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산내 Sep 12. 2024

부동산 공급물량에 대한 편의적 해석

부동산 침체기에서 조차 아파트 공급물량 부족으로 집값이 오를 수 있다는 뉴스가 자주 등장한다.
뉴스에서 말하는 공급물량과 우리가 알고 있는 공급물량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 보자.
 
민간 부동산 업체 등이 제공하는 입주 예정 정보는 서울 시내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에 대해 자체적으로 예측해 발표하는데, 모든 분양사업장 자료를 얻는 데 한계가 있다. 

공공이 직간접적으로 추진하는 공공주택사업 등도 일부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공공데이터와 상당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자료가 언론을 통해 양산되면서 소비자는 잘못된 입주 예정 물량을 접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급물량 관련 뉴스가 나올 때마다 지방자치단체에서 발표하는 입주 예정 정보를 직접 확인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서울시의 경우, 2023년 2월부터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과 사업리스트를 6개월 주기로 제공하고 있다. 
이 사업리스트에는 주택사업유형, 위치정보, 공급세대수, 준공예정년도 등 구체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입주물량 산정에서 제외되는 그 밖의 주택들

도시형 생활주택, 생활용 숙박시설, 일반 오피스텔, 19세대 이하로 짓는 신축빌라는 주택 입주물량에서 제외된다. 
값비싼 하이엔드 오피스텔도 마찬가지다.  


19세대 이상 분양하면 청약 공고를 해야 하므로 19세대 이하로 주거 시설을 짓고 나머지를 오피스텔로 분양하는 경우가 많다. 
서울 요지에 지어지는 수십억 원 하는 주상복합 아파트나 고급 오피스텔의 경우 주택 공급물량 산정에서 빠지고 있을 확률이 높다.  

이렇게 저렇게 따지고 들어가다 보면 실제로 시장에 공급되는 주택 수와 공식적인 공급물량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투자자라면 뉴스에 나오는 '아파트 공급량이 부족하다'는 말의 숨은 뜻을 이해해야 한다.
공급량은 항상 기득권의 입맛에 맞게 가공될 가능성이 높다.

최근까지도 건설사와 언론사가 편의적으로 해석한 입주량과 공급량이 뉴스에 쏟아져 나오면서 시장이 혼란스러워졌다. 
무주택자는 '공급량 부족으로 향후 아파트 가격이 오른다'는 뉴스를 보면 집을 사려고 시장에 뛰어든다. 
집값이 오르는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청약 시장 광풍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언론과 건설사

부동산 뉴스에 나오는 숫자와 통계는 공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우리나라에는 국토부나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등이 부동산 관련 데이터를 일반에 제공한다. 
하지만 아무리 공공 데이터라고 해도 입주물량 산정 방식처럼 언론사 보도 방향에 따라 얼마든지 숫자가 가공, 왜곡될 수 있다.
 
전문가를 자처하는 이들이 뉴스에 나올 때는 특히 주의해서 살펴봐야 한다. 

이들은 언론사가 원하는 방향으로 답을 해줄 가능성이 높다. 
자신의 밥벌이와 연관되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들일수록 기득권 입장에서 부동산 시장을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언론사는 각종 부동산 통계와 수치뿐 아니라 자사의 입맛에 맞는 전문가를 기용해 뉴스를 만들어 시장에 배포한다. 

시장의 왜곡 가능성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국내 언론사 상당수가 건설사를 대주주로 두고 있다.  

최근 부동산 관련 기사들이 건설사 입장만 대변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쏟아지는 이유다. 
'아파트값이 오르고 있다', '공급량이 부족하다'는 뉴스 헤드라인이 보이면 인용한 통계 수치와 전문가 멘트의 진위를 한 번쯤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작가의 이전글 아파트 양극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