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비지 Sep 25. 2024

고객과 한 번의 거래로 최대 이익을 얻는 것이 좋을까?

기존 고객과 신규 고객 중 더 소중한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셨나요?

"고객과 한 번의 거래에서 최대한 이익을 얻을까?


아니면 고객과 한 번의 이익은 크지 않아도 장기적으로 거래를 하는 것이 좋을까? 스타트업뿐만 아니라 기업, 자영업을 하는 모든 분들이 한 번쯤은 고민해 봤을 문제이며 꼭 고민을 하셔야 하는 이슈입니다.


 일반적인 기준으로 생각해 보면 고객을 새롭게 획득하는 비용이 획득한 고객을 유지하는 것보다 비용이 더 많이 듭니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매출 또는 조금 더 적은 매출이라도 기존 고객을 유지해서 달성한 성과가 이익이 더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사냥을 해서 바로 섭취하면 당장 배가 부르지만 섭취하지 않고 사육한다면 당장의 만족감은 크지 않아도 일정 시점이 지나면 적은 노력으로 식량을 얻을 수 있는 것과 같은 논리입니다. 때문에 기업들은 고객을 확보하는 것뿐만 아니라 유지하기 위해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입니다. 


 그럼 스타트업의 경우는 어떨까요? 모두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사업화를 마친 스타트업은 매출이나 트래픽 등 특정 지표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대로 설정했다면 그 지표는 투자자가 이 사업의 성공 가능성과 잠재력 등을 추정할 수 있게 해 줍니다. 그래서 일정 수준까지는 지표상승에 집중하고 그 이후 이익에 대해서 고민하죠. 우리가 아는 성공한 많은 스타트업이 대부분 그랬습니다. 때문에 많은 스타트업이 초기에는 고객의 유지보다는 고객을 획득하는 쪽에 더 투자를 하는 것 같습니다. 마치 성공공식인 것처럼요. 이런 투자가 나쁜 것은 아닌데 무조건 따라 하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획득비용(고객을 획득하는데 드는 비용으로 금전적인 부분과 비금전적인 부분 모두 포함)과 유지비용(획득한 고객을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으로 금전적인 부분과 비금전적인 부분 모두 포함)을 계산한 후 현재 사업의 성장단계에 맞춰 비율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A라는 스타트업이 있고 그 스타트업의 BM상 고객의 유지비용이 압도적으로 높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런데 A스타트업은 획득비용과 유지비용을 계산한 후 비율을 잘 조정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성공한 스타트업을 따라 초반에는 획득비용에 투자를 그 이후 유지비용에 투자를 했습니다. 그런데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유지비용이 너무 높다 보니 생각만큼 이윤이 나오지 않습니다. 게다가 유지 비용을 많이 쓰다 보니 이슈대응과 성장에 투입할 비용에 제한이 걸립니다. 이 상황이 지속되다 보면 보유한 고객이 부담스러워지는 상황까지 오게 될 수 있습니다. 굉장히 난감한 상황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확보된 고객 중 성과가 낮은 고객군을 털어내어 유지비용을 줄이고 사냥꾼의 태도로 사업을 한다고 생각하며 획득비용에 계속적으로 투자를 하는 것이 나을 수 있습니다. 기존 수익모델에 변화, 예를 들어 가격정책에 변경을 통해 성과가 낮은 고객을 퇴출시키고 획득 비용 투자를 통해 우리 비즈니스에 적합한 타깃 고객을 지속적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노력하세요. 즉 양보다 질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입니다. 그런 후 유효성 높은 고객의 수가 유의미한 수준에 도달하면 그때 획득 비용을 줄이고 유지 비용을 증가시키는 접근이 적절할 것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아깝다는 생각이 든다면 차라리 눈을 감아보세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