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배은경 Oct 02. 2022

고강도 수행 프로그램

내가 원하는 삶과 현재 삶의 격차 극복하기

내가 원하는 삶과 현재 삶의 격차가 클수록 그 거리를 좁히기 위해 자기 이해가 필요하다. 객관적인 자기 이해는 자신의 무의식적 동기, 욕구, 두려움, 집착을 이해하게 된다.

자기를  이해해야 나를 변화시킬 수 있다.


내가 원하는 나와 현재의 나의 격차가 클 때 우울감이 찾아오고 무기력 상태가 되어 마음 건강관리가 필요하다. 내가 원하는 삶의 모습이 현재의 삶의 모습이 아니라면 그래서 변화하겠다는 마음이 생겼다면 그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공부해야 한다.


자전거를 배우는 상황을 상상해 보자. 처음 배울 때는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하다. 초보자에게 작동 원리도 설명해 주고, 직접 시범도 보여 주고, 자전거가 비틀거릴 때 잡아 주며 지도해 주는 사람이 필요하다. 지도해 주는 사람이 슬그머니 자전거를 잡았던 손을 놓아도, 계속 자신의 자전거를 잡고 있다고 믿고 안심하면서 페달을 밟는 데 집중하다 보면 어느새 혼자 자전거를 타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지도해 주는 사람의 도움을 받아 혼자 탈 수 있게 되면, 도움 없이 혼자서 자전거를 즐기면서 잘 탈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무엇이든 처음 배우는 과정에서는 누군가의 도움을 받으면서 시작하지만  그 도움을 계속 받게 된다면 스스로 자립할 수 없는 삶이 된다.


중요한 한 가지는 외국어, 수영, 스키, 테니스, 골프. 드럼 등 모두 숙련된 전문가로부터 배우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개인 간 실력 차이가 난다는 점이다. 이 차이는 전적으로 많은 연습을 한 사람과 배우기만 한 사람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


변화하겠다고 결심한 마음의 변화 방법을 알아야 하기에 지식이 필요하다.

 전문가의 강의도 듣고 책도 읽 마음 변화 방법을 배워보자.


자기 원하는 정보를  인식하고 학습하는 자기의 태도를 관찰해보면 두 가지 마음이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계획한 것을 바로 해야 한다.

지금 하기  싫어.다음에 하자.

두 가지 마음 양가감정이다.


 오늘도 정보가 전달되어 앎을 획득하고 자신에게 활용해 가는 정의 반복이 삶의 격차가 되는 것이다.


인간은 일상생활에서 대상을 인식하고 학습하고 느껴서 문제를 해결하는데 이 모든 과정은 지식 또는 정보에 의해서이다. 아는 만큼 보이고 들리고 느낀다는 것은 마음의 재료인 지식을 기반으로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의 마음작용은 환경과 지식의 상호 작용 속에서 변화가 일어난다.


셀프 코칭은 스스로 동기 부여를 하고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을 스스로 찾고 행동의 변화를 통하여 매일 조금씩 성장해 가는 것이다.


스스로 원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설정한 목표를 이루는 데 방해되는 요소들을 찾아보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현실에서 제약이 있다면 대안을 찾아 해결해 나가는 것이다.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았다면 실행하는 것이 셀프 코칭이다.   

  

셀프 코칭이 필요한 이유는 자신의 태도와 행동을 스스로 변화하는 의사 결정은 자신만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변화하고자 하는 마음이 없다면 변화는 어렵다. 자신이 발전하려는 욕구가 있어야 하고 변화하기 위해는 변화하고자 하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마음가짐은 나를  억지로라도 행동하게 한다.

원하는 인생은 내가 만들 수 있다는 기대와 믿음으로 행동하고 순간순간 행복을 선택하고 기쁨과 여유로움을 누리자.



이전 13화 삶의 목적과 방향성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