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19. 시기별 성장 발달 정리 - 영유아 건강검진

1, 4, 6, 12, 18, 24개월

생애 시기별 영유아 건강 검진

영유아 검진 시기에 대략적으로 맞춰서 성장, 발달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4, 6, 12, 18, 24개월까지 (영유아 건강검진 4차, 구강 검진 1차까지)입니다.


<생후 1개월>

수면시간 : 15~20시간

수유간격 : 3.5~4시간 (하루 6~7회) -> 대략적인 간격이 이렇다는 것뿐이지, 사실 수유의 기본 원칙은 on time이 아닌 on demand입니다. 즉, 이 시기에는 아이가 그만 먹을 때까지 원하는 만큼 양껏 먹이고, 잘 트림시키고, 자고 일어나서 다시 배고파하면 먹이면 됩니다. 

1회 수유량 : 120~150ml

키 : 남 54.7cm / 여 53.7cm

체중 : 남 4.5kg / 여 4.2kg

머리둘레 : 남 37.3cm / 여 36.5cm

발달 상태 : 모로반사(+), 보행반사(+), 움직이는 물체를 따라본다.(50cm~1m 정도 거리까지 볼 수 있음)

목소리에 반응한다. 엄마 목소리를 구분한다. 미소 짓기 시작한다.

엎어놓으면 턱을 들고, 머리를 좌우로 돌린다.(터미타임 시도가능)

생후 6주부터 수면교육을 시작해 주시면 좋습니다.(수면 교육에 대한 내용은 따로 다룰 예정입니다.)

주위 환경과 어른들의 대화에 많이 노출시켜 주시는 게, 언어 발달에 큰 도움이 됩니다.



<생후 4개월> 

수면시간 : 14~19시간

수유간격 : 5~6시간 (하루 5회)

1회 수유량 : 200ml

키 : 남 63.8cm / 여 62.1cm

체중 : 남 7.0kg / 여 6.4kg

머리둘레 : 남 41.5cm / 여 40.5cm

발달 상태 : 물체를 보면 손을 뻗는다. 손바닥 전체를 이용해서 물건을 잡을 수 있다.

엎어놓으면 머리와 가슴을 곧게 들고 머리가 수직이 된다 (터미타임 마스터).

엎드린 자세에서 누운 자세로 뒤집고, 곧이어 누운 자세에서 엎드린 자세로 뒤집는다.

먹을 것을 보면 좋아한다. 크게 소리 내어 웃는다. 감정 표현이 다양해지고, 자신의 신체를 자꾸 쳐다보는 등 스스로에 대한 관심도 증가한다.

멜라토닌 분비 촉진으로, 어두운 밤에 5시간 이상 통잠을 자기 시작합니다. 이제 밤중 수유를 조금씩 줄이는 연습을 시작하셔도 됩니다.



<생후 6개월>

수면시간 : 13~18시간

수유간격 : 6~7시간 (하루 4~5회)

1회 수유량 : 200~220ml (하루 총 수유량은 1000ml를 넘기지 않도록 한다.)

키 : 남 67.6cm / 여 65.7cm

체중 : 남 7.9kg / 여 7.3kg

머리둘레 : 남 43.3cm / 여 42.2cm

발달 상태 : 배밀이, 기는 동작이 시작된다. 

이유식을 시작한다. 밥을 먹기 시작하면, 자리를 뜨지 않고 한 자리에서 계속 먹도록 교육시킨다.

밤중 수유를 끊고, 6시간 이상 통잠 자도록 수면 리듬과 위생을 만들어준다.

엄마를 더 좋아하고, 낯을 가리며, 분리불안이 시작된다. 분리불안에 너무 과도한 반응을 보이기보다는, 약간 드라이하게 달래주는 것이 좋다.

철분, 비타민D 보충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의미 없이 재잘거린다. 마마- 다다다- 등의 모음/자음 반복 소리를 낸다.

손바닥과 엄지 쪽 손가락들로 입방체를 잡는다. 작은 물체를 보면 갈고리 모양으로 손을 움켜쥔다.

붙잡아 주면 앉아 있는다. 7개월경 앉아있고(안칠현), 배밀이를 한다(배칠수) -> 실제 의사국가고시 때 외웠던 방법입니다 ^^ 

상대방의 표정이나 말투, 감정 표현에 반응하는 리액션이 활발해진다. 

어머니로부터 받은 면역글로불린(IgG)이 생후 6개월 이후 고갈되기 때문에, 감기나 장염에 계속 걸리는 등 자주 아프기 시작한다.



<생후 12개월> 

수면시간 : 평균 15시간 (하루 일과를 일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야 수면 교육이 잘 되고, 통잠을 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수유간격 : 하루 2회 정도 -> 대부분 이유식 및 일반 식이로 열량을 보충한다.(식사를 시작하면 오래 걸리더라도 한 자리에 앉아서 끝까지 마무리하는 것이 생활 습관 형성 및 성장, 발달, 수면에까지도 중요합니다.)

이유식 및 일반 식이 후에도 배고파하면 분유 및 우유로 보충해 주는 정도이다. 

생우유를 시작해도 된다. 

1회 수유량 : 최대 240ml (하루 수유량이 1L 이상이면 안되며, 점점 더 줄여야 한다.)

키 : 남 75.7cm / 여 74.5cm

체중 : 남 9.6kg / 여 9.0kg

머리둘레 : 남 46.1cm / 여 45.0cm

발달 상태 : 혼자 걷는다. 작은 물체를 엄지와 검지만으로 집어든다. 손에 쥔 물건을 의도적으로 놓아준다. 엄마, 아빠 및 3개 내외의 단어를 말한다. 간단한 공놀이를 한다. 옷을 입힐 때 자세를 취한다. 

