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도원세상 Mar 28. 2022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의 지혜

나무의 모양은 뿌리의 모양에 의해 결정된다고 합니다. 나무를 전문적으로 키우는 조경사들에 의하면 키가 큰 거송은 반드시 오랜 시간 더 깊은 곳까지 뿌리를 내렸고 몸체가 큰 은행나무는 반드시 더 폭넓은 뿌리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어느 경우든지 내실을 다지기 위해서는 묵묵하게 한 곳을 바라보는 마음이 중요한가 봅니다.


성공이라는 겉모습을 향해 여기저기 옮겨 다니는 사람에게 성공은 보증수표를 주지 않는 경우도 그러한 예입니다. 지금 자신이 서 있는 곳에서 비바람이 몰아치든 폭풍우가 몰아치든 한 가지 일을 꾸준히 반복하는 우직함이 우리의 삶을 근사하게 장식할 무엇인가를 선물할 것입니다. 한결 같이 부지런하다는 말은 날마다 새로워진다는 말과도 일맥상통합니다.     


일신 일일신 우일신(日新日日新又日新)은 [중국 탕왕의 반명(盤銘)]에 있는 말로서 날로 새롭게 하며 나날이 새롭게 하며 또 날로 새롭게 한다는 뜻입니다. 곧 '날마다 잘못을 고치어 그 덕(德)을 닦음에 게으르지 않음'을 이르는 말로 이것은 매일매일 발전된 삶이 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하며 살라는 말입니다. 탕 임금의 반명에 이르기를 "진실로 날로 새로워지면, 나날이 새로워지고, 또 날로 새로워진다." 반명(盤銘)이란 제사 때 손을 씻기 위한 대야에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경구를 적어 넣은 것으로 일종의 좌우명(座右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중국 탕왕(湯王)이 나날이 새롭게 하며 날마다 잘못을 고쳐, 덕(德)을 닦음에 게으르지 않을 것을 다짐하기 위한 말입니다.      


사람의 몸을 구성하는 1000억 개의 세포는 늘 태어나고 죽기를 반복해서 3-4년이면 모든 세포가 죽고 새로 태어난다고 합니다. 의학용어로 아포토시스 Appotosis라고 불리는 이 말은 세포가 스스로 죽는다는 말입니다. 즉 세포 스스로 자살의 능력이 있기 때문에 필요 없는 세포들이 없어진다는 말입니다. 인체 스스로의 자정작용이라고 해도 될 것 같습니다.

 올챙이의 꼬리가 없어지는 것도 꼬리 세포가 자살하기 때문인데, 만일 아포토시스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올챙이는 언제까지나 개구리가 될 수 없을 것입니다. 평생 올챙이로 살아간다는 것, 올챙이의 입장에서는 슬프기만 한 얘기이고 우리는 봄의 전령이라는 개구리를 볼 수 없음에 더욱 슬픈 이야기인 듯합니다.      


우리 몸은 매 3-4년마다 완전히 새롭게 태어나는데 한번 밴 사고와 습관은 쉽게 바뀌지 않는 게 현실입니다. 미래에는 오래된 사고와 습관을 얼마나 쉽게 버릴 수 있는가 하는 것이 조직이나 개인의 경쟁력 척도가 될 것입니다. 매일매일 새롭게 즉 일신우일신을 실천하는 사람이 되어야겠습니다. 영원히 올챙이로 남지 않기 위해서 말이죠.     


떨어지는 낙엽에서 다가 올 겨울이 아니라 새봄을 보는 눈을, 비바람 몰아치는 날에 진흙이 되어 버린 땅이 아니라 더 단단히 다져질 땅을 보는 눈을, 오늘 하루가 힘겨울 때 현실의 고통이 아니라 다가올 벅찬 환희의 날들을 읽을 수 있는 미래안을 갖는 현명한 사람이 되어야겠습니다.


마음의 눈에서 절망의 안경을 벗어던져야 새로운 세상이 열림을 기억하고 새로운 꿈을 꾸시길 바랍니다.


우리에게 희망이 없는 순간은 없습니다. 단지 희망이 없는 사람이 있을 뿐입니다.

작가의 이전글 지자요수 인자요산 (智者樂水 仁者樂山)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