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제이 Sep 23. 2021

3083



28日






오랜만에 할머니가 모셔져 있는 절에 왔다. 와보지 못한 사이, 위패의 위치들이 바뀌어 있었다. 봉안할 위패가 많아져서 일렬로 세워져 있던 것들이 앞, 뒤 두 줄로 재배치되었다. 위패가 있던 위치를 기억하면서 번호를 잊고 있었는데 이렇게 자리바꿈이 되니 당황스러웠다. 번호를 아는 엄마는 전화를 받지 않고, 하는 수 없이 기억을 더듬어 그나마 낯익은 숫자 언저리에서 위패들을 하나씩 읽어내리고 있었다. 한참을 나오지 않아서인지 관리하는 분이 들어와서 도와드릴까요, 하고 묻는다. 내가 반색하며 꺼낸 할머니 성함을 듣더니 종무소에 전화 한 통 넣자마자  자리를 찾아주었다. 나도 참 맹추다. 물으면 되는데 그게 그렇게 어려워서 이 많은 위패 이름을 하나씩 읽고 있다니.



“아, 3083 영가님.”



할머니는 그들에게 3083, 번호로 불렸다. 기분이 이상했다. 절에서 돌아가신 분을 뜻하는 ‘영가님’만 뒤에 붙이지 않았다면, 이 네 자리 번호는 할머니의 수용번호 같기도 하고, 방 번호 같기도 했다. 동명이인이 있을 수도 있고, 보다 정확히 하기 위해 번호를 붙인 것임을 아는데도, 번호로 불리는 것은 인간미가 없어 보인다. 할머니는 장년의 대부분을 집이 아닌 방에 사셨다. 자식들과도 같이 안 사셨던 분이 병실에서, 요양원에서 처음 본 사람들과 함께 밤낮을 맞이하고, 화장실을 공동으로 쓰고, 보기 싫은 TV 프로를 보셔야만 했다. 그 방들은 주로 서너 자리의 숫자로 불렸다. 1203호 환자분, 507호 할머님... 그리고 3083 영가님. 할머니는 돌아가시고도 숫자로 불리는 방 이름을 앞에 달고 계신다. 할머니는 어떻게 불리길 바라셨을까? 선생님, 원장님, 박사님, 사장님... 할머니도 꿈이 있었을 텐데.



위패 크기는 신용카드를 세로로 세워둔 정도. 그래도 한 때는 몸 뉘일 방 하나는 가지고 계셨는데, 돌아가신 할머니가 차지할 수 있는 공간의 전부는 이 위패 하나 세울 자리다. 그마저도 뒷줄에 놓여 조명 빛 마저 시원하게 들지 않는다. 위패들이 빽빽하게 한 벽 가득 채워있는 걸 보니 거대한 아파트 단지 같다. 복도식 아파트, 옆집에 누가 왔다 가는지 조금만 귀 기울이면 알 수 있는 곳. 혹시 나도 지금 주목받는 중일까. 으스스하지만 재밌는 상상이다. 아까 할머니 자리를 찾느라고 읽은 이름들을 기억해낸다. 김 할머니, 박 할아버지.. 간간히 어린아이 같이 예쁜 이름도 보인다.



“우리 할머니, 이 커다란 커뮤니티에서 사회생활 잘하고 계신가.”



할머니 위패 앞에는 담배 한 개비도 올릴 자리가 없다. 그 자리에서 수직으로 내려오는 위치에 들고 온 커피믹스 박스를 내려놓았다. 생전에 당뇨 때문에 고생하신 할머니께 커피 한 잔 타드리면서 잔소리는 한 바가지로 했었다. 이제는 원 없이 드시라고, 그리고 이 많은 이웃님들께 한 잔씩 쏘시라고 큰 박스를 내려놓는다.


 

이웃님들,  잔씩 얻어 드시거든 3083 말고 ‘어이, 강남희 여사! 손녀와서 좋겠어.'라고 고상하게 불러주세요.






        

작가의 이전글 글쓰기 30일 갈무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