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책인사 Oct 09. 2019

공감이란.

'당신이 옮다'를 읽고.

정신건강의학과 정혜신 의사의 '당신이 옳다'를 읽었다.


힘내라는 한 마디보다 더 큰 기운을 불어넣어주는 공감.

그 공감이라는 위대한 것에 대한 저자의 이야기를 살펴보자.

[당신이 옳다_정혜신 저, 해냄 출판사]


1) 사람은 자기에게 공감해 주는 사람에게 반드시 반응한다. 사람은 본래 그런 존재다.


2) 심리적 CPR이란 결국 그의 '나'가 위치한 그곳을 정확히 찾아서 그 위에 장대비처럼 '공감'을 퍼붓는 일이다.

사람을 구하는 힘의 근원은 정확한 공감이다.


3) 공감의 힘은 세다. 강한 위력을 지녔다. 쓰러진 소도 일으켜 세운다는 낙지 같은 힘을 가졌다. 공감은 돌처럼 꿈쩍 않던 사람의 마음을 움직인다.


4)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 상처 입은 마음을 치유하는 힘 중 가장 강력하고 실용적인 힘이 공감이다. 가장 빠르고 정확하고 효율적이다.


5) 공감은 누군가의 불어난 재산, 올라간 직급, 새로 딴 학위나 상장처럼 그의 외형적 변화에 대한 인정이나 언급이 아니라 그의 외형적 변화에 대한 인정이나 언급이 아니라 그것을 가능하게 한 그 사람 자체, 그의 애쓴 시간이나 마음씀에 대한 반응이다. 그럴 때 사람은 자신이 진정으로 인정받고 보상받았다는 느낌을 받는다.


6) 공감은 쓰러지는 사람을 일으켜 세울 만큼 큰 힘이 되기도 하지만 동시에 그 힘은 그가 고요하게 가만히 있어도, 특별히 무언가를 하지 않아도 자기 자신만으로도 초조하지 않을 수 있는 차돌 같은 안정감의 형태로도 나타난다. 공감의 힘은 그렇게 입체적이다.


7) 공감은 보이지 않는 고비들을 계속 넘어갈 수 있게 해주는 힘이다. 그에 기대어 자기 마음속으로 들어가 숨어 있던 자기를 만날 수 있다. 그에 기대어 자기의 전모에 대한 조망권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8) 공감은 상처를 더 드러낼 수 있게 만들고 제대로 드러난 상처 위에서 녹아드는 연고다. 상처 위에 바로 스민다. 상처 부위를 덮고 있는 겉옷 위에 뿌리는 분무제가 아니라 옷을 젖히고 상처 난 바로 그 부위 맨살에 바르는 약이다. 정확하고 집중력 있는 공감은 문제 해결의 시작부터 끝까지를 책임진다. 공감은 치유의 처음부터 끝까지를 관장하는 강력한 치유제다.


9) 공감받으면 마음에 봄이 온다. 강물이 꽁꽁 얼었을 때 얼음을 깨겠다고 망치와 못을 들고 나선다면 어리석다. 망치와 못을 들고 나서는 것은 판단, 평가, 설득 같은 계몽을 하는 일이다. 힘만 들지 온 강의 얼음을 다 깰 수는 없다. 봄이 오면 강물은 저절로 풀린다. 공감은 봄을 불러오는 일이다.


10) 공감은 똑같이 느끼는 상태가 아니라 상대가 가지는 감정이나 느낌이 그럴 수 있겠다고 기꺼이 수용되고 이해되는 상태다.


11) 공감이 그렇다. 옴짝달싹할 수 없을 것처럼 숨 막히는 고통과 상처 속에서도 공감이 몸에 배인 사람은 순식간에 공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없는 것 같던 공간이 순식간에 눈 앞에 펼쳐진다. 사람들 마음속에서 공감이 하는 일이다. 사람은 그렇게 해서 사지를 빠져나올 수 있다. 공감의 힘이다.


마지막으로, 공감하지 못한 상태에서 경계해야 할 반응에 대해서 저자는 무엇을 말했는지 살펴보자.


'충조평판'날리지 말고 공감하라.


누군가 고통과 상처, 갈등을 이야기할 때는 '충고나 조언, 평가나 판단(충조평판)'을 하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 비로소 대화가 시작된다. 충조평판은 고통에 빠진 사람의 상황에서 고통은 제거하고 상황만 인식할 때 나오는 말이다.

알지 못하는 사람이 안다고 확신하며 기어이 던지는 말은 비수일 뿐이다.

고통을 마주할 때 우리의 언어는 거기서 벼랑처럼 끊어진다. 길을 잃는다. 그 이상의 언어를 알지 못한다. 노느니 장독 깬다고 충조평판이라도 날려보는 것이다. 그러니 끼니처럼 찾아오는 일상의 갈등과 상처가 치유될 리 만무하다. 덧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모은 사람은 입은 하나이고, 귀는 두 개를 가지고 있다. 눈 또한 두 개다. 그런데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의 말을 귀 기울여 듣고, 다른 사람의 현재 상황을 두 눈으로 이해하며 바라보기에 앞서, 다른 이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주입시키는 것에만 혈안이 되어 있을까?


저자의 말처럼 '내가 타인의 경계를 마구 침범해서 마구 짓밟고 훼손하고 있으면서도 그걸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상대방을 사랑해서 그랬다는 등 진심을 몰라줘서 답답하다는 등 자신이 피해자인 줄 착각하는 경우도 흔하다. 본인이 그런 일을 했다는 사실조차 모른다. 사람 사이의 경계는 눈에 보이지 않아서다. 사람 사이의 경계를 지킬 수 있으려면 경계를 인식하는 일이 무엇보다 우선이다.'


공감은 그 사람만이 가진 환경과 울타리를 존중하고 이해해 주는 일이다.


"당신이 옳다."

온 체중을 실은 그 짧은 문장만큼 누군가를 강력하게 변화시키는 말은 세상에 또 없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