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방기연 Nov 16. 2021

학벌 콤플렉스 극복 방법

비교

"혼자 지방대를 다니고 있어 학벌 콤플렉스가 심합니다."

지방 소재 국립대학에 다니는 대학 1학년 학생의 고민이다.

친한 친구 3명은 다 서울 소재 명문대에 붙었다.

스스로 비교되면서 자꾸 위축된다.

(11월 16일 참나원 팟캐스트 방송)



사연자는 성실했다.

잔병치레가 많았지만 성실하게 공부했다.

늘 3등을 해서 서울의 명문대를 갈 수 없었다.

지방 국립대에 간 것만으로 그동안 노력이 다 물거품이 된 것 같다.


친구들 3명은 다 명문대에 들어갔기에 비교되어 사연자는 스승의 날에 모교 방문할 때 빠졌다.

심지어 친구들이 사연자를 무시하며 떠나는 꿈도 꾸었다.

그럴 친구들은 아닌데 스스로 나쁜 생각을 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다시 공부해서 명문대에 가려는 열정은 생기지 않는다.


한국은 모든 것을 학벌로 보는 것 같아 학벌 콤플렉스가 심해진다.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싶다.

콤플렉스인 줄 알지만 떨쳐지지 않는다.

도움을 구하려 사연을 올렸다.


사연자는 자신의 노력이 순식간에 날아가 버린 느낌이라고 했다.

지방대에 갔다는 결과가 게으름만 핀 결과처럼 여겨진다는 것이다.

그래서 내심 억울하기도 하다.

성실했는데 게을렀던 사람으로 낙인찍히는 것 같은 느낌이 무겁다.


과연 사연자 말대로 성실했던 생활이 아무 쓸모도 없어진 것일까.

한국 사회는 학벌에 가장 우선되는 사회가 맞을까.

명백한 착각이다.

단지 사연자 눈에 그렇게 보이는 것뿐이다.


한 생각이 일어나고 그 생각을 붙잡으면 그것만 보인다.

시야가 좁아지고 판단력이 흐려진다.

여기에 열등감이 더해지면 피해의식이 되고 만다.

사연자도 자칫 피해의식에 사로잡힐 위험이 있다.


좀 더 넓은 시각으로 길게 볼 필요가 있다.

명문대가 성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지방대가 실패의 낙인이 될 수 없다.

이런 관념들은 구시대의 유물이다.



부분만 볼 때 답이 없어진다.

전체를 크게 바라보면 늘 길은 있다.

성공과 실패를 가르는 기준이 어디에 있는가.

콤플렉스는 관념이 만들어내는 허구일 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인간관계 신경 안 쓰는 방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