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종하 Oct 25. 2022

두 번째 얼굴의 음악

릴리 슈슈의 모든 것(2001)

이 시점에서 이토록 위험한 앨범을 다시 재생해본다는 사실은 일종의 넌센스다. 누군가의 타이핑으로 세간의 주목을 이끌던 스타들이 스스로 극단적 선택을 감내해야만 하는 차가운 미래 세계에 대해 이 영화는 거꾸로 된 예언을 한 셈이다. 영화 속의 인물들은 악마성을 외부로 분출한 채 상처받은 어린아이의 모습을 온라인 속의 커뮤니티를 통해 드러낸다. 20년이 지난 우리의 사정은 이와 정 반대다.


오프라인에서의 자아와 온라인상의 자아를 극명한 차이로 내몰아 선과 악의 간극을 들여다보는 것으론 이 영화를 감상함에 있어 턱 없이 부족하다. 없는 상처에서 고통을 느끼고, 오히려 실재하는 상처에는 무감각하다는 이 기묘한 리액션은 동시대의 소극적인 연대를 구성한다. 이들은 결국 여러 감정을 지닌 한 시대의 한 사람일 뿐이다.


끝도 보이지 않는 보리밭 위로 수직이기를 자처하는 인물들의 몽타주는 ‘에테르’로서의 연결점 그 이상이다. 그들은 오직 이 시기에만 솟아있을 수 있는 흐릿한 젊음이다. 때문에 영화에 시종 흐르는 드뷔시와 릴리의 음악은 뭉뚱그려진 시기에 필요한 하나의 장송곡처럼 들린다. 이는 이와이 슌지 스스로가 지니고 싶어 하는 영화 세계 총체의 선율이기도 하다.

이전 01화 남은 자의 세계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