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바삭 Dec 12. 2022

아침밥은 사랑인가 봐

아침밥을 먹느냐 마느냐의 기준으로 보면 내 인생은 세 시기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시기는 스무 살 이전. 천재지변이 일어난 게 아닌 이상 하루 일과는 반드시 식사로 시작해야 했다. 어린 시절의 나는 식욕이 별로 없었고 특히 아침 시간에는 밥보다 잠을 택하고 싶었으나, 다른 건 몰라도 식사에 있어서는 한치의 물러섬도 없었던 부모님을 이길 수는 없었던 것이다. 엄마는 내가 아침을 거르고 학교에 간다면 등교 도중 쓰러져 버리기라도 할 거라고 믿는 것 같았다. 나는 꾸벅꾸벅 졸며 간신히 밥그릇을 비운 뒤에야 식탁에서 풀려날 수 있었다.


대학 입시를 준비하느라 매일 새벽 5시에 기상하던 고등학생 때도 아침 식사의 의무는 고스란히 이어졌다. 엄마는 항상 나보다 먼저 일어나 아침 식사를 준비했고, 이전보다 좀 더 철이 든 나는 별 투정 없이 일어나 밥상 앞에 앉았다. 잠 덜 깬 새벽에 목구멍으로 음식을 넘기는 게 가끔은 너무 힘들었지만 지난 십여 년간의 아침밥 조기 교육으로 단련된 위장은 그 모든 밥알을 무사히 소화해냈다. 내가 대학을 졸업하고도 한참 지난 후, 어떻게 매번 그 이른 시간에 일어나 요리를 해줄 수 있었느냐고 엄마에게 물은 적이 있다. 엄마는 매일 아침 자식에게 따뜻한 밥을 먹인 일이 당신 평생 가장 큰 자랑거리 중 하나라고, 무언가 많이 생략된 듯한 문장으로 무심히 대답했다. 생각해보면 매일 새벽 5시에 일어나 누군가를 위해 아침 식사를 준비하는 것보다 더 큰 사랑이 있을까 싶다. 엄마는 늘 밖에서 일을 했기 때문에 나와 함께 보낸 시간이 많지는 않지만, 돌이켜보면 신기하게도 엄마가 나를 사랑한다는 사실만은 한 번도 의심해본 적이 없다. 아마도 따뜻한 아침밥 덕분이었을까?




두 번째 시기는 스무 살 이후, 그러니까 중학교 2학년 이후로 찾아온 두 번째 질풍노도의 시기였다. 솔직히 이 때는 제대로 된 아침밥을 먹은 적이 거의 없다. 생활 패턴은 한껏 불규칙해졌고, 이제 성인이 되었으니 식사 정도는 스스로 챙겨야 한다는 데에 부모님과 나 모두 암묵적으로 동의했기 때문이다. 오전 수업이 있는 날이면 커피 한 잔으로 아침식사를 대신했고, 아르바이트와 시험 준비 등으로 바쁘면 점심은 거르거나 대충 먹었으며, 해가 지고 나면 술과 함께 비로소 첫 끼를 먹는 일이 부지기수였다. 요약하자면 이 시기의 나는 미래의 건강을 끌어다가 길거리에 흥청망청 뿌리고 다닌 거다. 당시의 나는 내 몸에 대해 무지해도 너무 무지했으나, 고삐 풀린 대학생에게 건강은 우선순위의 저 뒤쯤으로 밀려나 버리기가 쉬웠다.


대학을 졸업하고 본격적으로 직장 생활을 시작하게 된 나는 직감적으로 “이대로는 오래 못 버틴다”라는 생각을 했던 것도 같다. 안 좋은 생활 습관들을 버리고 비로소 내 몸과 친해지기까지는 그로부터 몇 년이 더 걸렸다. 그렇게 해서 세 번째 시기인 요즘. 나는 각종 식사 대용 식품을 부지런히 사무실로 사다 나르고, 아침에 먹으면 좋을 당분이 적은 음식을 검색한 뒤 장바구니에 담고, 영양제를 사 모으고, 운동을 한 뒤에는 근육이 0.1g이라도 빠졌을까 봐 단백질 식품을 목숨처럼 챙겨 먹는다. 의무와 책임은 갈수록 늘어나는데 그걸 감당하는 동시에 친절함도 잃지 않으려면 우선 체력이 뒷받침되어야 하고, 체력은 밥을 잘 챙겨 먹는 데서 출발한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아주 가끔 함께 사는 룸메이트가 간단한 아침 식사를 차려놓고 나간다. 나보다 일찍 출근하는 날에 본인의 식사를 준비하면서 내 몫을 남겨두는 것이다. (그녀 역시 아침밥에 진심이다.) 오늘 아침엔 룸메이트가 식탁 위에 올려두고 간 가지 구이를 집어 먹다가 남이 아무런 대가 없이 차려주는 밥을 먹는 게 얼마만인지 생각했고, 그게 이렇게까지 행복한 기분이 들게 한다는 것이 신기했다.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먹을 음식이 준비되어 있다는 건 정말 얼마나 사치스러운 일인가.


그러니까 모든 것은 밥에서 출발한다. 정확히는 그 밥 한 공기에 담긴 정성과 사랑. 직접 요리를 해 누군가를, 혹은 스스로를 먹인다는 건 인간의 손과 마음이 만들어낼 수 있는 가장 큰 행복 중 하나인 듯하다. 제대로 된 식사는 위장의 허기뿐 아니라 마음의 허기도 달랜다. 약간 식은 룸메이트의 가지 구이를 삼키며, 내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달게 받아 삼켰던 수많은 호의와 사랑을 떠올렸다.

매거진의 이전글 잠은 보약이지만 약물 남용은 안됩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