야, 영웅답게 행동해야지. 이런 걸로 삐져?”는 내 사춘기 시절 발작 버튼 중 하나였다.


그렇다보니 어릴 때 나의 정체성과 소속감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던 사촌들 사이에서 나만 미운 오리 새끼였다. 백조가 되는 결말 따윈 없다. 그저 그 많은 주석(錫)들 사이에 낀 불순물 같았다. 그게 싫어서 그들에게 영웅이 아닌 효석으로 불리길 원했고, 결국 지금도 그들은 나를 효석이라 부른다. (이로 인한 오해가 빚은 해프닝도 한 두개가 아니어서 대학동기인 사촌형은 이제 그냥 영웅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제야 고백하는데, 나는 진짜 영웅 대신 효석으로 살고 싶었다. 그 이름이 내게 더 잘 어울리고 편안하기에. 그저 신논현역 교보문고 앞 횡단보도에 쏟아지듯 건너는 사람들 속에 묻힌 채 그렇게 길 건너는 사람이고 싶었다. 이런 상황이다보니 홍보실에서 근무할 때는 퇴근하고 집에 돌아와 벨트를 풀면 접힌 살보다 부담감이 더 빨리 흘러내렸다. 태생이 I인데, 영웅이란 이름 때문에 등 떠밀린 채 사회적 자아는 E, 그것도 슈퍼 E가 되어 있었다.

‘효석이’는 여전히 ‘영웅이’에게 눌린 채 살고 있다. 효석의 나태함과 치졸함, 또는 변태적 기질이나 세속적 욕망 같은 것들은 영웅을 만나러 온 사람들로 인해 불빛을 빼앗긴 채 계속 자리를 못 잡고 있다. 효석은 영웅에게 말한다.


“야, 나 진짜로 나태하고 치졸한 변태(pervert)로 살고 싶어. 하기 싫은 건 싫다고 말하면서. 근데 사람들한테 이제 와서 효석이로 불리는 건 억울해. 그래서 말이야, 이렇게 기억됐으면 좋겠어. 변태 같은 영웅으로, 내가 아닌 너로 말이야. 그리고 이것이 나의 변태(transformation)의 시작일 될거야.”


* 홍콩의 소설가 김용의 3부작 무협 소설 사조영웅전, 신조협려, 의천도룡기를 일컫는 명칭. 1986년에 고려원에서 '영웅문'이라는 이름으로 번역 출간되다가, 한국이 베른 협약에 가입한 2000년대에는 김영사가 정식 라이센스 번역판을 출간하였다.

매거진의 이전글 토로, 징징징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