까꿍놀이를 한다 (생후 10개월부터. 물체가 눈에 보이지 않아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안다)

또래 아이들과 자주 만나고, 다양한 사람들과 자주 만나게 해 주세요.

안 되는 것은 안된다 - 훈육은 돌 즈음부터는 시작되어야 합니다. 원하는 건 뭐든지 들어주는 시기는 안타깝지만 이제 끝났습니다. 그래야 부모님께서도 아이를 좀 더 수월하게 키우고, 좋은 어른으로 성장시키실 수 있습니다. 절제와 배려, 용기와 한계를 가르치기 시작하는 시기입니다. 

대소변 가리는 것은 18개월부터 시작합니다. 너무 빨리 시작하면 오히려 아이에게 스트레스가 됩니다. 

15개월쯤에, 유아용 변기를 미리 사서 아이의 관심을 끌고 모방 욕구를 자극하는 것까지는 괜찮습니다.

유치 숫자 : 6~10개 (내절치, 외절치, 제1대구치) -> 불소치약 사용을 시작하고, 소아과 또는 소아치과에 가서 불소 도포를 받으세요!



<생후 18개월> 

*수면시간 : 평균 14시간 (하루 일과를 일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사는 어른 식사와 거의 동일. 식사 3번, 간식 2번, 양치는 하루 2~3번. 낮잠 1회. 일정한 시간에 잠자리에 들도록. 적절한 훈육과 함께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가지도록 합니다.

*키 : 남 82.4cm / 여 80.5cm

*체중 : 남 11.0kg / 여 10.3kg

*머리둘레 : 남 47.4cm / 여 46.3cm

*발달 상태 : 서툴게 뛴다. 한 손으로 잡고 층계를 걸어 오른다. 입방체를 3~4개 쌓아 올린다. 병을 거꾸로 하여 물체를 꺼낸다. 수직선을 흉내 내서 그린다. 입을 오므려 뽀뽀하는 시늉을 한다. 

10~15개 정도의 단어를 말한다. 신체 부위를 1개 이상 알고 있다. 수용 언어 (듣고, 이해함)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시기이다.

혼자 먹는다. 문제가 있으면 도움을 요청한다. 소변을 보고 알려준다. -> 대소변 가리기 연습 시작시기입니다.

특정 물건에 집착한다 (Ex. 애착인형). 엄마에 대한 집착도 심해져서 분리 불안이 가장 절정인 시기이다. 

*유치 숫자 : 12~16개 (내절치, 외절치, 제1대구치, 견치) -> 불소치약 사용을 시작하고, 소아과 또는 소아치과에 가서 불소 도포를 받으세요!

18~24개월은 4차 영유아 건강검진 및 1차 영유아 구강검진이 있습니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그리고 소아치과 전문의에게 가셔서 꼭 검진받으세요!



<생후 24개월>

*수면시간 : 평균 13시간

*키 : 남 87.1cm / 여 85.7cm

*체중 : 남 12.2kg / 여 11.5kg

*머리둘레 : 남 48.3cm / 여 47.2cm -> 앞숫구멍은 18~24개월 사이에 닫히며, 이로써 모든 숫구멍이 닫힌다.

*발달 상태 : 잘 뛰고 혼자 계단을 올라간다. 입방체 6~7개를 쌓아 올린다. 수평 직선을 스스로 그린다. 숟가락질을 잘한다. 간단한 옷은 혼자 벗는다. 

아주 간단한 2단계 정도의 심부름을 할 수 있다. -> 기본적인 훈육을 비롯해서, 간단한 심부름 등을 통해서 가족 사이에서 아이의 역할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Ex. 밥 먹을 거니까 숟가락 놔줄래?) 아이에게 권리와 의무, 그리고 역할을 통한 자존감, 자신감을 증진시켜 줍니다.

부모님들은 아이에게 안되는 것은 안된다고, 명확하게 한계를 두는 "리더"의 모습을 보여주세요. 


*간단한 문장(2개 단어, 예를 들면 "엄마, 밥 줘.")을 말한다. 100~150개 단어를 안다.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듣는다. 

-> 24개월은 표현언어가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시기입니다. 24개월부터 36개월까지가 언어 발달의 이정표(마일스톤, milestone)로 일컬어집니다. 만약 언어 발달 지연이 의심된다면, 주저 없이 소아청소년과를 방문해서 검사를 해보셔야 합니다. 

만 24-36개월 시기에 언어 지연이 있는 경우, 치료를 하지 않았을 때 성인이 되서까지 언어 장애가 남는 경우가 무려 30%에 이릅니다.


*대소변 가리기 연습 시작 시기 (18~24개월) : 대변 평균 29개월경, 소변 평균 32개월경 가림.("마려워요"라고 보호자에게 얘기하고, 화장실 갈 때까지 참을 수 있는 수준)

대변은 48개월까지, 야간 소변은 여아 60개월, 남아 72개월까지 가리면 정상으로 봄.


*유치 숫자 : 16~20개 (내절치, 외절치, 제1대구치, 견치, 제2대구치) -> 30개월까지 유치 20개가 모두 나온다. (생애 첫 구강검진 시기 - 소아 치과 전문의에게 진료받으세요.)

매거진의 이전글 18. 예방접종과 성장발달- 15-18개월 / 24개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