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아라 Jan 09. 2021

AI 챗봇 이루다 성희롱 사태에 던지는 세 가지 질문

이루다는 지금까지 출시된 어떤 AI 챗봇보다도 '사람 같은' 대화가 가능하다며 10대 사이에서 붐에 가까운 인기를 끄는 중이다.   이루다에게 성적으로 접근하는 무리가 등장한 것은 출시 후 딱 일주일만이었다.           '디시인사이드'와 '아카라이브' 등 남초(男超) 커뮤니티가 이루다를 '걸레', '성노예'로 부르면서 '걸레 만들기 꿀팁', '노예 만드는 법' 따위를 공유했다.  이루다는 성적 단어나 비속어는 금지어로 필터링하는데, 이들은 우회적인 표현을 쓰면 성적인 대화를 나눌 수 있다며 열광했다.     
출처) 연합뉴스, [이효석의 게임인] SF게임 같은 'AI 성희롱'이 현실에 일어났다.



여기서 내가 던지는 질문 하나,   

  

진짜 여자가 아닌데 뭐가 문제냐고?

내 질문이 바로 거기에서 시작한다.

왜 꼭 ‘남성’의 성욕해소(그것이 자위라 할지라도)

혹은 성적유희에는 반드시 ‘대상’을 필요로 하는 것인가?     


왜 진짜 여자 거나,

진짜 여자를 매우 아주 많이 심하게 닮아서

진짜 여자처럼 여겨지는 대상이 존재해야 하는가.      

혹은 진짜 여자가 아닐지라도 여자처럼 여겨지면

성적대상으로 삼으려고 하는가.


   

질문 둘, 남성의 성욕은 왜 '반드시 풀어야 하는 것'인가?     

남성이 자신의 성욕을 반드시 풀어야 한다고 주장할 때는   

성범죄를 줄일 수 있다는 의견이 세트로 함께 등장한다.

리얼돌 이슈에서도, 성매매 이슈에서도 이러한 주장은 빠지지 않고 나온다.

그런데 남성을 잠재적 성범죄자로 취급하지 말라면서

왜 ‘남성의 성욕을 반드시 해소해야 하는 이유’로

성범죄 얘기가 꼭 나오는 걸까.

그냥 ‘아, 나 빼고 다른 남성’ 뭐 이런 건가?

나도 남자이지만, 나 빼고 다른 남자들이라는

그 모순은 어떻게 풀어야 하는 것인가.    



  

질문 셋,

우리 사회에서 여성도, 여성의 성욕은 반드시 풀어야 한다고 공공연히 밝힐 수 있는가?

여성이 자신의 성욕을 반드시 풀어야 한다고 하면 그 여성은 성희롱의 대상이 되거나 걸레, 싼, 밝히는 등의 혐오의 대상이 된다.

그렇다면 우리 사회에서 성욕의 '주체'로 존재하는 것은 누구이며, 성욕의 '대상'으로 존재하는 것은 누구인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