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스케치 Dec 22. 2024

희망퇴직의 경제학

할인이론

부장 인원수가 사원 인원수보다 많은 조직을 역피라미드 조직이라 말합니다. 공공기관이나 대기업의 경우 무리한 승진 인사로 조직 내 임금 부담을 심화시키고 불필요한 부서나 사업본부 구성으로 비효율성을 높이기도 하는데요. 실무자 수는 동일한데, 관리자 수만 점차 비대해지는 조직을 말합니다. 


이러한 역피라미드 조직의 40대 중반부터 50대 초반 회사원은 고정비 관리 대상이 됩니다. 우리나라 연봉은 구조상 업무 강도나 시장 수준의 경쟁력에 따라 월급이 감소하지 않고 오르기만 하는데요. 이 때문에 연령이 높아질수록, 근속 연수가 많을수록 회사에서 해당 구성원에 대한 인건비 부담을 크게 느끼고 관리 필요성을 갖게 되죠. 

예를 들어 해외관리팀의 경우 각 부서의 매출이나 수주 예상을 취합해 경영진에게 보고하는데 사원이나 부장이나 비슷한 성과(performance)를 냅니다. 동일한 보고포맷으로 유사한데다, 사업별로 취합 업무는 중복되어 직급 차이 없이 그 결과가 크게 다르지 않으니까요.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장은 사원보다 너무나 많은 급여를 수령합니다. 물론 연봉 상승과 함께 성과도 더 많이 내는 회사원도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회사원의 업무 성과는 연봉 대비 낮아집니다. 왜냐면 노동 유연성이 보장되지 않은 환경에서 근로자에게 자기개발이란 동기부여를 하기가 쉽지는 않으니까요. 


“요즘 취업했으면 나는 못들어 왔을거야”

차장, 부장의 푸념 섞인 이 말 한 번쯤 들어보셨을 텐데요. 해가 거듭될수록 시장 경쟁력이 낮아져도 근속 연수만큼은 연봉이 보장되는 회사원만 조직에 가득하면 젊은 구성원의 문제 제기에 ‘패기있다’는 긍정적 피드백보다는 ‘나댄다’는 부정적 인식이 만들어집니다. 어쩌면 20년 동안 해왔던 루틴 업무였거나, 10년 동안 개선점을 모르고 진행했을 물동 업무의 무능력함을 드러내기 싫었을 수 있었겠지만 그로인해 조직문화는 경직되고 새로운 사업 변화에 대응하기는 어려워집니다. 결국 나이가 들수록 이직이나 취업이 어려워지는 이유는 연령이 아니라, 근로자가 경력만큼 다시 말해 연봉만큼 시장 경쟁력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인데 자기객관화는 쉽지가 않습니다.


희망퇴직의 경제학

기업은 고정비 부담이라는 경영악화를 해결하기 위해서, 혹은 사업 리밸런싱으로 새로운 고용이 요구될 때 희망퇴직이란 자구책을 모색하는데요. 희망퇴직 뉴스를 보면 근속 연수 몇 년 이상이라는 단어를 많이 접하게 됩니다. 왜 근속 연수가 많은 회사원만이 대상일까 이유가 궁금하실텐데요. 높은 인건비 측면도 있지만, 희망퇴직 권유에 대한 실망감 또한 적기 때문입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