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깊은 상실감과 고독에 빠진 주인공의 이야기.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기


깊은 상실감과 고독에 빠진 주인공의 이야기가 담긴 '유명한' 소설



"나는 무슨 일이건 문장으로 만들어 보지 않으면 사물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타입이니까."


"죽음은 삶의 대극적인 존재 같은 것이 아니었다. 죽음은 나라는 존재 속에 이미 갖추어졌고, 그런 사실은 아무리 애를 써도 잊어버릴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결코 과거 이야기는 하지 않았다. 오로지 눈앞에 있는 것들에 대해서만 이야기했다. 마치 약속이라도 한 듯이."


"사람들은 제각기 행복한 듯이 보였다. 그들이 정말로 행복한지 아니면 그냥 그렇게 보일 뿐인지는 알 수 없다. 그렇지만 어쨌든 9월 말 기분 좋은 한나절에 사람들은 모두 행복해 보였고 그래서 나는 평소보다 더 외로움에 젖었다."


"4월은 혼자 지내기에는 너무도 쓸쓸한 계절이다."


위의 문장은 어디에 나온 것일까?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노르웨이의 숲”은 주인공 ‘나’의 10대 후반부터 20대 초반까지의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운 내면세계를 그린 성장소설이다. 특히 첫사랑 나오코와의 복잡 미묘한 관계를 중심으로, 죽음과 상실, 사랑과 성, 기억과 현실 등 젊은 시절의 방황과 성장통을 감각적인 문체와 섬세한 심리묘사로 그려낸다.


이 소설은 독특한 구성 방식을 취한다. ‘나’는 현재 시점에서 과거의 기억을 회상하는 형식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1인칭 시점을 통해 독자는 '나'의 내면에 직접 접근하여 그의 불안정한 심리 상태와 성장 과정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특히 인상적인 부분은 '나'가 직접 보고 경험한 구체적인 장면들을 통해 과거의 기억을 선명하게 그려낸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나'는 나오코와 함께 걸었던 도쿄 거리의 풍경이나 나오코의 방에 있던 사물들, 심지어는 그녀의 옷차림이나 버릇까지도 세밀하게 묘사한다. 이는 단순히 과거를 회상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독자들이 그 시간, 그 공간 속에 직접 존재하는 듯한 생생한 현장감을 제공한다.


또한, 작가는 '나'의 내면세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다양한 소재들을 활용한다. 예를 들어, 나오코가 이야기하는 우물은 그녀의 불안정하고 어두운 내면을 상징하며, '나'가 기숙사 옥상에서 바라보는 도시의 불빛은 현실에 대한 막막함과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드러낸다.


"노르웨이의 숲"은 단순한 사랑 이야기가 아니다. 작가는 젊은 시절의 불안정한 정체성, 사랑과 상실의 고통, 과거의 기억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는 인물들의 모습을 통해 삶과 죽음, 현실과 이상, 소통과 단절 등 인간 존재의 근원적인 문제들을 깊이 있게 다룬다. 비록 소설 속 인물들이 겪는 성장통은 개인적인 경험이지만, 그들이 느끼는 감정과 고민은 시대를 초월하여 많은 독자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하지만, 이 소설은 다소 불친절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나'의 시점에서 서술되는 이야기는 때로는 파편적이고, 명확한 결말 없이 열린 결말을 맺기 때문이다. 이는 독자들에게 스스로 생각하고 해석할 여지를 남기지만, 답답함이나 허무함을 느끼는 독자들도 있을 것이다.


소설 "노르웨이의 숲"은 제목과 달리 실제 숲에서 벌어지는 이야기가 아니다. 제공된 소스들은 주로 주인공 '와타나베'의 기숙사 생활, 과거 회상, 그리고 '나오코'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소스들에서 '숲'은 주로 주인공의 심리 상태를 묘사하는 배경이나 비유적인 표현으로 등한다. 예를 들어, '와타나베'는 '나오코'와 함께 걸었던 숲길을 떠올리며 깊은 상실감에 잠기기도 하고, '나오코'는 자신의 혼란스러운 내면을 숲에 비유하기도 한다.



'노르웨이의 숲'은 소설 속에서 실제 지명이 아닌 비틀즈의 곡으로 등장하며, 이는 '와타나베'에게 과거의 기억을 상기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결론적으로, 소설 "노르웨이의 숲"은 등장인물들의 복잡한 심리와 관계, 그리고 성장통을 그린 작품이며, '숲'은 이러한 주제를 드러내는 상징적인 공간으로 해석될 수 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