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백군 Feb 04. 2018

급격하게 성장하는 중국 카헤일링(중국판 우버)시장

중국은 공유경제의 천국 1탄

카헤일링의 천국 중국



   카헤일링이란 car + hailing으로 모바일이나 인터넷으로 차를 부르는 것을 뜻한다. 우버택시가 바로 카헤일링에 속한다. 중국에서는 디디추싱이 가장 큰 시장 점유율을 갖고 있다. 지난번 중국 우버인 디디추싱에 대해서 설명을 한 적이 있는데, 본 적 없는 분은 여기를 눌러주세요

중국에 불어오는 공유경제 바람, 중국판 우버택시



#성장하는 중국 링 시장



  중상산업연구원의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카헤일링 시장은 2020년에 3840억 위안(한화 약 65조) 정도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전반적인 점유율로 보았을 때 중국 내에서 디디추싱이 중국 우버와 합병을 하면서 제일 높지만, 그 외에도 몇 가지 카헤일링 기업이 있다. 중국에서 제법 규모가 큰 카헤일링 기업을 이야기해보자면


 1) 디디추싱(滴滴出行) 2) 쇼우치위에처(首汽约车) 3) 차오차오주안처(曹操专车) 4) 션저우좐쳐(神州专车 : ucar) 5) 이다오용쳐(易到用车)


  5가지를 이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카헤일링을 중국에서는 인터넷, 어플을 통해서 예약을 하는 차라고 해서 흔히 왕위에쳐(网约车)라고 부르거나 또는 후렌왕추싱(互联网出行)이라고 부른다. 위의 기업들에 대해서는 2탄에서 다뤄보도록 하겠다.


  2016년 7월 27일 중국의 교통운수부, 공신부 등 7개 부문에서 <인터넷 예약 택시 운영 서비스 관리 잠행 법안, 网络预约出租汽车经营服务管理暂行办法>을 발표하였고 그 해 11월 시행이 되면서,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카헤일링 시장을 공식적으로 인정해주는 국가가 되었다. 그 후에 각 지방성, 도시별로 세칙을 정해서 운영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업체별로 운영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라이선스가 필요하며, 라이선스를 획득하지 못한 기업들은 불법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실제로 이러한 업체 운영권과 기사 자격증을 얻는 것은 어렵다고 한다. 그리고 위와 같은 법안이 시행되고는 있지만 아직 완전하게 법률적으로 인정이 되는 것은 아니라서 추후 중국 정부가 어떤 방법으로 카헤일링 시장을 관리 감독하고 있는지 지켜보아야 한다.



#카헤일링 시장 성장 원인



카헤일링 시장을 보다 보면 이 것이 모든 이유는 아니지만 성장을 하는 이유들이 몇 가지 보인다. 위의 그래프는 중상산업연구원에서 발표한 <中国智能出行2015大数据报告> 이라는 자료인데, 2015년 자료이긴 하지만, 카헤일링 시장이 성장하는 초기 단계에 1선, 2선 도시가 57.3%를 차지하며 이 데이터만 보아도, 카헤일링 시장이 왜 성장했는지에 대해서 몇 가지 유추가 가능하다.


  첫 번째는 중국의 번호판 제도이다. 차량을 구매할 때 도시별로 경매 또는 추첨을 통해서 비싼 가격에 번호판을 구매해야 운전을 할 수 있는 게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차를 구매하지 않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물론 상대적으로 번호판을 구하기 쉬운 친환경차 시장이 성장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현재 1,2급 도시 중심으로 시행이 되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를 구매하기 힘든 소비자들은 카헤일링 시장을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


  두 번째, 기존 택시보다 저렴한 이용료. 카헤일링 시장은 시장 안에서도 세분화가 되어있다. 콰이처(快车)는 우리나라의 카카오 택시와 카카오 블랙의 차이처럼 기존의 택시 시장 같은 대중적인 시장이다. 그리고 카카오 블랙과 같이 모범택시 등으로 고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안쳐(专车)시장으로 나뉜다.


  세 번째, 교통문제. 중국 대도시에 여행을 가보거나, 뉴스만 보아도 교통정체가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출퇴근 시간에는 엄청나게 막히는 곳도 있어서,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직접 운전을 하면서 스트레스를 받거나 피로를 받을 수도 있다.  물론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도 있지만, 이조차도 피곤할 때 카헤일링 서비스를 이용하면 조금 더 저렴하게 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네 번째, 소유에 대한 인식. 과거에는 자동차가 자신의 신분을 나타내는 수단이었다. 물론 지금도 우리는 람보르기니나 부가티 등의 고급 차량들이 거리에 있을 경우 눈길을 보내기는 하지만, 과거만큼 무조건 자동차를 사야 된다라는 인식이 점차 희석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를 사게 되면 똑같은 차를 몇 년 간 타야 되지만, 카헤일링을 통해서 다양한 차량을 타보거나, 카 쉐어링을 통해서 직접 많은 차들을 운전하면서 경험을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카헤일링 시장이 성장하는 이유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 것이지만, 개인적으로는 위의 4가지가 큰 작용을 했다고 생각을 하고 있다.




출처 : https://www.sohu.com/a/214743540_350221



매거진의 이전글 중국 전기차 브랜드 BYD의 전략과 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